8과 연습문제

eugene5353 asked 2년 ago

1-g: ‘새 것’ 이 아니라고 하고싶으니까 neu 앞에 kein이 아니라 nicht 가 오는 것인가요?

2-c: 직역하면 나는 배고픔’을’ 가지고 있지 않은거니까 (직접목적격)keinen 인건가요?

2-f: immer 처럼 문장에 부사가 오는 경우에는 nicht이나 kein을 어디에 넣어야 하나요?

2-g: geld 앞에 ein이나 der가 없는데 kein을 쓸지 nicht을 쓸 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왜nicht은 안되나요?)

2-j:이 문제도 위 질문과 같습니다.

질문이 여러개라 죄송합니다.

1개 답변
manager answered 2년 ago

안녕하세요, 회원님!

먼저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1-g: ‘새 것’ 이 아니라고 하고싶으니까 neu 앞에 kein이 아니라 nicht 가 오는 것인가요?

이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Nein, das ist nicht neu.’라는 예문에서 neu 앞에 kein-이 아닌 nicht가 온 이유는 neu가 명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형용사죠. kein-은 명사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2-c: 직역하면 나는 배고픔’을’ 가지고 있지 않은거니까 (직접목적격)keinen 인건가요?

네, 그렇죠. 직역하면 ‘나는 어떤 배고픔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고요, Hunger라는 남성명사 Akk.(직접목적격)이므로 keinen이 된 것입니다.

Ich habe keinen Hunger. 독일어에서는 이렇게 말해요.

2-f: immer 처럼 문장에 부사가 오는 경우에는 nicht이나 kein을 어디에 넣어야 하나요?

일반적으로 부정하는 대상 앞에 옵니다. immer처럼 부사를 부정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nicht가 필요하죠(명사가 아니니까요.). 그런데 그 immer 앞에 와야 무엇이 부정되는지 알 수 있겠죠. 다음의 예문을 보세요.

Er ist immer pünktlich. (그는 언제나 시간약속을 엄수한다.)

Er ist nicht immer pünktlich. (그는 언제나 시간약속을 엄수하지는 않는다.)

Er ist immer nicht pünktlich. (그는 언제나 시간약속을 안지킨다.)

위 세 예문의 의미가 각각 다르죠. 특히 두번째와 세번째 예문에서 nicht의 위치가 어디인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보세요.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2-g: geld 앞에 ein이나 der가 없는데 kein을 쓸지 nicht을 쓸 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왜nicht은 안되나요?)

명사 앞에 언제나 관사가 오는 것은 아닙니다. ein-이나 der 등의 관사 없이도 명사는 명사입니다. 명사를 부정하기 위해서는 kein-이죠. ‘Ich habe Hunger.’라는 문장을 생각해보세요. 관사가 없는데요, 생각해보면 관사가 있을 수 없죠. ‘하나의 어떤 배고픔’도 아니고, ‘그 특정한 배고픔’도 아니니까요. 그런 명사들 많습니다. 관사가 없어도 명사는 명사이고 kein-이 부정합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