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대명사에 대해] -79, 80과 질문입니다

80과 Mina liest Tagebuch. | 돌돌이 님의 질문

위에 이어서 질문드립니다.

79과
1번 연습문제에서 (a)-(e)답안 문장들은 다 도치된 형태같은데,,
man이 주어니까 제일 앞에 쓰는 것보다 답안처럼 쓰는데 더 자연스러운가요?
ex :Das Fensterputzmittel benutzt man fur die Fenster.

80과
Viel Erfolg! 토막글질문입니다.
Mach dir keine Sorgen, wenn du viele Fehler machst. Die kannst du spater ganz leicht berichtigen.
(많은 실수를 할때 걱정하지 마세요. 당신은 그 실수들을 나중에 쉽게 고칠수있어요.)
저는 이렇게 해석을 했습니다. 두번째 문장의 Die는 Die Fehler 가 생략되어 쓰인거라고 봐도되나요?

연습문제1번입니다.
g) 번에서 질문은 Wie viel kosten 10 Brotchen?
답은 10 Brotchen kostet 2.5 Euro. 이던데 주어가 복수니까 kosten을 쓰는게 아닌가요?

연습분제 4번에서
Der alte Computer ist nicht nutzbar. 라는 문장이있는데요
여기에 nutzlich / nutzbar 둘다 사용가능한가요? 조금은 의미 차이가 있나요?

네 이어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언제 도치문을 만드나…
도치문장으로 말하고 쓰는 이유는 어떤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입니다. 그것을 주어 대신 문장 맨앞에 놓는 것이죠. 독일어에서는 이런 도치문장을 아주 많이 씁니다. 어쩌면 도치되지 않은 정치문 보다 더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질문글에서 man이 주어니까 도치문으로 만드는 게 자연스러워지는 것인지 물으셨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man이 주어라고 해서 더 자주 도치문을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2.> 지시대명사(Demonstrativpronomen)
전의 질문에서도 이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만, 이런 것을 지시대명사라 하고요, 정관사와 꼭 같은 형태로 쓸 수 있습니다. 즉 정관사를 가져다가 대명사로 쓰는 것입니다.

Mach dir keine Sorgen, wenn du viele Fehler machst. Die kannst du später ganz leicht berichtigen. (많은 실수를 할 때 걱정하지 마세요. 당신은 그 실수들을 나중에 쉽게 고칠수있어요.)

해석 잘 하셨고요, 님의 해석문 그대로 빌어쓰겠습니다. 여기서 두번째 문장의 die가 바로 지시대명사라는 것이고 die Fehler에서 Fehler가 생략되었다기보다는, die Fehler를 대신하여 die로 쓴 것이라 봐야 합니다. 그래서 이것을 대명사라, 즉 지시대명사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3.> ‘Wie viel kosten 10 Brötchen?’의 주어
네 그렇습니다. 위 문장의 주어는 ’10 Brötchen’입니다. 가끔 이런 의문문에서의 주어를 오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만, 이와 같이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의문사 + 동사 + 주어 (+ 목적어) ?>


4.> nützlich와 nuztbar의 차이
둘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nützlich : 유익한, 유용한
nuztbar : 사용할 수 있는

Der alte Computer ist nicht nutzbar. (그 낡은 컴퓨터는 쓸 수 없다.)
그래서 위 문장의 nutzbar를 nützlich로 대체한다면 적지않이 다른 뜻을 가진 문장이 되겠습니다.


p.s.: 80과 복습까지 다 마치신 돌돌이님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혹시 다른 회원님들께 알려주실 공부방법 같은 게 있다면 수강후기에 올려주시길 부탁드릴 게요~ (시간이 나신다면요..)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