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명사에 붙는 형용사들] 연습문제 3번 형용사 어미 관련

70과 Die Schrift ist lesbar. | 빈둥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오늘도 많이는 아니지만 꾸준히 독일어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버터텅 좋아요..
덕분에 독일문화원에서 하는 회화수업도 어렵지 않게 소화하고 있는 것 같아요.
현재 버터텅 학습은 매 강의마다 한글자막으로 한 번, 독일어 자막으로 한 번씩 수강하고 있고, 80강까지 이렇게 수강한 후에 다시 처음부터 듣기 위주로 독일어 자막과 무자막 강의를 병행하여 공부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수강 후기는 80강까지 듣고 남기려구요.. 말 그대로 후기니깐요^^
70강이 새로운 문법을 배우는 건 마지막이고 71강부터 80강까지는 회화 위주 강의인 것 같더군요.
이렇게 문법이 정리된다니 뿌듯합니다!^^

근데.. 70강 연습문제 풀면서 혼란스럽습니다.
독일어 문법은 왠만하면 이해가 되는구나 싶었는데 상기 제목의 많은 문제에서 이해가 안되는 겁니다.
제가 착각하는 부분이 있는지 도움 부탁드려요~!

연습문제 3번의 많은 문제에서 형용사 어미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답을 보면 q) Ihre gekämmten Harre sind schön. 입니다.
근데 내 생각에는 관사가 없는 Plural Nom.의 형용사 변화를 고려할 시 “gekämmten->gekämmte”로 바꾸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위와 같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문제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상기 q) 문제 제외)
c) Sie zeigt uns ihre neu gekauften Schuhe.
(관사가 없는 Plural Akk.의 형용사 어미변화에 따라 neu->neue로, gekauften->gekaufte로 변경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g) Ich kenne alle wiederholten Vokabeln.
(관사가 없는 Plural Akk.의 형용사 어미변화에 따라 wiederholten->wiederholte로 변경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h) Hier stehen alle reparierten Autos.
(관사가 없는 Plural Nom.의 형용사 어미변화에 따라 reparierten->reparierte로 변경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j) Wir haben keine funktionierenden Computer im Haus.
(maskulin Akk의. 부정관사 어미변화에 따라 keine->keinen로 변경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v) Sie zieht ihre geputzten Schuhe an.
(관사가 없는 Plural Akk.의 형용사 어미변화에 따라 geputzten->geputzte로 변경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x) Er sucht seine vorbereiteten Aufgaben.
(관사가 없는 Plural Akk.의 형용사 어미변화에 따라 vorbereiteten->vorbereitete로 변경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위 문제들에 관해서 설명 부탁드려요~!^^

반갑습니다, 빈둥님

독일문화원의 회화수업과 버터텅 독일어인강을 병행하고 계시는군요. 아주 좋은 결합이라고 생각합니다.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도 효과를 높이는 가성비 좋은 공부방법입니다.
나중에 80 강의 다 들으시고 올리실 수강후기 기대하겠습니다. 버터텅 매니저의 가장 큰 낙은 획원님들이 간혹 올리시는 수강후기를 읽는 것이랍니다.

좋은 질문 하셨습니다.
먼저 정관사가 이끄는 복수명사 앞의 형용사변화가 어떻게 되는지 기억하실 것입니다. 모든 격의 형용사에 어미’-en’이 붙지요. 아래 예에서 형용사들이 모두 ‘kleinen’으로 되는 것입니다.

die kleinen Kinder (Nom.)
die kleinen Kinder (Akk.)
den kleinen Kindern (Dat.)
der kleinen Kinder (Gen.)

그런데 이렇게 정관사 말고도 정관사와 유사하게 문법적 구실을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가령 소유대명사, alle(모든), manche(간혹의, 때로의, 몇몇의), solche(그런) 등과 같은 것입니다. 이들은 정관사의 뜻인 ‘그’는 아니지만, 대상을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면에서 정관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소유대명사를 예로 들자면 ‘그 작은 아이들’ 대신에 ‘그녀의 작은 아이들(ihre kleinen Kinder)인 것인데요, 복수정관사 ‘die’ 등이 쓰이지 않았지만 대상을 지정하는 소유대명사가 있어 문법적 역할이 같은 것입니다.
그래서 위에 질문주신 예들은 그렇게 된 것입니다.  다시 한번 써보겠습니다.

Ihre gekämmten Harre (그녀의/당신의 빗질한 머리칼)
ihre neu gekauften Schuhe (그녀의 새로 산 신발)
alle wiederholten Vokabeln (모든 반복된 어휘들)
alle reparierten Autos (모든 정비된 자동차들)

위의 예들 중 두번째 ‘ihre neu gekauften Schuhe’에서 ‘neu’에 왜 형용사어미가 붙지 않으셨는지 문의하셨는데요, 이것은 여기서 부사로 쓰였습니다. 즉 이것이 수식하는 것은 ‘Schuhe’가 아니라, ‘gekauften’입니다. ‘새 신발들’이 아니라 ‘새로 산’인 것이죠. 부사는 어미변화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렇게 명사를 구성하는 의미 단위 안에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죠.

1. das gute geräumte Zimmer (그 좋은 정돈된 방)
2. das gut geräumte Zimmer (그 잘 정돈된 방)

위와 같이 됩니다. 1번에서의 gute는 형용사로서 방을 수식하지만, 2번에서 gut는 부사로서 geräumte를 수식합니다. 여기서의 gut은 그리하여 어미변화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1번과 2번의 뜻은 그렇게 서로 좀 달라지지요.

또한 ‘keine funktionierenden Computer(어떤 작동하는 컴퓨터(도 없음)’에 대해서 질문주셨습니다. 여기서 ‘Computer’는 복수형이죠. 사실 이것은 문법을 좀 벗어나는 표현이긴 합니다. 복수의 명사 앞에 ‘keine’라는 부정어를 넣는다는 게 의미적으로는 이해가 되나 문법논리에서는 사실 어긋나요. 그런데 독일인들은 여기서 의미적 지시성에 기대어 이런 표현을 쓰는 것입니다. ‘keine Kinder(어떤 아이들(도 없음))’라고 부정어를 만들어 표현합니다.
아무튼 여기서의 ‘Computer’는 복수명사이고, ‘keine’는 정관사처럼 어미가 붙은 것입니다.


여기까지 설명드리면 아마 이해가 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좋은 질문이었어요. 오랜 만에 받아본 수준 있는 질문이었습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