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법 1식에서 시제의 문제]

63과 Sie sagt, sie spreche Deutsch. | Haylie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지난 11월부터 schritt1부터 차근차근 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어느덧 schritt4까지 오게 되었네요!! 강의들이 짧으면서도 체계적이라 여기까지 왔어요. 마음같아서는 자격증 욕심도ㅎㅎ. 연습 문제를 풀다가 궁금한점이 생겨서요~

1번에 c) Er hat gemeint: “Das Geschenk is toll.”
그는 생각했다. “그 선물은 멋져.”
여기서 Er hat gemient는 그가 과거에 생각한 것이고, ” ” 안에 있는 것은 현재형으로 말하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이것을 접속법 1식인 간접화법으로 표현하면 그가 과거에 생각을 한것이니 ” ” 안에도 과거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저는 답을 Er hat gemeint, das Geschenk sei toll gewesen. 이라고 적었거든요. (맞는 문법인지는 모르겠지만…;)
답은 Er hat gemient, das Geschenk sei toll. 입니다. 여기서 sei는 ist의 3인칭 단수 현재형 접속법 1식인데, 어떻게 과거형과 이렇게 같이 올 수 있는거죠?ㅠ 제가 이해력이 딸리는 건가요?;
He thought, “The gift is great” 를 바꾸면 He thought the gift was great가 되듯이…
1번에 m)도 똑같은 맥락으로 틀렸네요; 하하;

제가 너무 영어식으로 생각했나요? 그냥 궁금해서 질문해봅니다.

네. 안녕하세요!!
Schritt 1부터 4까지 차근차근 걸어가시는 회원님들을 너무나도 사랑하고 있는 버터텅 매니저랍니다. 마음 같아서는 당장에 자격증 준비과정도 저렴한 가격으로 꾸려내고 싶습니다.

접속법 1식은 간접화법이지요. 따옴표 없이 문장 속에서 누군가의 말이나 생각이 어떠하다고 기술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질문하신 시제일치 문제는 어찌되는 것일까요? 가령, 이런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그는 말했다. “나는 독일에 갈 것이다.”‘
– ‘그는 독일에 갈 것이라고 말했다.’

위에서 첫번째 문장이 따옴표를 이용한 직접화법이고, 두번째 문장이 그것을 간접화법으로 바꾼 것입니다. 이렇게 간접화법으로 바꾸는 것은 자연스럽지요? 첫번째 문장을 보시면 두 문장이 각각의 시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말했다’는 과거이고. ‘나는 독일에 갈 것이다’는 미래입니다. 이것들을 간접화법의 한 문장으로 엮어낼 때 시제가 어찌 되는지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만약 한 문장에서 동사들의 시제일치를 시키겠다고 두번째 문장을 다음과 같이 바꾼다면 어찌 될까요?

– ‘그는 독일에 갔다고 말했다.’

완전히 다른 뜻의 문장이 되지 않습니까? 그렇습니다. 접속법 1식, 즉 간접화법을 쓸 때 시제일치를 시키지 않습니다. 그래야만 의미전달의 혼동이 없습니다. 접속법 1식의 간접화법이란 그저 한 문장에 두 화자를 병렬적으로 담아내는 편리한 문법이라고 하겠습니다. 그 두 화자의 시제는 엄밀히 구분되어야 마땅합니다.

계속 꾸준히 공부해 나가시길 진심 바랍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