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ht의 위치(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31과 Tobi will Eis essen. | Seongji 님의 질문

화법조동사의 부정 nicht의 위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연습문제 2번 i), j), k)의 경우,
i) Ich moechte nicht so viel bezahlen.
j) Sie will nicht auf das Verbot hoeren.
등으로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k)의 경우
k) Die Koechin will das Brotrezept nicht verraten.
에서는 das Brotrezept 이후에 위치하는데요. 

이 규칙으로 봐서는목적어 같은 역할을 하는 단어 바로 뒤에 nicht가 오는 건가요?
auf, am 등에서는 바로 앞에서  nicht가 오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습니다.

일반적으로 화법조동사(Modalverben)을 부정할 때는 그 화법조동사의 바로 뒤에 nicht가 붙습니다. 화법조동사는 평서문에서 문장 안의 의미단위들 중 두번째 자리에 오는데요, 바로 그 뒤라면 세번째 자리가 되겠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위에 든 예문에서 nicht의 위치를 바꾸어도 됩니다.
Die Köchin will das Brotrezept nicht verraten. (그 여자요리사는 빵레시피를 밝히려 하지 않는다.)
–  Die Köchin will nicht das Brotrezept verraten.

nicht의 위치를 위와 같이 바꾸어도 뜻은 같고, 문법적으로 옳습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형태이지요. 그런데 어감이 조금 달라집니다.

다음의 예문을 보죠.
Ich kann morgen nicht einkaufen, aber spazieren gehen ist möglich.
(나는 내일 장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산책 가는 것은 가능하다.)
Ich kann nicht morgen einkaufen, aber übermorgen ist okay.
(나는 내일 장을 볼 수 없다. 하지만 모레는 괜찮다.)

위의 두 예문은 화법조동사가 들어 있는 문장 ‘Ich kann morgen einkaufen.’에서 nicht의 위치를 바꾸고 그 맥락에 따른 이야기를 덧붙임으로써 어떻게 의미가 바뀔 수 있는지를 말해줍니다.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문장 전체를 부정할 때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부정어 nicht를 씁니다. (그 문장의 술어부를 부정하는 것은 그 문장 전체를 부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질문글에서 잘 관찰하셨듯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닙니다. 어감에 따라 다른 곳에 nicht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시험에 나오는 것은 아닌데, 공부할 때 의문을 품게 만듭니다. nicht의 위치에 대한 원칙들이 너무 많아 원칙이라고 할 수가 없고, 게다가 거기에 예외도 많습니다. 결국은 nicht에 대한 두 세가지 중요한 원칙들을 알아두고서, 나머지는 경험적으로 배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nicht의 위치에 대해 질문이 유독 많아 ‘좋은질문방’에 많이 모여져 있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답변이 늦어서 다시 한번 죄송합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