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과 Was kann ich… | 신선한 …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네요. 사실 한동안 일이 바빠져서 인강을 많이 못 들었어요… 지금은 잠시 휴강하고 복습하고 있는 상태입니다ㅠㅠ 올해 안으로 SCHRITT2를 끝내고 싶은데 말이에요. 이제 독일 갈 날이 세 달밖에 안 남았는데 정말 걱정입니다.. 30과 들어오면서 정말 어려워졌네요.. 복습 빨리 끝내고 다음 주중으로 복귀해야겠네요!! 공부하다가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1. dürfen(해도 된다)과 können(할 수 있다)의 의미 차이: 이 두 조동사가 의미상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그런지 좀 헷갈리네요 ㅠ연습 문제에서 의미가 같은 것 같은데 바꿔 쓰면 틀린 건가요?f) Sie dürfen ihre Fragen jetzt stellen. 당신은 지금 질문을 해도 된다.dürfen 대신 können이 쓰이면 ‘당신은 지금 질문을 할 수 있다.’ h) Kann ich meinen Kaffee hier hinstellen? 제 카피를 여기에 둘 수 있나요?Kann 대신에 Darf를 쓰면 제 커피를 여기에 둬도 되나요? 2. 화법 조동사의 부정형: 어떤 문장에서는 명사를 부정하는 kein, 형용사/부사를 부정하는 nicht가 쓰였는데 언제 kein과 nicht를 쓰는지 헷갈립니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이 서로 바꾸어서 표현할 수도 있나요? a)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Schuhe nicht tragen.l) Ich kann das Problem nicht lösen.→ Ich kann kein das Problem lösen.n) Sie können mir keine Informationen geben.→ Sie können mir Informationen nicht geben. 3. 의미 해석: 아래 문장의 해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b) Mit 4 Jahren Kann man schon laufen, aber man darf nicht alleine auf die Straße. 네 살 때 걸을 수 있지만 그러나 길에 혼자 걸으면 안 된다.. j) Sie kann sich nicht entscheiden. 그녀는 결정할 수 있다. q) Wir können am Wochenende zu dem See fahren. 우리는 주말에 호수에 갈 수 있다. 2-d) Du kannst eine Reise gewinnen. 너는 여행을 얻을 수 있다. |

안녕하세요! 독일에 가는 날까지 세 달 남았다고 하셨는데, 그 날까지 열심히 공부하시면 됩니다. 가령 지금 30과를 공부하셨으니 그때까지 하루에 1과 씩만 하셔도 80과는 무난히 다 마치게 됩니다. 독일에 가기 전에 문법에 치중해서 공부하세요. 일단 문법의 여러가지 변용이 머릿속에서 이해되고 훈련된 뒤 독일에 가서 그것을 활용해 독해나 회화 등에서 능력을 길러가면 됩니다. 1.> dürfen(해도 된다)과 können(할 수 있다)의 의미 차이 이것은 말 그대로 ‘해도 된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차이입니다. 그 둘의 뜻은 서로 달라서 각각의 용도가 구분되지만, 때로 둘은 혼용됩니다. 그냥 한국말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당신은 이 물을 마셔도 됩니다.’라고 하는 대신 ‘당신은 이 물을 마실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원래의 뜻이 달라지지는 않죠. 또 ‘내가 당신을 좀 도와드릴 수 있을까요?’라고 말할 수 있지만, ‘내가 당신을 좀 도와드려도 될까요?’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후자가 좀더 예의바르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입니다. 즉 어감의 차이로 인해 ‘dürfen’과 ‘können’은 서로 혼용되기도 합니다. 물론 늘 혼용되지는 않습니다. 가령 ‘können’이 어떤 능력을 의미할 때 ‘dürfen’이 그 자리를 대체할 수 없겠죠. Ich kann Deutsch sprechen. (나는 독일어를 말할 수 있다.) Ich darf Deusch sprechen. (나는 독일어를 말해도 된다.) 위 두 문장은 서로 뜻이 완전히 다릅니다. 대체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대개 그 두 화법조동사가 대체될 수 있는 경우는 허락에 관련된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질문하신 문장들도 허락에 관련된 것이고 두 화법조동사들은 대체될 수 있습니다. 2.>화법 조동사의 부정형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한국에서는 집안에서 신발을 신는 게 허락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말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Schuhe nicht tragen.’이라고 하는 것은 틀렸다기보다 상당히 어색합니다. 언제나 그렇지는 않지만,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 전체를 부정할 때는 그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nicht’를 붙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됩니다. In Korea darf man nicht in der Wohnung Schuhe tragen. 위와 같이 쓰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선호되는 것은 ‘Schuhe’를 부정하여 ‘keine Schuhe’라고 하여 ‘어떤 신발도 (허락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Ich kann das Problem nicht lösen. (나는 그 문제를 풀 수 없다.) 이 문장에서 부정어를 ‘kein das Problem’로 할 수 있겠는지 질문하셨는데, ‘kein’은 특정되지 않은 대상을 부정할 때 쓰입니다. ‘das Problem’은 ‘그 문제’로서 특정된 것이고 그래서 정관사 ‘das’가 붙은 것이죠. ‘kein das …’ 하는 식의 정관사를 달고 있는 명사를 ‘kein’이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다음과 같이 할 수는 있습니다. ‘Ich kann nicht das Problem lösen.’ ‘Sie können mir Informationen nicht geben.’이라고 할 수 있는지 물으셨는데, 문법적으로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부자연스러운 문장이라고 하겠습니다. 독일인들은 그렇게 표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답에 제시된 대로의 표현이 선호되고, 질문자께서 물으신 문장표현은 문법적으로는 틀리지 않으나 말하여지지 않습니다. 3.> 문장 의미들 Mit 4 Jahren Kann man schon laufen, aber man darf nicht alleine auf die Straße. (사람은 네 살이면 걸을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길 위에 혼자 있으면 아니된다.) Sie kann sich nicht entscheiden. (그녀는 결정할 수 없다.) Wir können am Wochenende zu dem See fahren. (우리는 주말에 호수에 갈 수 있다.) Du kannst eine Reise gewinnen. (너는 여행권을 얻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