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과 Was kann ich… | 유지갱스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30과 큰 2번의 c)에서 답은 Wir du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입니다. 그런데 혹시 Wir durfen nachts in den Park nicht gehen 이라고 하면 안되나요? 같은 맥락에서 e)번 문제에서도 답은 Langsame Autos durfen nicht auf die Autobahn fahen. 입니다. 이것을 혹시 Langsame Autos durfen auf die Autobahn nicht fahen. 이고 하는것은 어떤가요? 결국 nicht의 위치에 관련된 문제인데, nicht와 관련된 질문과 답을 읽어 보아도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지갱스 님 Modalverben(화법조동사)과 그것의 부정에 대해 화법조동사는 부정어 nicht, kein- 과 결합함으로써 일종의 숙어적이고도 고정된 뜻의 표현이 됩니다. ‘~할 수 있다(können)’, ‘~해도 된다(dürfen)’, ‘~해야 한다(müssen)’ 등의 뜻을 가진 화법조동사들은 nicht와 가까운 위치에서 쉽게 결합함으로써 ‘~ 할 수 없다’, ‘~하면 아니 된다’, ‘~하지 않아도 된다’ 등 반대의 뜻을 가진 말이 쉽게 되는 것입니다. 한국어에서 보조용언에 해당하는 화법조동사들은 nicht 하나를 가까이에 붙임으로써 그 반대의 의미를 가진 문법적 단위가 용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대개의 경우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nicht는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옵니다. 아마 ‘할 수 없다’든지, ‘허락되지 않는다’랄지, ‘하지 않아도 된다’든지 하는 보조용언적 구실을 기능적으로 해내기 위해서인 듯합니다. Wir dü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우리는 밤에 공원에 가도록 허락되지 않는다.) Wir dürfen nicht nachts in den Park gehen. 차라리 두번째 예문처럼 바꾸는 것은 괜찮습니다. 그러나 위 질문에서 든 형태처럼 되는 것은 너무도 부자연스럽습니다. Langsame Autos dürfen nicht auf die Autobahn fahren. (느린 자동차들은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게 허락되지 않는다.) 위 예문에 대해서도 질문주신 형태로 바꾸는 것은 부자연스럽니다. 요약하자면 많은 경우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nicht는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옴으로써 화법조동사의 의미를 쉬 전도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물론 문장이 도치된다면 주어 다음에 nicht가 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