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 어미, 정관사 어미, 2000년 이상의 숫자읽기 등] 12과 질문

12과 Welches Datum? | 유자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매번 답변 감사히 보고 또 보면서 열심히 공부하고있어요
이번에 12과를 들으면서 걸리는게 너무 많아서 혼자 많이 생각을 해봤지만
도저히 제 생각으론 이해가 안되서요ㅠㅠ

질문 1) 강의에서 각 달의 이름들 대신에 숫자로 달을 말할 수 있다고 하시면서
그 예로 5월 5일을 ‘fünfter fünfter’라고 말해도 된다라고 하셨는데
저는 서수를 만들 때 ‘-te’가 붙어서 ‘fünfte Mai’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거든요
 ‘-r’은 왜 붙은거죠?ㅠㅠ

질문 2) ‘zwanzigste(20.)’부터는 ‘-ste’가 붙는다고 하셨는데 ‘hundertdritt(103.)’은
‘-ste’가 아니라 ‘-te’가 붙어서요 숫자 20이상 ‘-ste’가 붙는 게 아니라
뒤에가 ‘dritt(3.)’이라서 그런건가요?

질문 3) 강의 제목 ‘Welches Datum’, 강의에서 질문 ‘An welchem Tag ist Weihnachten?’에서
‘welch’뒤에 각각 ‘-es’, ‘-em’이 붙었잖아요
강의 제목은 교재에서 중성주격의 어미가 붙었다고 했는데 제가 질문방에서 12과 질문 답변에서
매니저님이 정관사가 함께 쓰일 때의 형용사어미변화를 표로 올려주신 것을 봤거든요
정관사가 함께 쓰이지 않을 때에는 다르게 변화하는 건가요?

질문 4) 교재에 연도설명 중에 ‘2000년부터는 보통의 기수로 읽는다’라고 쓰여있잖아요
그 말이 2000년부터는 백단위에서 끊어 읽지 않는다는 건가요?
제가 예를 봤을 땐 1784년, 1999년은 백단위에서 끊어 읽고 
2001년, 2015년이나 백단위에서 끊어 읽지 않은 것일 뿐 두 경우다 기수로 쓰인 것 같아서요
연도를 나타낼 때는 서수로 나타내지 않나요?

사소한 것들이지만 그냥 지나가자니 계속 생각이 나서요
질문많아서 힘드시겠지만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0

네, 유자님
공부 열심히 하시는군요!! 네, 공부하다가 잘 모르겠는 것들을 말하라고 여기 방이 있는 것이니 여기에 질문을 올리면 되지요. 버터텅 매니저는 버터텅을 ‘정말 잘 배울 사람들이 진짜로 공부하는 곳’으로 만들어나가고 싶습니다. 공부하는 데에 질문이 없다면 죽은 공부입니다. 질문이 생기는 게 당연합니다. 유자님은 버터텅을 잘 이용하고 계십니다.
혹시 시간 나시면 수강후기 한번 올려주세요. 독어공부 시작할 때와 지금의 차이는 무엇인지, 어떻게 시간을 할애해 공부하는지 등에 대해 써주시면 다른 사람들한테도 도움과 격려가 된답니다.

1번 질문에 대해
‘f?nfte Mai’라고 하는 것은 ‘der f?nfte Mai’ 중 ‘der’를 생략하신 것입니다. ‘der’가 붙는 이유는 ‘Tag(날)’이나 ‘Monat(달)’이라는 단어들 모두 남성이기 때문이고 Nominativ(주격)이기 때문입니다. ‘f?nfte’라는 단어 끝에 ‘-e’가 붙은 이유는 남성 Nominativ에서 정관사 der 뒤에 오는 형용사에 어미 ‘e’가 붙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복잡하게 들리지요? 곧 다 배우시게 됩니다.
‘오늘은 5월 5일이다’라는 말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Heute ist der f?nfte Mai. (관사가 있는 경우 der -e)
Heute ist f?nfter f?nfter. (관사가 없는 경우 -er)
Heute ist der f?nfte f?nfter. (달 이름을 숫자이름으로 말한 경우)
Heute haben wir den f?nften Mai. (Akkusativ목적격으로 말한 경우, 관사 있는 경우 den -en)

위와 같이 됩니다. 대략 설명한 것이 이 정도입니다.

2번 질문에 대해
hundertdritte(103.)
네, 맞습니다. 뒤에 dritte가 오기 때문에 ‘-ste’가 붙지 않고 ‘-te’가 붙은 것입니다. 연습문제를 풀다가 틀리니 당황하신 듯한데, 너무 그러실 필요 없습니다.

3번 질문에 대해
네네, 그렇습니다. 정관사가 있을 때의 형용사 어미와 정관사 없을 때의 형용사 어미가 다릅니다. 또 부정관사가 올 때에도 다릅니다. 이에 대해 1번 질문에서도 같은 맥락의 이야기였던 것 같아요. 형용사 어미에 대해서는 우선 정관사를 배우고나서 배우는 게 좋습니다. 정관사는 14과에서 다루니 이것만 공부하셔도 대충 짐작할 수 있는 게 많을 것입니다. 명사 앞에 명사를 수식하는 뭔가가 올 때 그 어미들을 관찰하면 어떤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번 질문에 대해
년도를 읽을 때는 언제나 기수로 읽습니다. 혹시 모를 오해가 있을까봐 ‘기수’라고 특정을 한 것이지, 2000년이라는 숫자부터 기수이고 그 전은 서수라는 뜻은 아닙니다. 2000년이라는 숫자부터는 백단위로 끊어읽지 않고 그대로 읽습니다. 2000 : zweitausend, 2001 : zweitausendeins, 2016 : zweitausendsechzehn…

답변이 모두 되었는지요??? 계속 꾸준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