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과 Welches Datum? | RogPa 님의 질문
Guten Abend! 반갑습니다!
12과 문제 풀다가 작문? 하는 구간에서 년도월일 쓰는 부분이랑
2번 문제 i문항의 “Wann ist Silvester in Deutschland?”에 대한 답변에서도
문장 구조가 특이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결혼한 날짜를 물었는데 시간이 먼저 나오고 맨 뒤에 geheiratet 이라고 답하는 것도 그렇고
문장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는 건지 몰라서 헷갈리네요.
지금 막히면 앞으로 들으면서 문제 풀때도 계속 신경쓰일 것 같은데 답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Guten Abend!!!
3과에 대해 질문 주신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 12과 공부하시는군요, RogPa 님!
혹시 좋은질문방에서 6과에 해당하는 “Wer hat meinen Stift genommen?” 문장에 대한 문답을 읽으셨는지요?
여기에 보면 과거완료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해설이 나옵니다. 한번 가셔서 읽어보세요.
궁금하신 것의 핵심은 아마 ‘geheiratet’같은 게 맨 뒤로 나오는 부분에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과거완료 (Perfekt)문장입니다. 영어의 <have + p.p.> 구조를 아시지요? 독일어도 그와 비슷하게 구성됩니다. 다만 그 ‘p.p.’ 부분이 문장의 맨 뒤로 갑니다. 이것을 잘 알아두신다면 아마 위의 질문들이 모두 스스로의 힘으로 풀릴 것 같은데요.
RogPa님,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만 써 볼게요. 이렇게 드리는 힌트를 통해 스스로 답을 구하신다면 아주 좋습니다. 스스로 생각해보실 시간을 드린다는 의미에서 여기까지 답을 드린 후 내일 오전 중에 다시 답을 이어가겠습니다….
——————–
네. 어제에 이어서 씁니다.
질문하신 해당의 답은 과거완료 문장입니다.
Wir haben am einundzwanzigsten Mai zweitausendvier geheiratet.
위 문장에서 밑줄 친 두 부분이 동사입니다. <haben + 과거분사>인데요, 영어의 <have + p.p.> 구조와 일치합니다. 다만 과거분사가 문장의 맨 뒤로 갑니다.
haben geheiratet(결혼했다)
위의 표현은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결혼식을 한 것을 말합니다. (결혼한 상태는 verheiratet sein)
독일어에서 과거를 표현하는 주된 형식은 저렇게 본동사의 과거분사형이 문장의 맨 뒤로 가는 것입니다. 잘 눈여겨 봐두세요.
다음의 질문 “Wann ist Silvester in Deutschland?”에 대한 교재의 해답에서 어순은 어떻게 된 것일까요…
Silvester ist am einunddreißigsten Dezember in Deutschland. (‘Silvester’는 독일에서 12월 31일이다.)
In Deutschland ist Silvester am einundreißigsten Dezember. (독일에서 ‘Silvester’는 12월 31일이다.)
첫번째 문장은 주어가 첫번째 자리에 오는 평범한 문장입니다. 이에 비해 두번째 문장은 ‘in Deutschland’가 강조되어 문장의 맨 앞으로 왔습니다. 도치되었다고 하죠. 강조를 하기 위한 것입니다. 해석을 잘 들여다보시면 그리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금새 깨닫게 될 것입니다.
덧붙임: ‘Silvester’라고 합니다. 이것을 번역으로 보여줄 마땅한 한국어 단어가 없어서 교재에서는 ‘섣달 그믐’이라고 했습니다만, 사실은 한 해의 끝을 뜻하는 게 아니라, 새해가 시작되는 0시 0분 0초의 순간을 말합니다. 독일에서는 이 순간 온나라의 방방곡곡에서 폭죽을 터뜨리고 샴페인을 마십니다. 늘 그렇습니다. 대학생들은 성탄절을 맞아 고향집에 내려갔다가 이 ‘Silvester’가 되기 전에 다시 학교가 있는 도시로 복귀합니다. 그리고 친구들과 거리에서 폭죽을 터드리고 환호하며 ‘Silvester’를 즐깁니다.
RogPa님! 질문이 해결되었나요?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시 질문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