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에 붙는 ‘-te’, ‘-ste’어미에 대해] 서수 질문!!

12과 Welches Datum? | 앨빈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매일 복습하고 예습하면서 하루에 4시간씩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근데 어제 서수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 서수에서 원래는 기수에 1~19까지는 t가 붙고 20~부터는 st가 붙는 거 아닌가요?
근데 여기 프린터랑 강의에서는 te,ste가 붙는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또 사전에서도
다섯번째면 fuenft라고 나와있지 fuenfte라는 말은 없습니다. ㅠㅠ 그래서 혼동이 옵니다.
무엇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열심히 공부하시는 중인가 봅니다. 우선 진심으로 격려를 보냅니다.

정식으로 서수(Ordinalzahlen)는 기수에 ‘-te’, ‘-ste’가 붙은 형태를 말합니다. 즉 교재와 강의에 나온 그대로입니다. 독일에서 그렇게 가르치고, 독일인들이 만든 독일어 사전과 독일어문법에서 그렇게 정의합니다. 그러니 그렇게 공부하시면 됩니다.

이 버터텅 매니저도 독일에서 그렇게 배웠고, 독일에 살면서 서수를 그렇게 통일해 불렀습니다. 뒤에 e가 붙지 않는 형태, 가령 ‘fünft’를 ‘fünf’의 서수형태라고 들어본 적은 없습니다. ‘fünf’의 서수는 ‘fünfte’이고 다른 무엇도 아닙니다.
독일의 구글(www.google.de)에서 찾아보니 간혹은 그렇게 e가 붙지 않은 형태가 리스트로 나와 있는 것도 있는 것을 봤습니다. 그것은 ‘e’를 하나의 어미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일리가 없지는 않으나 지배적인 견해는 아닙니다. 또 독일인이 만든 표준 독일어 사전에서 제시되는 형태에는 ‘-te’, ‘-ste’가 붙습니다. 
네이버의 독일어사전에서 ‘fünfte’와 ‘fünft’를 찾아보니 각각 서수로서의 뜻이 제시가 되는군요. 다만 ‘fünfte’에서 독일 윅셔너리의 해설이 먼저 나오고 좀더 많은 예시들이 나오네요. 버터텅은 아무튼 표준 독일어에서 정하는 문법을 따르고 있습니다.
또 실제로도 공부하실 때 e를 붙여서 공부하시는 게 입과 귀에 좀더 잘 붙습니다. 그리고 그 입에 붙은 형태를 나중에 다양한 문맥들에서 활용하기에도 좋습니다. 대개의 경우 서수는 정관사와 함께 쓰이는데, 정관사에 따르는 형용사 어미가 언제나 e가 붙은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가령, 다음에서 정관사가 붙은 남성, 여성, 중성의 단어들에 서수를 형용사로 적용한 것을 네 가지 격으로 보겠습니다.
der siebte Mann / den siebten Mann / dem siebten Mann / des siebten Mannes
die zweite Frau / die zweite Frau / der zweiten Frau / der zweiten Frau
das erste Kind / das erste Kind / dem ersten Kind / des ersten Kindes

위 모든 경우에서 e가 붙어있지요?
강의와 교재에 나온 형태대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게 정석이고, 활용하기에도 좋습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