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ht의 위치]

8과 Nein, ich bin kein Arzt. | 내몸을위…님의 질문

nicht의 위치

  • nicht가 문장의 맨 뒤에 오는 경우
    “문장전체를 부정할 때, 특히 짧은 문장일 때 부정어가 문장 끝에 온다”
    라고 설명을 달아 주셨는데 이해가 잘 안가더라구요. ‘문장전체’, ‘짧은’ 이라는 단어가 좀 애매한것 같아요. 그래서 제 나름대로 이해를 해봤는데 이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Nein, ich habe das Buch nicht.” (아니, 난 그 책을 가지고 있지 않아.)
“Nein, ich kaufe das Handy nicht.” (아니, 난 그 휴대폰을 사지 않아.)

위의 두 문장을 보면 nicht가 habe, kaufe를 부정하고 있잖아요? 그래서 저는 “문장의 본동사(?)를 부정할 때 부정어는 맨 뒤에 위치한다.”라고 이해했습니다. 어찌보면 본동사를 부정한다는게 문장전체를 부정한다는 것과 의미가 같아 보이기는 하네요. 여하간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nicht가 문장의 중간에 오는 경우
    이건 이해는 가는데, 예문 몇개가 해석이 잘 안되네요.

“Ich verstehe nicht viel Deutsch.” (나는 독일어를 많이 이해하지 않는다.)

이 문장에서 viel이 부사인지 형용사인지 그리고 nicht가 부정하는 것이 뭔지 정말 헷갈리더라구요. viel이 verstehe를 수식하는 부사인지 Deutsch를 수식하는 형용사인지, 그리고 동시에 nicht가 부정하는게 verstehe인지 viel인지 아니면 viel Deutsch인지 말이에요. 문장 옆의 해석을 보고 겨우 생각해낸게

viel은 verstehe를 수식하는 부사이다. 그리고 nicht는 verstehe, Deutsch가 아닌 viel를 부정한다.(nicht viel이 영어의 rarely같은 부정부사(?)같은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때문에 nicht는 viel의 앞에 위치한다.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뭔가 뒤죽박죽.. 정리가 잘 안되네요..ㅠㅠ

질문의 주제가 어렵고 복잡한 것을 다루고 있고, 질문의 양이 많습니다.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nicht’의 위치는 다른 많은 문장성분의 단어들과의 문법적 관계 속에서 대단히 다양하고 복잡하게 설명될 수 있습니다. 그에 관련된 규칙이 너무 많다고도 말할 수 있는 한편,  그런 규칙들이 있다기보다 사례들이 매우 다양해 그에 대응하는 설명들이 있을 뿐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nicht’의 위치라는 한 가지를 두고 너무 규칙이 많다면, 그것은 이미 하나의 일반화된 규칙이라고 부르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교재에서 설명된 것은 복잡하고 다양한 규칙들을 아주 단순화시켜 초급의 학습자들에게 기본적인 이해와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는 목적에의한 것입니다. 우선 질문 주신 부분에 대한 답변을 한 뒤 ‘nicht’의 위치에 대한 정리의 세목을 열거하겠습니다.

질문 1: 문장 전체를 부정한다는 것은 결국 동사(본동사)를 부정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나?
– 네. 그렇습니다. 문장전체라면 결국은 동사를 부정하는 것일 수밖에 없겠습니다. 잘 이해하셨습니다.

질문 2: 예문 “Ich verstehe nicht viel Deutsch.”에서 ‘nicht’는 무엇을 부정하나, 또 ‘viel’의 품사는 무엇인가…
– 이 질문은 사실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이 버터텅 독일어매니저에게도 설명하기 쉽지 않습니다. 우선 중요한 것부터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nicht’는 ‘viel’을 부정합니다. 그래서 ‘viel’ 앞에 있습니다. 위의 질문에서 추측하신 대로입니다.

‘viel’의 품사가 무엇인지 명확한 답을 드리기는 조심스럽습니다. 예문에서는  ‘많이’라는 의미의 부사로 이해하는 게 맞다는 견해를 드립니다. 독일어에서는 형용사와 부사를 정의하고 경계짓는 것이 그리 간단하지 않고 이에 대한 논란이 많습니다.

‘Er trinkt viel Wasser.(그는 물을 많이 마신다)’

위 예문에서 ‘viel’을 문법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에 대해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단순화자면, ‘viel’을 부사로 생각해 ‘많이’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도 있고, 셀 수 없는 명사 ‘Wasser’ 앞에서 어미변화를 하지 않은 형용사의 형태를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 문제를 좀더 심화하자면 부사(Adverb)와 형용사(Adjektiv)의 관계로 소급하게 됩니다. 부사는 형용사로부터 온 경우가 대부분인데, 때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모두 동의하는 경계짓기와 정의내리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또 형용사 안에 부가어적(attributiv)인 용법과 술어적(prädikativ)인 용법의 구분이 있어 그 중에 술어적인 용법과 부사를 어떻게 구분지을지도 하나의 심도있는 주제에 해당합니다.

 초급자에게 이런 문법에 관한 논란은 대개의 경우 큰 도움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 질문자님의 질문이 나오는 것은 공부를 진지하게 하는 사람에게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니 그때그때 최선을 다해 문제의 얽힘을 풀어보고 넘어가는 것도 마땅한 일입니다.

자, 그럼 처음에 말했다시피 ‘nicht’의 위치에 대해 복잡한 규칙들을 열거해 드리겠습니다. 한번 잘 감상하시고, 연구하실 분은 연구하세요. 다만 초급자를 위한 교재에 아래의 내용이 반영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 ‘nicht’은 특정한 맥락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은 문장의 요소들 다음에 온다.

– 인칭변화하는 동사 뒤
예) Ihr Freund raucht nicht. (그녀의 남자친구는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 목적어로 쓰인 대명사의 뒤
예) Wir kennen sie nicht. (우리는 그녀를 모른다.)

– 일반적으로 목적어 뒤
예) Ich kenne seinen Freund nicht. (나는 그의 친구를 모른다.)

-대개의 시간부사 뒤
예) Sie kommt morgen nicht. (그녀는 내일 오지 않는다.)
예) Wir arbeiten abends nicht. ( 우리는 저녁에 일하지 않는다.)

* 특정한 맥락이 없는 한 ‘nicht’는 다음의 문장요소 앞에 온다

– 술어적인 형용사, 술어적인 명사 앞
예) Das Auto ist nicht schnell. (그 자동차는 빠르지 않다.)
예) Ich heiße nicht Martin. (나는 마틴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 대개의 부사 앞
예) sie spricht nicht laut genug. (그녀는 충분히 크게 말하지 않는다.)

– 전치사가 붙은 명사 앞
예) Das Brot ist nicht für dich. (이 빵은 너를 위한 것이 아니다.)

이밖에도 더 많이 있습니다. 가령 아직 배우시지 않은 부문장에서나 분리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정어 ‘nicht’의 위치 같은 것입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