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과 Nein, ich bin kein Arzt. | 닌더송님의 질문
다른 곳에서는 남성 목적격 앞에 keinen을 사용하는데
왜 Ich bin의 경우 주격 부정관사의 어미를 따라서 kein이 되는 건가요?

답변이 늦습니다.
사실 이 질문은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이 잘 관찰한 끝에 던지는 질문입니다.
Ich bin kein Arzt. (나는 의사가 아니다.)
부정어 kein은 명사를, 좀더 정확히는 체언을 부정하는 단어입니다. 쉽게 말해 그냥 명사를 부정한다고 하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문법적으로 명사를 부정한다는 것은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명사 앞의 관사나 형용사처럼 어미변화를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kein은 경우에 따라 그대로 kein이기도하고 keine, keinem, keinen 등의 형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것의 어미변화는 부정관사와 일치합니다. 부정관사는 명사의 성과 격에 따라 변합니다.
Ich bin kein Arzt. 이 문장에서 kein이 수식하고 있는 것은 Arzt인데, 이 Arzt는 남성명사이고 문장에서 Nominativ의 격입니다. Nominativ란 흔히 주격이라고 번역되는 것으로서 주어나 그에 상응하는 격을 말합니다. ‘나는 의사이다’라고 할 때 ‘나’와 ‘의사’가 모두 Nominativ입니다. <나(주어) = 의사>의 관계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남성 Nominativ의 부정관사는 ein이고, 그와 마찬가지로 부정어 kein도 그냥 kein입니다.
만약 ‘Ich habe einen Stift. (나는 하나의 볼펜을 가지고 있다.)’라는 말을 부정해 ‘나는 어떤 볼편도 가지고 있지 않다’라는 말을 하고 싶다면, ‘Ich habe keinen Stift.’라고 해야 합니다. 여기서 ‘keinen’이 된 이유는 ‘Stift’라는 명사가 남성이고 ‘~을/를’의 의미를 가진 목적격, 즉 Akkusativ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나는 여자가 아니다.’라는 말을 하고 싶다면 어떻게 될까요? ‘Ich bin keine Frau.’라고 말합니다. Frau라는 단어가 여성이고 문장에서 Nominativ이기 때문입니다. 부정관사에 대해서는 27과에서 본격적으로 배웁니다만, 아무튼 이 과에서는 부정어 kein이란 게 있고, 그것은 kein, keine, keinen 등으로 뒤의 명사의 성과 격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이해하시면 됩니다. 만일 Schritt2를 구매하신 상태라면 27과를 미리 좀 공부하셔도 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