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과 …, denn ich habe Hunger.

[weil, da, denn에 대하여]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

41과 | …, denn ich habe Hunger. | 냠냠냠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버터텅 매니저님!
지난번에 질문 글 남기고 갔었는데, 답변 금방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그 때 이후로도 계속 강의 들으면서 공부하고 있어요.
아무래도 혼자 공부하다 보니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네요.  

41과부터 43과를 보다 보니 ‘denn’, ‘weil’, da’ 이 세가지가 모두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이더라구요.  
‘…, denn 주어 동사 …’ ‘…, weil(da) 주어 … 동사’   문장에 적용될 경우, 이렇게 어순이 달라진다는 점은 이해가 가는데요.
혹시 이 표현들간에 미묘한 의미상의 차이나 문법적인 기능의 차이는 없나요?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네, 냠냠냠 님.
오늘도 열공중이시군요. 더운 여름을 이기며 공부하시니 질문들이, 그러니까 많은 좋은 질문들이 자연스럽게 빚어지는 모습입니다. 이제 공부하기 좋은 철이 다가왔으니 더 잘 공부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질문들 하나하나 열매가 되어 언젠가 한아름 거두시게 될 거예요. 그 열매들을 다 맛있게 드시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네요, 냠냠냠…

좋은 질문입니다.
weil, da, denn은 인과(因果, kausal)를 나타내는 문장에서 원인에 해당하는 부분을 이끄는 접속사들입니다. 그 중에 ‘denn’은 엄밀히 말해서 부사로 분류됩니다.
먼저 weil과 da에 대해 이야기해보지요. ‘weil과 da는 교재에도 나오듯 문법적 역할과 의미가 같습니다. 종속절(Nebensatz, 부문장)을 이끌고 동사는 후치됩니다. 종속절 안에서 동사는 늘 후치되지요.
그럼 denn은 무엇인가. denn은 의미상 weil이나 da와 같습니다. 그래서 ‘…이기 때문에’, ‘왜냐하면 …’, ‘…하므로’ 등의 뜻으로 이유(원인)를 나타내는 절을 이끕니다. 다만 문법적 역할이 ‘weil이나 da와 달라 주의를 요합니다. 원인을 나타낸다는 의미상의 역할은 같지만 문법적 역할이 다르다는 사실은 결정적으로 문장에서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말합니다. denn은 종속절을 이끌지 않고 주문장(주절)을 이끕니다. 그래서 동사가 후치되지 않습니다. denn은 문장의 어떤 구성요소보다도 앞에 위치합니다. 마치 und, oder 등처럼 말이죠. 이런 것을 ‘0 위치(null Position)’라고 부릅니다.

Ich möchte dich heiraten, denn ich liebe dich. (나는 너와 결혼하고 싶다. 너를 사랑하니까.)
 
위 예문을 ‘weil, da의 문장으로 바꿀 수 있겠죠. 다음과 같이 말입니다.

Ich möchte dich heiraten, weil ich dich liebe.

[denn과 weil의 문법적 성질] 접속사가 나올 때 동사의 위치가…

41과 | …, denn ich habe Hunger. | tnq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독일어학원에서 A2-1까지 끝내고 현재 A2-2시작했지만,
버터텅으로 schritt3,4를 들으려고 하는 학생인데요.
denn과 weil이 둘 다 접속사이고 둘 다 원인을 나타내는데 왜 denn절에서는 동사가 후치되지않고 weil절에서는 동사가 맨 뒤로 후치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날씨가 추운데 독어 공부에 열중이시군요.

denn과 weil은 둘 다 접속사이고 원인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문법적으로 둘은 서로 종류가 다릅니다.

denn은 병렬적 접속사(Nebenordnende Konjunktion)로서 여럿의 주문장들을 병렬적으로, 동등하게 나열해주는 연결장치라고 하겠습니다. 이 병렬적 접속사는 denn 말고도 다음의 접속사들이 있습니다. aber, allein, doch, nur, oder, sondern, sowohl…
이런 접속사들은 ‘주문장, 주문장, 주문장…’의 형식으로 문장들을 병렬적으로 연결합니다. 의미적으로 어떤 문장이 다른 문장의 이유(원인)이라고 하더라도 형식적(문법적)으로는 병렬적 관계인 것입니다.

weil은 종속적 접속사(unterordnende Konjunktion)입니다. 즉 ‘주문장+부문장’의 형태로 문장들을 연결합니다. weil은 주문장에 종속적으로 연결된 부문장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weil이 이끄는 부문장은 문법(형식)적으로 종속적인 동시에 의미(내용)적으로도 주문장에 대해 종속적입니다. 종속적 접속사들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als, bis, da, damit, dass, ob, wenn, zumal, obwohl
(여기의 접속사들 중에 dass가 있지요? ‘~하는 것’이라고 명사절을 이끄는 dass처럼 weil은 ‘~라는 이유로’라고 명사절을 이끄는 것입니다.)

왜 그렇게 여러 복잡한 접속사들이 각각일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버터텅매니저가 답하기 어렵습니다. 독일어가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입니다. ㅠㅠ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