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과 Tobi muss zum Zahnarzt gehen.

[Schritt 2] 과거완료 현재완료 차이

33과 Tobi hatte Geburtstag. | 져니쓰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보다 궁금증이 생겨 글을 올립니다.
제가 강의를 순서대로 보지 않고 필요한 순서대로 보고 있어요
동사시제부분 공부중인데 제가 못찾는건지 없는건지 모르겠지만 현재완료가 보이지 않아서요
다른 교재로 병행해서 보고 있는데 다른 교재 및 블로그에는
과거완료 : hatte/war(과거) + p.p(과거분사)
현재완료 : haben/sein(현재) + p.p.(과거분사)
이렇게 정리가 되어 있는데버터텅에서는 과거완료에 (현재+과거분사)로 정리가 되어 있더라고요
Ich bin fröhlich gewesen. 이렇게 과거분사 로 설명이 되어있어요..
Ich war fröhlich gewesen. 이렇게가 과거완료 아닌가요?
헷갈리네요..의미가 같은건가요???
제가 이해를 못하는건지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져니쓰 님

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 많이 기다리셨지요..?

독일어는 시제와 그에 따른 동사형태로 다음 다섯 가지가 구분됩니다. ‘haben’동사를 예로 들겠습니다.
1. 현재Gegenwart(현재형Präsens) : haben
2. 미래Zukunft(미래형Futur) : werden haben
3. 과거Vergangenheit(과거형Präteritum) : hatten
4. 과거Verganenheit(완료형Partizip Perfekt) : haben gehabt
5. 대과거Vollendete Vergangenheit(대과거Plusquamperfekt) : hatten gehabt

3번과 4번은 시제가 같습니다. 둘 다 과거인데요, 다만 용례상 구어(口語)인가, 문어(文語)인가로 구분을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번은 문어에서, 4번은 구어에서 쓰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4번인 완료형(Partizip Perfekt)을 한국어로 해석할 때 ‘현재완료’로 할 것인가, ‘과거완료’로 부를 것인가인데 말씀하신 대로 교재에서는 ‘과거완료’라고 부릅니다. 다른 문법설명에서는 ‘현재완료’로 부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것 역시 틀린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현재완료’라고 부를 경우 영어의 ‘현재완료’ 시제가 연상되어 시제를 이해하는 데에 착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영어식의 ‘현재완료’는 독일어에서는 따로 구분되지 않거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독일어에서는 영어에서처럼 ‘현재진행’의 시제나 ‘현재진행형’도 따로 구분되지 않거나 없습니다. 영어에서의 ‘현재진행’은 독일어에서 대개의 경우 과거시제 안에 포함되거나 현재로 편입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과거완료’라 부르는 쪽을 따르는 것인데요, 이것은 근본적으로 해석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공부하시는 입장에서는 그저 ‘완료’라고 부르고 이해해도 무리가 없습니다.

어쩌면 또한 위의 다섯가지 형태들 중에서 5번에 대해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역시 버터텅 교재에서는 언급되거나 다뤄지지 않습니다. 이것은 한국어로 ‘-었’이라는 선어말어미를 붙여 ‘-했었다’라고 진술하는 시제입니다. ‘말했다’가 아닌 ‘말했었다’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독일어에 있긴 있으나 잘 쓰이지 않는 시제이고, 실제로 현재, 과거, 완료 등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중요한 데다, 완료형을 만드는 방식을 이해하면 이 대과거를 이해하거나 만드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기에 교과과정에서 생략했습니다.

[전치사 없는 시간정보는 Akk.]

33과 Tobi hatte Geburtstag. | 저며니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어떤 과를 공부하던 모르는 것이 꼭 생깁니다ㅠㅠ
답변해 주시는 점 항상 감사합니다.

1.Ich hatte ein altes Auto.
나는 과거에 오래된 차가 있었어( 지금은 없다는 뜻)
나는 이미 오래된 차가 있어(예전에 사서 지금도 있다는 뜻)둘 중에 어떤 해석이 맞나요?

2. letzte Woche, letztes Jahr, letzen Monat
독일어 공부할 때 느끼는 어려움 중 하나가 형용사 어미인데요52과를 찾아보니 위의 형용사어미는 모두 akkusativ명사 앞에 오는 어미에 해당되던데 왜 과거시간표현의 예시를 주격이 아닌 목적격으로 제시해주신건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Hallo!!
어떤 과를 공부하던 모르는 게 생겨난다는 말, 이해가 갑니다….
당연히 그러시겠지요…

1,> ‘hatte’는 haben의 과거형일 뿐이다.
그렇습니다. hatte는 haben 동사의 과거형 Präteritum입니다.
haben이 ‘가지고 있다’라는 뜻이니, hatte는 ‘가지고 있었다’나 ‘가졌었다’의 뜻이 되겠죠. 그래서 ‘Ich hatte ein altes Auto.’라고 한다면 ‘난 오래된 자동차 한 대를 가졌었다.’라는 뜻이 됩니다. 그러니 지금은 그런 게 없다는 말이 되죠.
제목에서 보니 과거완료의 뜻에 대해 질문하셨는데 위 hatte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과거완료, 즉 Perfekt라고 하는 완료형 문장은 haben이나 sein동사로 유도되는 과거시제 문장을 말합니다. 이것은 과거완료, 혹은 현재완료라고 번역됩니다만, 영어의 현재완료와는 다릅니다. 그런데 ‘Perfekt’라는 문법용어를 ‘현재완료’라고 번역할 경우, 너무도 많은 학습자들이 영어의 현재완료를 연상해 문장을 뜻을 곡해하곤 합니다. 그래서 그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과거완료’로 부르는 것입니다. 독일어에서 영어의 현재완료와 같은 형태의 문법은 없습니다.
독일어에서 Perfekt, 즉 과거완료, 혹은 완료형 문장은 의미상 과거형(Präteritum)과 같습니다. 즉 그냥 과거를 말하는 문장일 뿐입니다. 예문으로 드신 문장을 완료형으로 바꾸면 다음입니다.

Ich habe ein altes Auto gehabt. (나는 오래된 자동차 한 대를 가졌었다.)

의미상 처음의 과거형 문장과 같습니다. haben 동사는 <haben(현재) – hatte(과거) – gehabt(과거분사)>의 형태로 시제변화합니다. 위 문장의 경우 gehabt라고 과거분사형이 haben(문장의 두번째자리) 동사와 함께 쓰여 과거완료형이 된 것입니다. haben 동사는 완료형에서 haben 동사와 함께 쓰입니다.
haben 동사와 함께 쓰여 완료형이 되는 것은 대개 타동사입니다.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들이죠.
영어의 현재완료형은 독일어에서는 없습니다. 현재진행형도 없고요..


2.> 시간개념은 Akk.로!
네, 이에 대해서 언젠가 해설을 쓴 적이 있어서 좋은질문방에 남아 있을 것인데요, 다시 설명 드리겠습니다. 부제로 달은 것과 같이 문장 안에서 전치사 없이 그냥 시간을 나타낼 때 그 시간들은 모두 Akk.입니다. 가령 ‘몇시에 만나자’라고 할 때는 ‘um …Uhr’라고 나타내고 ‘수요일에 (뭐 한다)’라고 할 때는 ‘am Mitwoch (…)’로 나타냅니다만, 그것이 전치사 없이 그저 ‘한 시간 동안’이라든 ‘한 달’이라고 할 때는 Akk.입니다.

Wir sehen uns jeden Tag. (우리는 매일 만난다.)
Er besucht mich jeden Monat.  (그는 매달 나를 방문한다.)
Nächstes Jahr gehe ich nach Japan. (내년에 나는 일본에 간다.)

위의 예문들에서 ‘매일’, ‘매달’, ‘내년’ 등의 시간들은 모두 Akk.입니다.

[frei haben : (일을 하거나 학교에 가지 않고) 자유롭다] 문장형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2과 Tobi muss zum… | 저며니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너무 짧은 질문이라 죄송합니다ㅠㅠ

Sie hatte kein Wochenende frei. 

이 문장은 주어 동사 목적어 형용사 순서대로 쓰였는데요, 왜 다른 문장처럼 명사앞에 형용사가 오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는 Sie hatte kein frei Wochenende가 맞는 것 같아서요!!
 Hallo, 저며니 님!
그냥 바로 답변을 드릴게요.

Sie hatte kein Wochenende frei. (그녀는 주말에도 쉬지 않았다.)

위 문장에 대해 질문하셨습니다. 왜 다른 문장에서 처럼  명사 앞에 형용사가 오지 않은 것인지 궁금하다고 하셨는데요, 명사 앞에 형용사가 오는 것은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죠. 그런데 위 문장은 frei가 Wochenende를 수식하는 게 아니기에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frei haben : 일을 하거나 학교에 가지 않고 자유롭다

위와 같은, 뭐랄까요, 숙어적인 표현이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붙여서 하나의 동사로 쓰기도 합니다. ‘freihaben’입니다. 하나의 동사입니다. 떨어뜨려 쓰면 숙어적 표현이고, 붙인다면 분리가 가능한 하나의 동사입니다.
위 예문은 이 동사 혹은 숙어적 표현을 쓴 것입니다. 만일 이런 동사 혹은 숙어적 표현을 미리 알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frei’라는 뜻을 대충 알고 있다면 문장의 의미나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frei’가 왜 ‘Wochenende’를 수식하지 않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은 ‘왜 그것이 Wochenende’를 수식해야만 하는가’라는 반문이 될 수 있습니다. 형용사가 언제나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아니고, 이것은 너무도 흔하고 쉬운 문법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저며니 님의 질문 글에서의 제언대로 다음과 같은 문장을 만들어볼 수는 있습니다.

Sie hatte kein freies Wochenende.

‘freies’라고 형용사 뒤에 어미가 붙음에 유의하시고 보시면 위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문법적으로 틀리지 않아요.
그런데 독일어에서는 위와 같은 표현은 거의 쓰지 않고 제시된 예문과 같이 말합니다.

형용사 어미 질문이요!

32과 Tobi muss zum… | rachel_kang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형용사 어미에 관해 궁금한 것이 생겨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Man soll viel Milch trinken. 

여기서 die Milch 인데 왜 viele라 하지 않고 viel 이라 하나요??
여성형에 Akkusativ가 오면 -e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 질문은 사실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하지만 대답하고 해설하기가 쉽지 않은 질문들 중 하나입니다.

viel의 쓰임은 다양합니다. 문법학자들은 형용사, 부사, 수사, 대명사로 정의하고 그 안에서도 정리가 그리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남아 있습니다.

우리가 독일어의 기본문법을 배우며 viel에 대해 생각해야 할 것은 형용사와 부사로서의 용례들입니다. 

Vielen Dank! (감사합니다!) (직역: 많은 감사를 (가지세요)!)

위에서 viel은 Dank라는 남성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로서 Akk.이므로 -en이 붙었습니다. 이런 경우는 형용사입니다. 그런데 다음의 경우를 보세요.

Viel Glück! (행운이 있기를!) (직역: 행운을 많이 (바라요)!)

Glück은 중성명사인데, 만일 여기서 Vielen Dank와 마찬가지로 형용사로 쓰였다면 ‘Vieles Glück!’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는 ‘Ich wünsche dir viel Glück!’을 줄인 말로서 부사로 쓰여 ‘행운이 있기를 많이 바란다’의 줄임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viel은 부사입니다.

viele Leute (많은 사람들)
viele Bücher (많은 책들)

위와 같이 쓸 때는 형용사로 쓰입니다. 그런데 다음을 보세요.

Ich lese viele Bücher. (나는 많은 책들을 읽는다.)
Ich lese viel Bücher. (나는 책들을 많이 읽는다.)

의미적으로는 다 같은 것을 말하겠으나, 위의 두 경우는 viel이 형용사와 부사로 각각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제가 독일어를 배울 때는 viel이 셀 수 있는 명사에 대해 말할 때는 형용사로 이해해 어미변화한다고 생각하고, 셀 수 없는 명사와 관련될 때는 부사로 생각하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복잡한 것을 배우기 위해 편의상의 정리라고 생각합니다만, 이것도 회원님을 위한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Milch나 Wasser는 셀 수 없는 명사이기에 부사로 쓰인다고 생각하시면 문제가 조금 간단해집니다.

Er trinkt viel Milch.
Er trinkt viel Wasser.
Er trinkt viel Bier.

뭐든 마시는 것은 위와 같이 씁니다.
‘Vielen Dank!’를 제외하면 대개의 추상명사들 앞에서도 viel은 부사로 쓰이고 어미변화하지 않습니다.
일반명사에 있어 의미상 viel은 형용사로 쓰일 경우 ‘많은’이라는 뜻이기에 복수만을 수식할 수 있습니다.

위에 정리한 것 정도를 우선 이해하고 알아두시면 별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viel의 보다 정확한 문법적 정의는 나중에 고급 이상의 수준이 되셨을 때 연구하시어 제게도 가르쳐주시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