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과 Was kann ich und was darf ich?

[können과 dürfen의 차이] 문장 질문

30과 Was kann ich… | 별명없음zz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Schritt4까지 듣고, 다시 처음부터 복습하고 있어요.
쉽지는 않지만 열심히 해보려고 노력중이에요!!
30강을 보다가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Mein Hund ‘kann’ im Haus schlafen.
Er ‘darf’ aber nur draußen spielen. 

첫번째 문장의 ‘kann’을 ‘darf’로 바꿔도 의미가 성립되지 않나요?
예로 제시된 다른 문장들의 경우에는 ‘kann’과 ‘darf’의 뉘앙스 차이가 잘 느껴졌는데,
저 문장에서는 경계가 조금 모호하게 느껴져서요…
이 경우에 둘 다 적용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아! 그리고 혹시 저 문장에 각각 ‘kann’과 ‘darf’를 적용했을 때, 의미의 차이점을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별명없음 님!
요즘 공부 열심히 하시나 보네요? ^^

그렇죠. können과 dürfen은 때로 그 활용의 경계가 모호하죠. 영어에서는 can이 일차적으로 ‘능력’을 뜻하는 것에서 나아가, ‘허락’을 나타냅니다. 독일어에서는 이 ‘능력’과 ‘허락’이 원칙적으로는 können과 dürfen으로 구분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때로 모호합니다.  아마도 그 주요한 원인은 ‘허락’의 범주탓인 듯합니다. ‘허락’이란 게 처음부터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사회적 관계의 여러가지 특수사항에 얽힌 것이어서 ‘허락’을 능력인 ‘können’의 형식으로 빌어 표현하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게 됩니다. 가령, 다음의 A와 B의 대화를 봅시다.

A: Darf ich das Wasser trinken? (내가 이 물을 마셔도 됩니까?)
B: Ja, das können Sie tun. (네, 그러셔도 됩니다.)

같은 행동을 두고 A와 B는 각각 dürfen과 können을 쓰고 있습니다. 특히 B는 위 상황에서 ‘물을 마신다는 것’이 능력의 범주가 아님에도 ‘dürfen’을 씁니다. 기껏 물 한잔 마시는 것을 두고 허락을 하는지 마는지 하는 것이 지나친 표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겠지요. 아무튼 이렇게 두 화법조동사는 상황에 따라 서로의 경계를 넘나들며 쓰입니다.

질문의 예문에서 ‘darf’로 써도 됩니다. 하지만 분석을 해보자면, 그 다음 문장에서의 ‘darf’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 ‘kann’을 쓴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이것은 ‘darf’를 연달아 두번 쓴 것보다 자연스럽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질문이 있습니다.
– “아! 그리고 혹시 저 문장에 각각 ‘kann’과 ‘darf’를 적용했을 때, 의미의 차이점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위 질문에 대해서는 아마도 두 화법조동사를 서로 바꿔쓰면 어떻게 되는지 묻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Mein Hund darf im Haus schlafen. (나의 개는 집안에서 자도 된다.)
Er kann aber nur draußen spielen. (하지만 그는 단지 밖에서만 놀 수 있다.)

이렇게 두 화법조동사를 바꾸니 문법에는 맞지만, 어쩐지 조금은 어색한 것 같습니다만 뜻은 통합니다. 자연스러운 것은 원래의 두 문장처럼 ‘darf’가 두번째의 문장에 ‘aber nur’ 와 함께 분명하고 강하게 허락을 나타낼 때입니다. ‘aber nur’가 ‘그러나 단지’라는 뜻으로 허락을 표현하는 문맥에서 잘 어울리는군요.

[‘bitte’의 여러가지 의미] 예문, 연습문제 질문

30과 Was kann ich… | 내몸을위… 님의 질문

1. Kann ich bitte eine Tasse kaffee haben?
2. 2-c) Wir dü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1. Kann ich bitte eine Tasse kaffee haben?다른 예문과는 달리, 동사가 두 개나 있어서 좀 헷갈리네요. bitte가 ‘부탁하다’ 라는 뜻이니 적당히 의역해서 “커피 한 잔 해도 될까요?” 라고 해석하긴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bitte가 왜 저 중간에 있는건지 모르겠어요.. 

2. 2-c) Langsame Autos d?rfen nicht auf die Autobahn fahren.
nicht가 부정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가요?? “dürfen” 인가요? 아니면 “auf die Autobahn fahren.”인가요?? nicht 는 부정하는 것의 앞에 위치한다고 배웠지만, dürfen을 부정하는 것도 뜻이 통하는 것 같아서요. 
1번의 ‘bitte’는 동사가 아닙니다. 영어의 ‘please’와 같은 것입니다. ‘Kann ich bitte …?’를 영어의 ‘Can I please …?’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아마 이해가 될 것 같은데요. 이 ‘bitte’는 한국어에서 뭘 달라고 부탁할 때 ‘좀’ 이라는 말을 쓰는 것과 같습니다. 한번 사람들이 어떨때 ‘좀’이라는 말을 쓰고, 어떨때는 그냥 달라고 하는지 생각해 보세요. ‘bitte’는 부탁을 표현하기 위한 부사입니다. 이 단어는 쓰임이 아주 다양하고 일상생활에서의 활용빈도가 아주 높습니다. 이제 ‘bitte’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1. 우선 부사로서 부탁을 할 때 공손의 표시로 덧붙이는 bitte: ‘좀’, ‘제발’ 등의 의미. 위의 예문의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Kann ich bitte eine Tasse Kaffee haben? (나 커피 한잔 할 수 있을까요?)
– Kannst du bitte mir mein Handy geben? (내 휴대폰 좀 줄래?)
– Gehen Sie bitte weg! (제발 좀 가주세요!)
– H?ren Sie bitte gut zu und sprechen Sie bitte nach. (잘 듣고 따라하세요.)

2. 동사 ‘bitten’: ‘부탁하다’의 의미: <bitten – bat – gebeten>으로 시제변화함.
– Ich bitte dich. (부탁한다, 부탁 좀 하자, 제발 부탁이다…)
– Wir bitten um Entschuldigung. (우리는 용서를 구합니다(죄송합니다).)
– Er hat darum gebeten, den Termin auf Mittwoch zu verschieben. (그는 약속을 수요일로 미루자고 부탁했다.)

3. 명사로서의 Bitte: 여성명사이며 ‘부탁’이라는 뜻
– Ich habe eine Bitte… (부탁이 하나 있어요…)
– Er hat an ihre Bitte gedacht. (그는 그녀의 부탁을 생각했다.)
– Das ist aber keine Bitte. Das ist ein Befehl! (그런데 그것은 부탁이 아니죠. 하나의 명령이죠!)

1번의 부사적 용법에 대한 여록: 부탁을 표현할 때 넣는 것 외에 다음의 용법이 있습니다.
– Danke sehr! / Bitte sehr! (감사합니다! / 천만에요!)
– Wie bitte? (뭐라고요?)
– Bitte! (-‘자, 여기요!’ 등의 뜻으로 상대를 위해 물건 등을 건네며 하는 말.)

방금 위에서 설명한 부사로서의 ‘bitte’라는 말, 언제나 쓰는 말입니다. 좀 웃기게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
– Bitte! ^^              (‘자, 여기요! ^^’)
– Bitte schön! ^^    (천만에요! ^^)
– Bitte…. ㅠㅠ          (제발요… ㅠㅠ)
– Bitte???              (뭐라고???)
 
전혀 다른 의미들이 ‘bitte’로 통하지요? 단어를 어떤 맥락에서 어떤 어감으로 말하느냐에 달린 것인데, 독일어의 조금 웃기는 부분에 해당한다고 하겠습니다. ^^



2번. 맞습니다. 문장의 두번째 자리에 오는 동사를 부정할 때는 동사 뒤에 바로 붙여서 ‘nicht’를 씁니다. 그럼으로써 문장 전체가 부정되기도 합니다. 예문에서 ‘nicht’는 ‘d?rfen’을 부정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버터텅 매니저는 저 문장 읽을 때 그냥 그런 생각 없이 읽습니다. ‘auf die Autobahn’을 부정한다고 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신발을 신다’ – tragen과 anziehen]

30과 Was kann ich… | N1ST5YA 님의 질문

Hallo! Guten Abend!
의아한 부분이 생겨서 질문드려요!

강의예문으로도 나온 a)항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에서 tragen은 찾아보니 나르다,운반하다,받치다,싣고있다의 뜻인데..
이 문장에선 신발을 신고있다로 해석되던거 같습니다.
근데 31과에서 anziehen이라는 동사도 신발을 신다라는 뜻인데
두 단어의 차이점이 어떻게 되며 각각 어떤 경우에 쓰이나요?
Guten Tag!!

tragen은 여러가지 뜻이 있습니다.
첫번째, 우선 몸에 무언가를 부착하거나 매거나, 손으로 들거나, 어깨에 지거나, 목에 매거나 하는 등의 모든 것을 tragen으로 표현합니다. 그 연장선상에서 나르다, 운반하다 등의 뜻도 포함됩니다.
옷이나 모자, 안경, 신발, 장신구(시계, 목걸이 등) 등도 모두 tragen 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나무 등의 식물이 열매를 맺어 달고 있는 것도 tragen입니다.
셋째는, 비용을 부담하는 것에도 tragen 동사를 쓸 수 있습니다. 짐을 진다는 의미에서이겠지요.

anziehen은 재귀대명사와 함께(sich anziehen) ‘옷을 입다’의 뜻으로 씁니다. 신발을 신는 것에도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경이나 모자, 시계 등의 장신구는 아닙니다.
Zieh dir Schuhe an! (신발을 신어라!)
Du sollst im Zimmer keine Schuhe tragen. (너는 방에서 신발을 신지 않는 것이 좋다)

anziehen에는 옷을 입거나 신발을 신는 행위에 초점이 있고, tragen에는 옷을 입고 있거나 신발을 신은 상태에 초점이 있습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여기에서는 신발을 벗으라’는 말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Bitte tragen Sie hier keine Schuhe. (여기에서는 신발을 신고 있지 마세요.)
Bitte ziehen Sie Schuhe hier aus. (여기에서 신발을 벗어주세요.)

조금 미묘하게 뜻의 차이가 있지요? 두번째 예문에서는 이 장소에서 신발을 벗어달라는 말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장소에서 신발을 신고 있지 말아달라는 뜻으로는 첫번째가 더 적합합니다.

tragen이 옷이나 신발을 입고 있는 상태를 뜻한다고 할 때 그와 유사하게 ‘anhaben’이라는 동사를 쓸 수 있습니다.  anhaben은 옷과 신발에 한정해서만 쓰입니다. (안경에도 anhaben을 쓸 수는 있으나, 대체로는 tragen을 씁니다.)
Bitte haben Sie hier keine Schuhe an. (여기에서 신발을 신고 있지 마세요.)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anhaben. (한국에서는 집에서 신발을 신고 있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정(nicht의 위치 5)] 질문이 있습니다

30과 Was kann ich… | 무민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오늘도 30과까지 열심히 들었어요 🙂  이미 아는 문법인데 뉘앙스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ㅠ_ㅠ.. 30과에 다른 분들이 질문한것에 대한 대답으로 매니저님이 답변을 달아준것을 읽어봤는데요 

<2번. 맞습니다. 문장의 두번째 자리에 오는 동사를 부정할 때는 동사 뒤에 바로 붙여서 ‘nicht’를 씁니다. 그럼으로써 문장 전체가 부정되기도 합니다. 예문에서 ‘nicht’는 ‘d?rfen’을 부정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버터텅 매니저는 저 문장 읽을 때 그냥 그런 생각 없이 읽습니다. ‘auf die Autobahn’을 부정한다고 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에 따른 질문이 4가지 정도 있어요!

1) 답변에 따르면 In einer Bibliothek darf man nicht laut reden.에서 daft바로 뒤에서 nicht가 부정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man은 not loud하게 reden 해도 좋다(darf) 이 뜻인가요?ㅠ.ㅠ  darf과 nicht 사이에 부가어가 들어가더라도 여전히 뜻이 ~하면 안된다 라고 유지가 되는건가요?

2) 그리고 darf가 해도 좋다 라는 허락의 의미라고 했는데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를 직역해보면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집에서 신발을 신지않는것을 해도 좋다 라고 해석이 되잖아요 그런데 실은 뉘앙스가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집에서 신발을 신으면 안된다 였는데 그럼
darf nicht = 하면 안된다 라는 의미가 혹시 darf + kein(e) 일 경우에도 같이 적용이 되나요?

3) 연습문제 b와 c에 저는
Sie kann nicht das Rezept finden.이라고 했는데 답은Sie kann das Rezept nicht finden. 이더라구요 이것 역시 kann + nicht가 바로 붙어서 문장 전체를 부정하는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둘의 의미차이가 있나요?ㅠ.ㅠ
마찬가지로
Wir due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이 답인데 저는Wir duerfen nicht nachts in den Park gehen.으로 답을 썼거든요 이것 역시 
duefen  + nicht를 붙여서 우리는 밤에 공원에 가는 것 을 하면안된다 라고 전체적으로 부정을 한다고 생각했는데 둘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헷갈리는 이유가 e에 있는 Langsame Auto duerfen nicht auf die Autoban fahren.의 경우에는 duerfen 과 nicht가 붙어있는게 답이라서요 ㅠㅠ 부정어 nicht의 위치는 본동사일때나 조동사일때나 늘 저를 어렵게 합니다ㅠ-ㅠ도와주세요 매니저님 늘 질문으로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해요 아마 오늘을 마지막으로 해서 한동안은 진도 빼기 어려울 듯 싶고 복습할 것 같아서 더 이상 질문 공격은 안할게요*_* 감사합니다
1. (또) nicht의 위치…. ㅠㅠ
문장에 두번째 자리에 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동사, 혹은 문장 전체를 부정할 때 동사 바로 뒤에 nicht를 쓴다는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정치문에서의 기본을 말하는 것입니다. 주어가 도치된 문장에서 동사 뒤에 가는 주어의 자리는 nicht보다도 강력해서 nicht는 그 뒤로 가는 것입니다.
문장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 주어와 동사의 위치는 가장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두번째 자리의 동사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의 문장 맨 끝 본동사, 부문장에서의 맨끝자리로 모두 모이는 동사들… 이렇게 동사의 위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은 주어의 위치입니다. 정치문장에서는 맨 처음에 주어가 오고, 도치된 문장에서는 동사 바로 뒤로 갑니다. 그 어떤 다른 요소들도 지금까지 설명한 주어와 동사의 위치보다 먼저 그 자리를 차지하지 않습니다. In einer Bibliothek darf man nicht laut reden. 이 문장에서 nicht가 동사 바로 뒤가 아닌 그 다음에 온 주어의 뒷자리로 간 까닭은 그것입니다.

2. d?rfen kein-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한국에서는 집안에서 신발을 신고 있으면 안된다.)
네 그렇습니다. ‘d?rfen nicht’ 대신에 ‘d?rfen kein-‘인 것입니다. 부정어로서 nicht나 kein-이 부정하는 바는 같습니다.

3. (역시나) nicht의 위치… ㅠㅠㅠ
다음 두 문장들의 차이를 묻는 질문입니다.

Sie kann nicht das Rezept finden.
Sie kann das Rezept nicht finden.

두번째의 것이 좀더 자연스럽게 들리나, 위 두 문장 모두 괜찮습니다. 의미차이는 없습니다. 그 다음의 예로 질문하신 두 문장도 마찬가지입니다. Wir due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Wir duerfen nicht nachts in den Park gehen.

여기까지 설명드리면 질문에서 그 다음의 예문에 대한 부분도 통하는 것이겠네요.

——————————–
바쁘면 잠시 휴강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질문공격’이란 말 웃겨서 좋습니다. ^^ ‘질문폭탄’, ‘핵질문’… 뭐 이런 단어들도 연상되더만요….ㅋㅋ

[화법조동사와 nicht] 30과 질문

30과 Was kann ich… | 유자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30과 공부중에 질문할 것이 있어서요!

질문 1) 연습문제 1-c 문장 Kleine Kinder d?rfen noch nicht Alkohol trinken.
연습문제 2-c 문장 Wir d?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이 두개에 문장에서 부정어 nicht가 부사 뒤에 쓰였잖아요
제가 8과를 공부할 때 nicht는 부사 앞에 쓰인다고 질문방 답변에서 봤는데 
항상 부사 앞에 쓰이는 것은 아닌가요?ㅠㅠ

질문 2) 연습문제 1-g Darf ich Sie duzen?에서 해석해보면 나는 당신에게 말을 놓아도 괜찮나요? 이런거 같은데
그렇다면 Sie가 Dat.로 쓰여야하지 않나요??Darf ich Ihnen duzen?
이렇게 되는게 맞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안녕하세요 유자님!
30과에 오셨군요! 어떤가요? 이제 독일어가 조금씩은 들리나요?

오늘 우리가 또다시 그 ‘nicht의 위치’란 주제에 맞딱드렸네요… ㅠㅠ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그 화법조동사의 의미를 부정할 때 ‘nicht’는 그 바로 뒤에 붙습니다. 2번째 자리인 동사의 위치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평서문에서 말이죠).  그래서 예문을 noch와 같은 부가어적 요소들을 빼고 쓴다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Kleine Kinder d?rfen nicht Alkohol trinken. (작은 아이들은 술을 마시도록 허락되지 않는다.)

그런데 위의 문장에 ‘아직’이란 뜻의 ‘noch’를 넣어 ‘아직 안된다’라는 뜻을 만들려면 ‘nicht’의 앞이 됩니다. (왜 그렇게 하는지 묻는다면 이 매니저로서도 별로 할 말이 없습니다. 그렇게 독일어에서 쓰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noch nicht’라고 ‘아직 아니다’라는 표현을 늘 써왔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이 부분은 영어의 ‘not yet’와 다르군요.
‘Noch nicht(아직 아니야)!’ 이렇게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숙제 다 했니?’, ‘그를 잊었니?’, ‘영화가 끝났니?’하는 등의 물음에 그렇게 대답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결론적으로 1-c 문장에서 nicht는 d?rfen을 부정하는데 동사의 그 위치를 대신할 수 없기에 바로 뒤로 갑니다. noch는 아마도 상용적으로 ‘noch nicht’라고 표현해서인지 다소 예외적으로 ‘nicht’ 앞에서 위치합니다. 어쩌면 두 단어가 단단히 묶여져 그대로 ‘아직 아님’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 그동안 이 주제에 관해 특별히 많은 질문과 설명이 있었는데요, 사실은 이 ‘nicht의 위치’에 관한 규칙이 너무 많아 규칙이라고 말할 수도 없는 지경이고, 또 이들을 모두 설명한다고 해도 초급독일어 과정에 있는 학생에게 별로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는 개인으로서 경험을 말하자면 ‘그냥 그대로 배웁니다’. ‘d?rfen nicht(허락되지 않다)’라고 배우고,’d?rfen noch nicht(아직 허락되지 않다)’라고 듣고배워 활용해 나아갑니다. 이것 말고라도 분석하고 정리해야할 문법사항들이 너무 많고, 어떤 비슷한 개념들이 어떻게 구분되어 활용되는지, 교육받은 독일인에게 물어도 만족스러운 해명을 듣기 어려운 경우들도 허다하기 때문입니다. 또 기본적으로 부정되는 것 앞에 ‘nicht’ 가 있다거나, 화법조동사의 부정은 바로 그 뒤에서 한다거나, 짧은 문장(동사가 하나인)의 부정은 문장 맨 끝에 nicht가 온다는 것 정도를 원칙으로 알고 배워나가면서 그것에서 조금 어긋나는 듯한 것, 가령 ‘noch nicht’와 같은 것을 눈여겨 익혀두는 것 이상으로 배움의 방법이 있을 수 없을 듯합니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회원님들이 8과에서 ‘nicht’의 위치를 학습하는 것에 학습초점이 있었던 탓에 이 문제에 질문을 많이 하신 것을 잘 이해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 것 이상의 학습방법이나 규칙에 대한 설명이 초급자 여러분께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듯합니다……..)

다음 질문 ‘Wir d?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에서의 ‘nicht의 위치(!)’

네. 여기서 nicht는 바로 뒤의 ‘in den Park’를 부정하고 있는 것이죠. 정석대로입니다. 앞에 nachts는 nicht가 부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즉 이 문장의 부정논리만을 가지고 과장을 해보자면, ‘밤에 거리의 컴컴한 뒷골목은 돌아다녀도 되나 공원을 가면 안된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과장을 한 농담을 해보자면 말입니다.). 아무튼 nicht는 여기서 부정하려는 부분 앞에 있는 것입니다.

다음 문제  ‘Darf ich Sie duzen?’에 대하여:
‘duzen’은 ‘mit “du” anreden(‘du’로 부르기)’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Akk. (jemanden)와 함께 쓰입니다. ‘(누군가를) ‘du’로 부르다’라는 뜻이기 때문에 그런 듯합니다. 즉 ‘부르다’라는 것때문에 ‘누구를’이라는 Akk.를 목적어로 취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siezen’에도 마찬가지로 해당합니다.

Er duzt alle seine Leute. (그는 (그의) 모든 사람들에게 반말한다. (직역: 그는 (그의) 모든 사람들을 ‘너’라고 부른다.))
Sie k?nnen mich ruhig duzen. (나에게 말을 놓으셔도 됩니다.)
Er duzt seinen Professor. (그는 그의 교수에게 반말을 한다.)

[나홀로 화법조동사 – 본동사는 없고 조동사만 있는 문장] 소소한 질문 4가…

30과 Was kann ich… | bonbon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매니저님!
아직 초반이지만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습니다ㅠ.ㅠ

1. 교재 중에 그림이 나오는데, 거기 단어들로 문장을 만들어봤습니다. 그런데 können 부분에 ‘sich Geld leihen’ 으로 문장을 만들려니 잘 안되네요..
-> In einer Bibliothek kann man sich nicht Geld leihen.
예문 1-j를 참고해 문장을 만들었지만, sich의 위치와 그에 따른 nicht를 어떻게 해야 할지 애매합니다.

2. 예문 1-b 에서 본동사의 여부입니다.
Mit 4 Jahren kann man bereits laufen,aber man darf nicht alleine auf die Straße.여기서 두 번째 문장엔 본동사 원형이 없습니다. 첫 번째 문장의 laufen 동사가 중복되는 걸 제외시킨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화법조동사 문장에서 본동사가 없어도 되나요?

3. 내가 무엇을 해도 될까요? 라는 말을 하고 싶을 때,
Kann Ich ~? / Darf Ich ~?두 가지 표현을 다 쓸 수 있지만, ‘Darf Ich’ 가 좀 더 정중한 표현으로 보인다는 차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4. 문제를 풀 때엔 딱히 헷갈리거나 어렵다는 생각 없이 그냥 nicht의 위치를 넣었었습니다. 그런데 좋은질문방의 질문과 답변을 읽다가 생각해보니 무언가가 헷갈리기 시작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약간 애매한 것이
Ich kann das Problem nicht lösen.여기서 nicht의 위치를 고려해서 굳이 엄밀하게 해석을 해본다면,
(나는 다른 문제들을 풀 수는 있는데, 이 문제를 못 풀겠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을까요?

질문을 다 적고보니 조금 난잡하네요…ㅠㅠ
안녕하세요, bonbon님!
열심히 공부하시나보네요? 독일어는 원래 배우면 배울수록 어려워집니다.

1번.
 In einer Bibliothek kann man sich nicht Geld leihen.
위 문장은 문법적 오류가 없습니다. 하지만 ‘nicht’대신에 ‘kein’을 쓰는 것이 훨씬 더 좋습니다. ‘nicht’는 문장 안에서 모든 부분을 부정할 수 있지만, ‘kein’은 명사만을 부정하는데요, 말하자면 명사를 부정하기 위해 특화된 것이 ‘kein’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래서 ‘sich kein Geld leihen’이라고 하는 것이 뭔가 더 깔끔합니다.
작문하신 그 문장에서 ‘nicht’는 ‘Geld’를 부정한다기보다, ‘sich leihen’을 부정한다고 하겠습니다. 재귀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sich와 같은 재귀대명사는 동사 뒤의 세번째 자리에, 그리고 nicht는 바로 그 뒷자리인 네번째 자리에 옵니다. 위 예문에서는 ‘in einer Bibliothek’이란 구절이 도치되어 앞으로 왔기에 그렇게 된 것입니다.


2번.
본동사 없이 화법조동사(Modalverben)만 있는 문장에 대하여….
그렇습니다. 본동사 없이 화법조동사만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좀 구어(口語)적인 느낌을 줍니다. 그러나 명확히 구어라는 것은 아니고요.
대체로 뒤에 올 본동사가 너무도 분명해 그것을 생략해버리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령 예문에서처럼 ‘Mit 4 Jahren kann man bereits laufen, aber man darf nicht alleine auf die Straße.’의 첫부분 본동사 ‘laufen’이 나왔으니 뒷절에서는 그것을 그냥 생략해버린 것이지요. 여기에 ‘gehen’과 같은 동사도 올 수 있겠네요. ‘laufen’이든, ‘gehen’이든 뻔하므로 생략한 것입니다. 다음의 예문을 보세요.

Er kann gut Deutsch. (그는 독일어를 잘 한다.)
Das darfst du nicht. (너는 그러면 안 된다.)
Wollen wir? ((우리) 할까?)

위의 세 문장들과 같은 예에서는 앞뒤 맥락이 없는데도 통념상 너무 뻔하므로 본동사가 생략되었습니다. 화법조동사만으로 의미가 완성되는 것이죠. 한번 생략된 본동사를 넣어볼까요?

Er kann gut Deutsch sprechen. (그는 독일어를 잘 구사할 수 있다.)
Das darfst du nicht tun. (너는 그것을 하면 안 된다.)
Wollen wir es machen? ((우리) 그것을 할까?)

좋은 질문이었네요. 꼼꼼히 공부하다보면 이런 질문이 나오게 마련입니다.


3번.
아무래도 그렇죠. ‘Darf ich…?”라고 말하는 게 ‘Kann ich…?’라고 묻는 것보다 더 예의바른 어법이겠죠. 영어에는 대응되는 조동사가 없는 ‘dürfen’은 독일어의 특성을 생각하게 합니다. 독일어에는 무척이나 격식을 갖추는 표현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du와 Sie의 구분 같은 게 있지요. 모든 편지는 호칭으로 시작해 끝인사와 자신의 이름 등이 들어가야만 합니다. 이메일도 마찬가지입니다. 격식과 예의를 중요시하기 때문입니다. ‘Darf ich…?’라고 묻는 것은 겸양의 표현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4번.
‘Ich kann das Problem nicht lösen.’ (나는 이 문제를 못 풀겠다.)
이 문장은 괄호 안에 있는 해석 그대로의 뜻입니다. ‘다른 문제를 풀 수 있는데’라는 뜻이 숨어 있지는 않습니다. 그저 어떤 문맥에 따라 그렇게 될 수는 있겠지요. 하지만 저 문장 자체로는 그저 괄호 안 해석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계속 잘 공부하시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Mach’s gut!!

[dürfen(해도 된다)과 können(할 수 있다)의 의미 차이] 30과 연습 문제 질문

30과 Was kann ich… | 신선한 …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네요.
사실 한동안 일이 바빠져서 인강을 많이 못 들었어요… 지금은 잠시 휴강하고 복습하고 있는 상태입니다ㅠㅠ 올해 안으로 SCHRITT2를 끝내고 싶은데 말이에요. 이제 독일 갈 날이 세 달밖에 안 남았는데 정말 걱정입니다.. 30과 들어오면서 정말 어려워졌네요.. 복습 빨리 끝내고 다음 주중으로 복귀해야겠네요!! 공부하다가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1. dürfen(해도 된다)과 können(할 수 있다)의 의미 차이:
이 두 조동사가 의미상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그런지 좀 헷갈리네요 ㅠ연습 문제에서 의미가 같은 것 같은데 바꿔 쓰면 틀린 건가요?f) Sie dürfen ihre Fragen jetzt stellen. 당신은 지금 질문을 해도 된다.dürfen 대신 können이 쓰이면 ‘당신은 지금 질문을 할 수 있다.’        h) Kann ich meinen Kaffee hier hinstellen? 제 카피를 여기에 둘 수 있나요?Kann 대신에 Darf를 쓰면 제 커피를 여기에 둬도 되나요?

2. 화법 조동사의 부정형:
어떤 문장에서는 명사를 부정하는 kein, 형용사/부사를 부정하는 nicht가 쓰였는데 언제 kein과 nicht를 쓰는지 헷갈립니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이 서로 바꾸어서 표현할 수도 있나요?
a)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Schuhe nicht tragen.l) Ich kann das Problem nicht lösen.→ Ich kann kein das Problem lösen.n) Sie können mir keine Informationen geben.→ Sie können mir Informationen nicht geben.

3. 의미 해석:
아래 문장의 해석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b) Mit 4 Jahren Kann man schon laufen, aber man darf nicht alleine auf die Straße.  
네 살 때 걸을 수 있지만 그러나 길에 혼자 걸으면 안 된다..
j) Sie kann sich nicht entscheiden. 그녀는 결정할 수 있다.
q) Wir können am Wochenende zu dem See fahren. 우리는 주말에 호수에 갈 수 있다.
2-d) Du kannst eine Reise gewinnen. 너는 여행을 얻을 수 있다.
 안녕하세요!
독일에 가는 날까지 세 달 남았다고 하셨는데, 그 날까지 열심히 공부하시면 됩니다. 가령 지금 30과를 공부하셨으니 그때까지 하루에 1과 씩만 하셔도 80과는 무난히 다 마치게 됩니다.
독일에 가기 전에 문법에 치중해서 공부하세요. 일단 문법의 여러가지 변용이 머릿속에서 이해되고 훈련된 뒤 독일에 가서 그것을 활용해 독해나 회화 등에서 능력을 길러가면 됩니다.

1.> dürfen(해도 된다)과 können(할 수 있다)의 의미 차이
이것은 말 그대로 ‘해도 된다’와 ‘할 수 있다’의 의미차이입니다. 그 둘의 뜻은 서로 달라서 각각의 용도가 구분되지만, 때로 둘은 혼용됩니다. 그냥 한국말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당신은 이 물을 마셔도 됩니다.’라고 하는 대신 ‘당신은 이 물을 마실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원래의 뜻이 달라지지는 않죠. 또 ‘내가 당신을 좀 도와드릴 수 있을까요?’라고 말할 수 있지만, ‘내가 당신을 좀 도와드려도 될까요?’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후자가 좀더 예의바르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입니다. 즉 어감의 차이로 인해 ‘dürfen’과 ‘können’은 서로 혼용되기도 합니다.
물론 늘 혼용되지는 않습니다.  가령 ‘können’이 어떤 능력을 의미할 때 ‘dürfen’이 그 자리를 대체할 수 없겠죠.

Ich kann Deutsch sprechen. (나는 독일어를 말할 수 있다.)
Ich darf Deusch sprechen. (나는 독일어를 말해도 된다.)

위 두 문장은 서로 뜻이 완전히 다릅니다. 대체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대개 그 두 화법조동사가 대체될 수 있는 경우는 허락에 관련된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질문하신 문장들도 허락에 관련된 것이고 두 화법조동사들은 대체될 수 있습니다.


2.>화법 조동사의 부정형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keine Schuhe tragen. (한국에서는 집안에서 신발을 신는 게 허락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말하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In Korea darf man in der Wohnung Schuhe nicht tragen.’이라고 하는 것은 틀렸다기보다 상당히 어색합니다. 언제나 그렇지는 않지만,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 전체를 부정할 때는 그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nicht’를 붙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됩니다.
In Korea darf man nicht in der Wohnung Schuhe tragen.
위와 같이 쓰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선호되는 것은 ‘Schuhe’를 부정하여 ‘keine Schuhe’라고 하여 ‘어떤 신발도 (허락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Ich kann das Problem nicht lösen. (나는 그 문제를 풀 수 없다.)
이 문장에서 부정어를 ‘kein das Problem’로 할 수 있겠는지 질문하셨는데, ‘kein’은 특정되지 않은 대상을 부정할 때 쓰입니다. ‘das Problem’은 ‘그 문제’로서 특정된 것이고 그래서 정관사 ‘das’가 붙은 것이죠. ‘kein das …’ 하는 식의 정관사를 달고 있는 명사를 ‘kein’이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다음과 같이 할 수는 있습니다. ‘Ich kann nicht das Problem lösen.’

‘Sie können mir Informationen nicht geben.’이라고 할 수 있는지 물으셨는데, 문법적으로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으나, 부자연스러운 문장이라고 하겠습니다. 독일인들은 그렇게 표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답에 제시된 대로의 표현이 선호되고, 질문자께서 물으신 문장표현은 문법적으로는 틀리지 않으나 말하여지지 않습니다.


3.> 문장 의미들
Mit 4 Jahren Kann man schon laufen, aber man darf nicht alleine auf die Straße. (사람은 네 살이면 걸을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길 위에 혼자 있으면 아니된다.)
Sie kann sich nicht entscheiden. (그녀는 결정할 수 없다.)
Wir können am Wochenende zu dem See fahren. (우리는 주말에 호수에 갈 수 있다.)
Du kannst eine Reise gewinnen. (너는 여행권을 얻을 수 있다.)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의 부정] 30과 큰 2번의 c)와 e)번

30과 Was kann ich… | 유지갱스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30과 큰 2번의 c)에서 답은 Wir du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입니다. 
그런데 혹시 Wir durfen nachts in den Park nicht gehen 이라고 하면 안되나요?   

같은 맥락에서 e)번 문제에서도 답은 Langsame Autos durfen nicht auf die Autobahn fahen. 입니다. 
이것을 혹시 Langsame Autos durfen auf die Autobahn nicht fahen. 이고 하는것은 어떤가요?  
결국 nicht의 위치에 관련된 문제인데, nicht와 관련된 질문과 답을 읽어 보아도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지갱스 님


Modalverben(화법조동사)과 그것의 부정에 대해

화법조동사는 부정어 nicht, kein- 과 결합함으로써 일종의 숙어적이고도 고정된 뜻의 표현이 됩니다. ‘~할 수 있다(können)’, ‘~해도 된다(dürfen)’, ‘~해야 한다(müssen)’ 등의 뜻을 가진 화법조동사들은 nicht와 가까운 위치에서 쉽게 결합함으로써 ‘~ 할 수 없다’, ‘~하면 아니 된다’, ‘~하지 않아도 된다’ 등 반대의 뜻을 가진 말이 쉽게 되는 것입니다. 한국어에서 보조용언에 해당하는 화법조동사들은 nicht 하나를 가까이에 붙임으로써 그 반대의 의미를 가진 문법적 단위가 용이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대개의 경우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nicht는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옵니다.  아마 ‘할 수 없다’든지, ‘허락되지 않는다’랄지, ‘하지 않아도 된다’든지 하는 보조용언적 구실을 기능적으로 해내기 위해서인 듯합니다.

Wir dürfen nachts nicht in den Park gehen. (우리는 밤에 공원에 가도록 허락되지 않는다.)
Wir dürfen nicht nachts in den Park gehen.

차라리 두번째 예문처럼 바꾸는 것은 괜찮습니다. 그러나 위 질문에서 든 형태처럼 되는 것은 너무도 부자연스럽습니다. 

Langsame Autos dürfen nicht auf die Autobahn fahren. (느린 자동차들은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게 허락되지 않는다.)

위 예문에 대해서도 질문주신 형태로 바꾸는 것은 부자연스럽니다.

요약하자면 많은 경우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nicht는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옴으로써 화법조동사의 의미를 쉬 전도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물론 문장이 도치된다면 주어 다음에 nicht가 옵니다.

[‘Überraschung machen'(깜짝 놀랄 일을 만들다)에 대해… ] 30-35과 질문입니다

30과 Was kann ich… | 돌돌이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버터텅 매니저님~ 지난 답변도 잘 이해가 되었고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매일매일 꾸준히 공부하는게 언어 공부할때 제일 좋은 것 같지만 ㅜ
일정상 잘 되지 않아서,,최근에 시간날때 몰아서 진도를 나갔습니다! 

1.
30과  연습문제1-f. Sie(pl.) durfen ihre Fragen jetzt stellen.  
이문장 해석이 어떻게되나요? ihre가 어떻게 나온건지 모르겠어요

2.
31과 연습문제 1-bTobis Eltern mochten ihm eine Uberraschung machen.
이문장도 해석을 어떻게 하는 것이 정확한지 모르겠네요부모님이 토비’에게’ 놀라운일이 생기길 바라니까 Dativ로 ihm이 쓰인건가요?

3.
31과 연습문제 1-edie Angestellten 이건 검색해도 안나오는데 Angestellte의 복수형인가요?

4. 다음은 제가 해석이 잘 안되는 문장들입니다 
Willst do dich mit ihr treffen?Sie will den Goldring icht mehr habenSie mochte nacts nicht aufu die Strasse gehen. 
Sie mochte ihn bezahlen. (그녀는 그에게 지불하고 싶다?  이렇게 해석되나요? bezahlen 은 Akkusativ와 쓰는 동사로 보면될까요?)
Sie will nicht auf das Verbot horen.  
Ich hatte kein Geld mehr. (나는 더이상 돈이 없다? 라고 해석해도되나요?) 


5. letzen Monat 
der Monat 니까,, 무관사일때 형용사 변화에 따라 lezter Monat 가 되야 하는건 아닌지요?

6. Sie haben mir keine Fagen beantwortet. 
이문장에서  Fragen이 질문들이라는 복수인데 keine가 쓰일수있나요?
해석은 ‘그녀는 나에게 질문 하나도 답하지 않았다’이렇게 하면될까요?
 네 안녕하세요, 돌돌이 님!
오늘은 질문이 한 보따리이네요. ^^;;

1.> Sie(pl.) dürfen ihre Fragen jetzt stellen. 의 뜻…
혹시 스스로 해석하기 위해 사전 등을 찾으며 시도해 보셨는지요? 그런 과정을 거치고 난 뒤 질문하셨으리라 믿습니다만, 다음부터는 가급적 그런 흔적을 질문에서 보여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어디에서 막힌 것인지 제가 더 잘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문장의 뜻은 ‘그들은 이제 그들의 질문을 해도 된다.’입니다. ‘ihre’는 ‘그들의’라는 뜻의 소유대명사입니다.


2.> ‘Überraschung machen'(깜짝 놀랄 일을 만들다)에 대해…
‘Überraschung’이라고 합니다. 깜짝 놀랄 만한 일인데, 보통은 긍정적 의미로 쓰입니다. 전형적으로는 깜짝파티나 선물 같은 것을 뜻합니다. 거기에 machen이라는 동사가 함께 쓰이고, 자주 ‘누구에게’의 요소가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질문하신 문장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Tobis Eltern möchten ihm eine Überraschung machen. (토비의 부모는 그에게 한 가지 깜짝 놀랄 일을 벌이고 싶어한다.)

깜짝 선물을 준다든지, 토비가 기뻐할 일을 한 가지 준비해서 보여주고 싶어한다는 뜻입니다. Dativ ‘ihm’은 ‘그에게’입니다.

3.> Angestellte에 대하여
이것은 동사 anstellen(채용하다)으로부터 파생된 명사입니다. 이것의 과거분사인 angestellt는 한편 수동적 의미로 쓰입니다.
Der Chef hat sie angestellt. (그 대표이사(상사)는 그녀를 채용했다.)
Sie ist jetzt bei einer Firma angestellt. (그녀는 이제 어느 회사에 채용되었다.)
위와 같이 됩니다. ‘angestellt’라는 과거분사 자체로 ‘채용된’이라는 수동적 의미가 되어 명사화되었습니다. 그래서 ‘der Angestellte’는 남자사원을, ‘die Angestellte’는 여자사원을 뜻합니다. 마찬가지의 원리로 ‘die Angestellten’은 복수의 사원들을 뜻합니다. 이런 식으로 동사가 명사화되어 수동의 의미로 고착된 경우 문법적 역할은 주어나 목적어 등이 되며 명사로서 구실하지만 그것의 어미는 형용사와 같습니다. 즉 정관사가 이끈다면 정관사에 따른 형용사 변화를, 부정관사가 이끈다면 그에 따른 형용사변화를 합니다. 좀 복잡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이 생각해도 됩니다.

고용된 남자 : der angestellte Mann -> der Angestellte
고용된 여자 : die angestellte Frau -> die Angestellte
고용된 사람들 : die angestellten Menschen -> die Angestellten

위에서 보면 ‘angestellt’라는 형용사가 각각에 맞는 어미를 달고 있는 상태에서 뒤의 명사가 생략될 때 그대로 명사처럼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미는 아직도 형용사적입니다.
사실 조금 복잡한 문제이기도 합니다만, 그래서 복수형이 그리 된 것입니다.
(버터텅 교재의 주관식 문제들은 회원님들 쓰는 훈련 좀 가급적 많이 가지라고 한 것이고, 이런 해설을 모든 분들께 각각 드리는 것은 성심을 보이기 위함인데요, 때로 참 힘드는 것은 사실입니다. 돌돌이님, 이렇게 해설 드리면 이해가 되기는 하는 거지요? 그렇다고 상상하며 미리 보람을 느끼려고 해요… ㅎㅎ)


4,> 그냥 해석해 드리겠습니다. 
Willst du dich mit ihr treffen? (너 그래도(그런데) 그녀와 만날 것이냐?)

Sie will den Goldring nicht mehr haben. (그녀는 더 이상 그 금반지를 갖고 싶지 않다.)

Sie möchte nacts nicht auf die Straße gehen. (그녀는 밤에 거리를 다니지 않고 싶어 한다.)

Sie möchte ihn bezahlen. (그녀는 그에게 (노동의) 대가를 치르려 한다.) (임금, 수당 등의 지불을 뜻함. ‘jemanden bezahlen’)

Sie will nicht auf das Verbot hören. (그녀는 금지에 대해 듣고 싶지 않아 한다.)

Ich hatte kein Geld mehr. (나는 더 이상 돈이 없었다.)


5.> letzen Monat
보통 시간정보를 나타낼 때 이것은 Akkusativ로 쓰입니다. 가령, ‘나는 이 집에서 1년간 살았다’고 할 때 이 ‘1년간’이란 단어를 독일어에서는 Akk.로 한다는 것입니다. 보세요.

Ich habe im Haus ein Jahr lang gelebt.

위에서  ‘1년간’이란 뜻의 ‘ein Jahr’은 Nom.가 아니라, Akk. 입니다.
이 부분역시 사실 중급 이상의 수준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6.> 복수명사 앞의 부정어 keine
네, 그렇습니다. 독일어에서 부정어 kein-은 비단 단수 앞에만 붙는 게 아니라 복수명사 앞에도 붙습니다.

Er mag keine Kinder. (그는 아이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자주 씁니다. 사실 위 문장에서 ‘kein Kind’라고 해도 되고, 또한 그렇게 쓰기도 하는데요, 동시에 위와 같이 복수형태를 부정하는 방식으로도 씁니다.
그리고 질문글의 해석은 맞습니다.


*긴 시간을 들여 긴 해설을 쓰다보면, 때로 회원님들이 부럽습니다. 회원님들은 독일어를 좀더 잘 하는 이 버터텅 매니저가 부러울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회원님들은 언제나 발전하시고, 저는 정체하고요, 공부하시다가 짧은 질문글을 올리셔도 훨씬 긴 해설을 늘 받으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아무튼… 많은 질문에 긴 해설을 달아야 했지만 앞으로 자제해달라는 뜻은 전혀 아니니 오해 마세요.
무더운 여름에 공부하시느라 고생이십니다….

nicht의 위치

30과 Was kann ich… | 저며니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1. Er darf nachts kein Auto fahren.( 그는 밤에 차를 운전하면 안된다)
차를 밤이 아닌 낮에 운전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밤을 부정해야 하는데
Er darf nicht nachts ein Auto~~~ 도 맞나요?
2. Wir durfen Ihre Daten nicht speichern.
1)인칭대명사 Ihr 때문에 nicht 가 뒤로 간 것이 맞나요? 2)그리고 만약 저장하다라는 동사를 부정하려면 nicht 의 위치거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3.2-e) 문제를 보니 주어가 관사없이  Langsame Autos이던데, die가 생략된 것 맞나요?
4. Sie durfen ihre Fragen jetzt stellen.1)소유관사 그녀의 와 그들의 의 형태가 ihr 로 같은데 문맥상으로 파악해야 하나요?
2)stellen의 뜻이 놓다 인데 그들은 그들의 질문을 제시해도 된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나요?
5. Du kannst eine Reise gewinnen.너는 여행을 얻어도 된다?gewinnen 의 뜻을 이기다,얻다 말고는 모르겠어서 해석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질문이 너무 많죠ㅠㅠ 매번 감사합니다 
Hallo!
답변이 늦어 미안해요… ㅠㅠ

1.> ‘Er darf nicht nachts ein Auto fahren.’이 맞나…
네 그렇다고 봐야 합니다. 다만 위에서 ein은 빼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일반적 ‘차’이고, ‘어떤 하나의 차’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하여 ‘Er darf nicht nachts Auto fahren.’이라고 말해도 됩니다만, 독일인들은 ‘Er darf nachts kein Auto fahren.’의 표현을 훨씬 선호합니다. nicht를 써서 부사나 동사 등을 부정하는 방식보다, 가급적이면 kein을 명사 앞에 써서 부정하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둘 다 가능하다면 후자를 좋아하는 뜻입니다.

2.> Wir dürfen Ihre Daten nicht speichern. (우리는 당신에 대한 자료(정보)들을 저장하면 안됩니다(저장하도록 허락되지 않습니다).)
위 문장은 사실 ‘Wir dürfen nicht Ihre Daten speichern.’라고 하여도 됩니다. 보통 화법조동사가 있는 문장에서 동사가 부정되어야 할 때 nicht는 화법조동사 바로 뒤에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원칙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경향인데요, 아무튼 그렇습니다.

3.> 관사없이 쓰는 명사의 문제
독일어에서 명사들은 가급적 관사를 붙여쓰는 게 맞습니다만,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닙니다. 관사 없이도 명사를 주어나 목적어 등으로 쓸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때 관사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관사가 쓰일 필요가 없으니 쓰이지 않은 것입니다.

Langsame Autos dürfen nicht auf die Autobahn fahren. (느린 차들은 고속도로에서 달리면 안된다.)

‘느린 차들’은 다만 느린 차들이지 어떤 정해진 ‘그 느린 차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맥락에 따라서는 그럴 수도 있겠으나 아무런 전후 맥락이 없다면 관사 없이 쓰는 게 맞습니다.


4.> ‘그녀의’도 되고 ‘그들의’도 되는 ‘ihr’
네, 그렇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앞뒤 문맥이 없다면 ihr-가 ‘그녀의’인지, ‘그들의’인지 모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대개는 그런 일들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런 대명사들은 앞에서 선행한 어떤 것을 가리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고, 이것은 맥락을 갖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Sie dürfen ihre Fragen jetzt stellen.(그들은 그들의 질문을 던져도 된다.)
 
위 예문에서는 그러나 ‘ihre’는 ‘그들의’일 수밖에 없습니다. ‘Sie dürfen …’이라고 앞서 복수형으로 말해졌기 때문입니다. 만일 ‘그녀의’가 되려면 앞에서 ‘Sie darf …’라고 되었겠지요.

Frage stellen : 질문을 던지다(하다)
Frage는 숙어적으로 stellen과 함께 쓰입니다. 외워야 합니다.


5.> Reise gewinnen : 여행권을 얻다
Du kannst eine Reise gewinnen. (너는 여행(권)을 얻을 수 있다.)

네 이에 관한 질문 이해할 듯합니다. Reise는 여행이라는 뜻이지만 위 문장에서는 여행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하겠습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