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과 Welches Datum?

[“der ~te” / “am ~ten” ] 질문

12과 Welches Datum? | 내몸을위… 님의 질문

  • Wann hast du Geburtstag?
  • Mein Geburtstag ist am 1. April.(ersten April)

뒷장설명을 대충 요약하면 <“am ~ten Monat”는 “며칠에”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날짜정보를 말하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리고 이것은 “며칠”을 뜻하는 “der ~te Monat”의 형태(주격)를 대체할 수 있다.> 라고 설명이 되있는데요. 위 예문에서 “Wann hast du Geburtstag?” 라는 질문이 생일이 ‘며칠’인지 묻는거니 der ~te로 답변해도 상관 없는건가요? 이 예문 뿐만 아니라 연습문제 2-b~d 에서도 같은 의문점이 드네요.

+) “Wann hast du Geburtstag?” 에서 hast는 어떻게 해석되나요? 그리고 hast 대신 bist를 써도 괜찮지 않나요?

네, 안녕하세요.

이 의문문 ‘Wann hast du Geburtstag?’에 대해 전에 다른 회원님께서도 약간의 어지럼증과 함께 질문을 주신 바 있어요. 한번 낱말들을 풀어보기로 하죠. ‘Wann(언제) + hast(가지다) + du(너) + Geburtstag(생일)?’ 직역하자면, 너는 언제(로) 생일을 가지고 있느냐?’가 되겠죠.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답할 수 있습니다.

‘Mein Geuburtstag ist am ersten April.’
‘Mein Geburtstag ist der erste April.’

네 맞아요. 질문자님께서 말한 대로입니다. 위와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연습문제의 해당부분도 그렇게 바꿀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버터텅의 연습문제가 주관식이다보니, 그 답이 정답으로 제시된 것 외에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주관식 문제이고 언어표현에 관한 것이다보니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다른 표현으로도 같은 내용을 말할 수 있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는 것입니다. 그럴 때는 이렇게 질문을 주시면 됩니다. 주관식 문제를 고집하는 이유는 그렇게 하면서 좀더 많이 써보는 경험을 쌓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주관식 문제가 객관식 문제보다 여러분의 공부에 훨씬 더 도움을 줍니다.
또 이렇게 주관식 문제의 답에 대한 토론을 하면서 더 잘 배우시게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위 답 말고도 또 다르게 같은 말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Ich bin am ersten April geboren.’

‘나는 4월 1일에 태어났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am …en Monat’를 ‘der …te Monat’로 바꿀 수는 없습니다. ‘며칠에 태어나다’는 뜻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추가질문에 대한 대답은 ‘Nein’입니다. 그렇게 ‘bist’로 바꿔쓸 수 없습니다. ‘bist’는 ‘du’가 주어일 때의 ‘sein’ 동사임을 아실 것입니다. 뜻은 ‘~이다'(~에 있다)입니다. 주어가 만약 ‘dein Geburtstag’이라면 ‘sein’ 동사로 할 수 있습니다.

‘Wann ist dein Geburtstag?’

이 때는 ‘bist’가 아니라’ist’가 되죠. 주어가 3인칭 단수이기 때문입니다.

[어순(과거완료 문장과 도치)] 독일어의 문장 구조

12과 Welches Datum? | RogPa 님의 질문

Guten Abend! 반갑습니다!
12과 문제 풀다가 작문? 하는 구간에서 년도월일 쓰는 부분이랑
2번 문제 i문항의 “Wann ist Silvester in Deutschland?”에 대한 답변에서도
문장 구조가 특이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결혼한 날짜를 물었는데 시간이 먼저 나오고 맨 뒤에 geheiratet 이라고 답하는 것도 그렇고
문장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는 건지 몰라서 헷갈리네요.
지금 막히면 앞으로 들으면서 문제 풀때도 계속 신경쓰일 것 같은데 답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Guten Abend!!!
3과에 대해 질문 주신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 12과 공부하시는군요, RogPa 님!

혹시 좋은질문방에서 6과에 해당하는 “Wer hat meinen Stift genommen?” 문장에 대한 문답을 읽으셨는지요?
여기에 보면 과거완료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해설이 나옵니다. 한번 가셔서 읽어보세요.

궁금하신 것의 핵심은 아마 ‘geheiratet’같은 게 맨 뒤로 나오는 부분에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과거완료 (Perfekt)문장입니다. 영어의 <have + p.p.> 구조를 아시지요? 독일어도 그와 비슷하게 구성됩니다. 다만 그 ‘p.p.’ 부분이 문장의 맨 뒤로 갑니다. 이것을 잘 알아두신다면 아마 위의 질문들이 모두 스스로의 힘으로 풀릴 것 같은데요.

RogPa님,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만 써 볼게요. 이렇게 드리는 힌트를 통해 스스로 답을 구하신다면 아주 좋습니다. 스스로 생각해보실 시간을 드린다는 의미에서 여기까지 답을 드린 후 내일 오전 중에 다시 답을 이어가겠습니다….  

——————–

네. 어제에 이어서 씁니다.
질문하신 해당의 답은 과거완료 문장입니다.

Wir haben am einundzwanzigsten Mai zweitausendvier geheiratet.

위 문장에서 밑줄 친 두 부분이 동사입니다. <haben + 과거분사>인데요, 영어의 <have + p.p.> 구조와 일치합니다. 다만 과거분사가 문장의 맨 뒤로 갑니다.

haben geheiratet(결혼했다)

위의 표현은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결혼식을 한 것을 말합니다. (결혼한 상태는 verheiratet sein)
독일어에서 과거를 표현하는 주된 형식은 저렇게 본동사의 과거분사형이 문장의 맨 뒤로 가는 것입니다. 잘 눈여겨 봐두세요.

다음의 질문 “Wann ist Silvester in Deutschland?”에 대한 교재의 해답에서 어순은 어떻게 된 것일까요…

Silvester ist am einunddreißigsten Dezember in Deutschland. (‘Silvester’는 독일에서 12월 31일이다.)
In Deutschland ist Silvester am einundreißigsten Dezember. (독일에서 ‘Silvester’는 12월 31일이다.)

첫번째 문장은 주어가 첫번째 자리에 오는 평범한 문장입니다. 이에 비해 두번째 문장은 ‘in Deutschland’가 강조되어 문장의 맨 앞으로 왔습니다. 도치되었다고 하죠. 강조를 하기 위한 것입니다. 해석을 잘 들여다보시면 그리 복잡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금새 깨닫게 될 것입니다.

덧붙임: ‘Silvester’라고 합니다. 이것을 번역으로 보여줄 마땅한 한국어 단어가 없어서 교재에서는 ‘섣달 그믐’이라고 했습니다만, 사실은 한 해의 끝을 뜻하는 게 아니라, 새해가 시작되는 0시 0분 0초의 순간을 말합니다. 독일에서는 이 순간 온나라의 방방곡곡에서 폭죽을 터뜨리고 샴페인을 마십니다. 늘 그렇습니다. 대학생들은 성탄절을 맞아 고향집에 내려갔다가 이 ‘Silvester’가 되기 전에 다시 학교가 있는 도시로 복귀합니다. 그리고 친구들과 거리에서 폭죽을 터드리고 환호하며 ‘Silvester’를 즐깁니다.    

RogPa님! 질문이 해결되었나요? 해결되지 않았다면 다시 질문 올려주세요~

[형용사로서 서수의 어미변화]

12과 Welches Datum? | N1ST5YA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복습하다 또 헷갈리는게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ㅠ

12과 예문에서

Weches Datum ist heute?
Heute ist der 5.(fünfte)Mai.

Wann hast du Geburtstag?
Mein Geburtstag ist am 1.(ersten)April

여기서 1번 예문에서 5는 fünfte
2번 예문에서는 1.이 ersten으로 읽는데,.
2번 예문의 1.에서 서수의 어미가 te에서 ten으로 변화하는 이유를 지금으로선 모르겠네요.
형용사 처럼 변형한다고 설명되어있긴한데…..

네. 명사 앞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모두 관사 아니면 형용사로 취급되고 형용사는 어미변화를 합니다. 다음은 좋은질문방 23과에서 형용사어미변화에 대해 미리 설명을 드리기 위해 만든 표입니다. 다시 복사해서 여기에 붙일게요. 예로 든 형용사는 ‘berühmt’입니다.

berühmt (유명한)

  m.f. n. 
 Nom. der berühmt-e Mann         1 die berühmt-e Frau das berühmt-e Kind
 Akk. den  berühmt-en Mann      2 die berühmt-e Frau das berühmt-e Kind
 Dat. dem berühmt-en Mann      3 der berühmt-en Frau dem berühmt-en Kind
 Gen. des  berühmt-en Mannes  4 der berühmt-en Frau des berühmt-en Kindes

이것은 정관사와 함께 쓰일 때의 형용사어미변화입니다.

질문하신 ‘der fünfte Mai’의 경우 위 표의 남성명사들이 있는 왼쪽 열 1번이라고 번호를 붙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Heute ist der fünfte Mai’ 여기에서 밑줄 친 부분은 Nom.입니다. 정관사 ‘der’는 그것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위 표에서 보여지는 대로 ‘f?nfte‘라고 ‘e’가 붙은 것입니다.

질문하신 두번째. 먼저 ‘am’은 ‘an dem’의 준말입니다. ‘an’이라는 전치사와 정관사 ‘dem’이 결합한 것이죠. 이런 것들이 몇 있습니다. ‘im’, ‘ans’, ‘ins’ 같은 것들입니다. 아무튼 ‘am’이 온다는 것은 뒤에 남성이나 중성 Dat.가 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April이라는 남성명사 앞에 옵니다(모든 달 이름은 남성입니다. 그리고 날도 그렇습니다. Tag, Montag…. 등) 위 표에서 보시면 남성 Dat.의 형용사는 몇 번인가요?

바로 3번이지요. ‘-en’입니다. 그래서 ‘am ersten April’이 되었습니다.

곧 형용사변화를 배웁니다만 미리 알아두시면 더 좋습니다. 저라면 외우겠습니다.

[서수에 붙는 ‘-te’, ‘-ste’어미에 대해] 서수 질문!!

12과 Welches Datum? | 앨빈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매일 복습하고 예습하면서 하루에 4시간씩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근데 어제 서수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데 서수에서 원래는 기수에 1~19까지는 t가 붙고 20~부터는 st가 붙는 거 아닌가요?
근데 여기 프린터랑 강의에서는 te,ste가 붙는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또 사전에서도
다섯번째면 fuenft라고 나와있지 fuenfte라는 말은 없습니다. ㅠㅠ 그래서 혼동이 옵니다.
무엇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열심히 공부하시는 중인가 봅니다. 우선 진심으로 격려를 보냅니다.

정식으로 서수(Ordinalzahlen)는 기수에 ‘-te’, ‘-ste’가 붙은 형태를 말합니다. 즉 교재와 강의에 나온 그대로입니다. 독일에서 그렇게 가르치고, 독일인들이 만든 독일어 사전과 독일어문법에서 그렇게 정의합니다. 그러니 그렇게 공부하시면 됩니다.

이 버터텅 매니저도 독일에서 그렇게 배웠고, 독일에 살면서 서수를 그렇게 통일해 불렀습니다. 뒤에 e가 붙지 않는 형태, 가령 ‘fünft’를 ‘fünf’의 서수형태라고 들어본 적은 없습니다. ‘fünf’의 서수는 ‘fünfte’이고 다른 무엇도 아닙니다.
독일의 구글(www.google.de)에서 찾아보니 간혹은 그렇게 e가 붙지 않은 형태가 리스트로 나와 있는 것도 있는 것을 봤습니다. 그것은 ‘e’를 하나의 어미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일리가 없지는 않으나 지배적인 견해는 아닙니다. 또 독일인이 만든 표준 독일어 사전에서 제시되는 형태에는 ‘-te’, ‘-ste’가 붙습니다. 
네이버의 독일어사전에서 ‘fünfte’와 ‘fünft’를 찾아보니 각각 서수로서의 뜻이 제시가 되는군요. 다만 ‘fünfte’에서 독일 윅셔너리의 해설이 먼저 나오고 좀더 많은 예시들이 나오네요. 버터텅은 아무튼 표준 독일어에서 정하는 문법을 따르고 있습니다.
또 실제로도 공부하실 때 e를 붙여서 공부하시는 게 입과 귀에 좀더 잘 붙습니다. 그리고 그 입에 붙은 형태를 나중에 다양한 문맥들에서 활용하기에도 좋습니다. 대개의 경우 서수는 정관사와 함께 쓰이는데, 정관사에 따르는 형용사 어미가 언제나 e가 붙은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가령, 다음에서 정관사가 붙은 남성, 여성, 중성의 단어들에 서수를 형용사로 적용한 것을 네 가지 격으로 보겠습니다.
der siebte Mann / den siebten Mann / dem siebten Mann / des siebten Mannes
die zweite Frau / die zweite Frau / der zweiten Frau / der zweiten Frau
das erste Kind / das erste Kind / dem ersten Kind / des ersten Kindes

위 모든 경우에서 e가 붙어있지요?
강의와 교재에 나온 형태대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게 정석이고, 활용하기에도 좋습니다.

[형용사 어미, 정관사 어미, 2000년 이상의 숫자읽기 등] 12과 질문

12과 Welches Datum? | 유자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매번 답변 감사히 보고 또 보면서 열심히 공부하고있어요
이번에 12과를 들으면서 걸리는게 너무 많아서 혼자 많이 생각을 해봤지만
도저히 제 생각으론 이해가 안되서요ㅠㅠ

질문 1) 강의에서 각 달의 이름들 대신에 숫자로 달을 말할 수 있다고 하시면서
그 예로 5월 5일을 ‘fünfter fünfter’라고 말해도 된다라고 하셨는데
저는 서수를 만들 때 ‘-te’가 붙어서 ‘fünfte Mai’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거든요
 ‘-r’은 왜 붙은거죠?ㅠㅠ

질문 2) ‘zwanzigste(20.)’부터는 ‘-ste’가 붙는다고 하셨는데 ‘hundertdritt(103.)’은
‘-ste’가 아니라 ‘-te’가 붙어서요 숫자 20이상 ‘-ste’가 붙는 게 아니라
뒤에가 ‘dritt(3.)’이라서 그런건가요?

질문 3) 강의 제목 ‘Welches Datum’, 강의에서 질문 ‘An welchem Tag ist Weihnachten?’에서
‘welch’뒤에 각각 ‘-es’, ‘-em’이 붙었잖아요
강의 제목은 교재에서 중성주격의 어미가 붙었다고 했는데 제가 질문방에서 12과 질문 답변에서
매니저님이 정관사가 함께 쓰일 때의 형용사어미변화를 표로 올려주신 것을 봤거든요
정관사가 함께 쓰이지 않을 때에는 다르게 변화하는 건가요?

질문 4) 교재에 연도설명 중에 ‘2000년부터는 보통의 기수로 읽는다’라고 쓰여있잖아요
그 말이 2000년부터는 백단위에서 끊어 읽지 않는다는 건가요?
제가 예를 봤을 땐 1784년, 1999년은 백단위에서 끊어 읽고 
2001년, 2015년이나 백단위에서 끊어 읽지 않은 것일 뿐 두 경우다 기수로 쓰인 것 같아서요
연도를 나타낼 때는 서수로 나타내지 않나요?

사소한 것들이지만 그냥 지나가자니 계속 생각이 나서요
질문많아서 힘드시겠지만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0

네, 유자님
공부 열심히 하시는군요!! 네, 공부하다가 잘 모르겠는 것들을 말하라고 여기 방이 있는 것이니 여기에 질문을 올리면 되지요. 버터텅 매니저는 버터텅을 ‘정말 잘 배울 사람들이 진짜로 공부하는 곳’으로 만들어나가고 싶습니다. 공부하는 데에 질문이 없다면 죽은 공부입니다. 질문이 생기는 게 당연합니다. 유자님은 버터텅을 잘 이용하고 계십니다.
혹시 시간 나시면 수강후기 한번 올려주세요. 독어공부 시작할 때와 지금의 차이는 무엇인지, 어떻게 시간을 할애해 공부하는지 등에 대해 써주시면 다른 사람들한테도 도움과 격려가 된답니다.

1번 질문에 대해
‘f?nfte Mai’라고 하는 것은 ‘der f?nfte Mai’ 중 ‘der’를 생략하신 것입니다. ‘der’가 붙는 이유는 ‘Tag(날)’이나 ‘Monat(달)’이라는 단어들 모두 남성이기 때문이고 Nominativ(주격)이기 때문입니다. ‘f?nfte’라는 단어 끝에 ‘-e’가 붙은 이유는 남성 Nominativ에서 정관사 der 뒤에 오는 형용사에 어미 ‘e’가 붙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복잡하게 들리지요? 곧 다 배우시게 됩니다.
‘오늘은 5월 5일이다’라는 말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Heute ist der f?nfte Mai. (관사가 있는 경우 der -e)
Heute ist f?nfter f?nfter. (관사가 없는 경우 -er)
Heute ist der f?nfte f?nfter. (달 이름을 숫자이름으로 말한 경우)
Heute haben wir den f?nften Mai. (Akkusativ목적격으로 말한 경우, 관사 있는 경우 den -en)

위와 같이 됩니다. 대략 설명한 것이 이 정도입니다.

2번 질문에 대해
hundertdritte(103.)
네, 맞습니다. 뒤에 dritte가 오기 때문에 ‘-ste’가 붙지 않고 ‘-te’가 붙은 것입니다. 연습문제를 풀다가 틀리니 당황하신 듯한데, 너무 그러실 필요 없습니다.

3번 질문에 대해
네네, 그렇습니다. 정관사가 있을 때의 형용사 어미와 정관사 없을 때의 형용사 어미가 다릅니다. 또 부정관사가 올 때에도 다릅니다. 이에 대해 1번 질문에서도 같은 맥락의 이야기였던 것 같아요. 형용사 어미에 대해서는 우선 정관사를 배우고나서 배우는 게 좋습니다. 정관사는 14과에서 다루니 이것만 공부하셔도 대충 짐작할 수 있는 게 많을 것입니다. 명사 앞에 명사를 수식하는 뭔가가 올 때 그 어미들을 관찰하면 어떤 패턴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번 질문에 대해
년도를 읽을 때는 언제나 기수로 읽습니다. 혹시 모를 오해가 있을까봐 ‘기수’라고 특정을 한 것이지, 2000년이라는 숫자부터 기수이고 그 전은 서수라는 뜻은 아닙니다. 2000년이라는 숫자부터는 백단위로 끊어읽지 않고 그대로 읽습니다. 2000 : zweitausend, 2001 : zweitausendeins, 2016 : zweitausendsechzehn…

답변이 모두 되었는지요??? 계속 꾸준히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명사화된 숫자의 형용사 어미] 명사로 되어있던 달을 대체하는 형태에 대해서

12과 Welches Datum? | 무민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요즘 열심히 독일어 공부를 하고 있는 타과전공 학생입니다~~_
질문이 있어서 글을 씁니다! 🙂

질문 드리기에 앞서 버터텅이 정말 좋고 감사한게 제가 한 과를 듣고 나서 질문거리가 생기는데 일단 좋은 질문방에 들어가서 쫙 읽어보는데 웬만한것은 거기서 해소가 되는것같아요 감사합니다!!!
오늘은 12과를 공부하며 의문점이 많이 생겼는데 좋은 질문방에도 상당한 질문과 답변이 탑재되어있어 있어서 그걸 읽어봤고 그런데도 질문이 있네요ㅠ.ㅠ

일단 제가 5월5일의 예와 12월 10일의 예시를 통해서 익힌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시를 먼저 하나를 들어볼게요 맞는지 매니저님이 확인한번 해주세요 = ) 그럼 오늘은 4월 31일이다 의 예문을 들어볼게요 (nominativ이겠죠?)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1) Heute ist der einunddreissigste April 2) Heute ist der einundreissigste Vierter 3) Heute ist einunddreissigster(정관사 없으므로 r붙임) April 4) Heute ist einunddreissigster (정관사 없으므로 r붙임) Vierter 이라고 이해했는데 우선 첫번째 질문은 제가 쓴것이 다 맞나요? ㅠ.ㅠ

그럼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두번째 질문이 제 본 질문인데요, 1) 과 2)에서의 다른 점은 April과 Vierter 인것인데 즉 Vierter이 April처럼 쓰였다는거잖아요? 그래서 전 저게 서수(형용사)가 명사화가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맞나요? 그럼 명사화를할때 er를 붙이는구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 그런데 저에게 혼란을 준건 여기서였어요 am이 붙은것들, 예를들어 4월 1일에 생일이야 라는 문장이 올 때에는 1) Mein Geburtstag ist am ersten April (an dem 이기 때문에 dativ이 와야하기 때문에 erster가 아니라 ersten이 된 것은 이해했어요) 이것과 2) Mein Geburtstag ist am ersten Vierten이더라구요 즉 형용사인 서수가 명사가 되기 위해 어떤 상황이든 er이 붙어서 달이되는건가? ex ) 5월 Mai= Fuenfter라고 생각했던 제 추측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던 거죠! 그래서 궁금했던 점은 am ersten(dativ 영향을 받은 형용사) 와 마찬가지로 Vierten(결국엔 4월인 April(명사)와 치환될 수 있는 새로운 명사)역시 nominativ, genetiv, dativ, akkusaitv의 영향을 받는 것인가요? 다시 말하자면 형용사뿐만 아니라 명사자리 역시도 격에 따른 변화를 하냐는 것이 질문입니다!!!! = )

만약 제 두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 yes라면 Heute haben wir den fuenften Mai라는 문장은 Heute haben wir den fuenften fuenften(즉 명사인 Mai를 대체하는 명사화된 것)도 akkusativ으로 변해서 저렇게 하는 것이 맞나요? 이 경우에도 정관사가 없는 경우에는 형용사 어미 변화형이 또 조금 달라지겠죠?ㅠ.ㅠ~~~

제가 너무 장황하게 써서 제 질문을 이해하실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눈물) 매니저님 편하신 시간에 천천히 답장해주세요 이제까지 좋은 질문방에 있던 답변 달아주시는 것만 봐도 얼마나 정성을 들여서 신경써주시는지 다 느껴지는데 정말 늘 감사합니다.. 🙂

네 열심히 공부하시는 무민님. 버터텅을 좋아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또 질문방/좋은질문방의 취지와 기능이 잘 살고 있는 것 같아 기쁩니다. 

1) Heute ist der einunddreissigste April.
2) Heute ist der einundreissigste Vierter. 
3) Heute ist einunddreissigster(정관사 없으므로 r붙임) April.
4) Heute ist einunddreissigster (정관사 없으므로 r붙임) Vierter.

우선 위에 쓰신 것 다 맞습니다. 다 잘 이해하셨고 오류가 없습니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이 있다면, 문장에 마침표가 없어서 내가 그때그때 찍어넣었어요. 마침표찍기 상당히 중요합니다. 시험볼 때 이것 간과하면 정답을 쓰고도 틀립니다.)

am ersten Vierten
네. 그렇습니다. ‘Vierten(4월, 네번째)’이라고 쓰인 것은 명사로 취급해야겠으나 형용사어미변화를 합니다. 여기서 ‘n’으로 끝난 이유는 am과 연관하여 Dat.가 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명사임에도 어떻게 형용사어미를 갖느냐가 이상하게 보이는데, 독일어는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Heute haben wir den fünften Mai.라는 문장은 Heute haben wir den fünften fünften.이 되는 것이고 이는 Akk.인 것입니다. 만약 여기 정관사가 없더라도 ‘fünften fünften’의 어미는 같습니다. 형용사 어미가 그렇게 변합니다.

답변이 늦어 다시 한번 사과드리고요, 이 매니저의 작은 노고에 감사의 표시를 해주셔서, 그 또한 정말 감사드립니다. 무민님 같은 사람들이 정말로 재미있게, 잘 공부하시기를 바랍니다.

[에 있는 형용사어미 규칙] am의 용법에 관하여

12과 Welches Datum? | 무민 님의 질문

매니저 선생님!!!안녕하세요!!! 복습하다가 갑자기 12과로 돌아와서의문이 생겼어요ㅠ.ㅠ
예전에 그냥 이걸 받아들이기만 하고 질문을 안하고 넘어갔네요!

Mein Geburtstag ist am 1. April. 이
Mein Geburtstag ist am ersten April이라고 표현한다고 되어있더라구요~~
이것은 주격이구요!!

그런데 an + der erste April이어서 an으로 인해 der이 dem으로 되니깐 나머지는 그대로 해서
am erste April이 되어야하는거아닌가요?ㅠ.ㅠ 왜 erste다음에 m도 아니구(dativ의상징) n이 붙게 된건가요!?
이와 마찬가지로 4월을 서수식으로 표현할때에도 이건 1격인 문장이니깐 vierter일줄 알았는데 이것 역시 vierten이더라구요 이게 am의 영향인가요? ㅠ.ㅠ

정관사인 der만 dem으로 변형시킨줄 알았는데 뒤에것도 다 영향을 주는것같아요
영향을 준다고 하더라도 전치사 an이면 3격인데 왜 n의 형태로 영향을 주는지 헷갈려요!!
오히려 가령 An den ersten April habe ich Geburtstag.
이렇게 4격일때에야 erste에 n이 붙은 ertsen이 되는게 아닌가요?
(Huete haben wir den fuenften vierten 처럼요~!!!)

감사합니다 Unserer netter Lehrer = )!!

네네. 요주 자주 뵙네요~~

Mein Geburtstag ist am ersten April.

위 문장에서 소위 주격인 것은 ‘Mein Geburtstag’ 밖에 없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주어인 것입니다. ‘am ersten April’는  그 자체로 ‘4월 1일에’라는 뜻이고, sein 동사인 ‘ist’와 결합해 ‘4월 1일이다’라는 뜻이 됩니다.

am ersten April

이것은 ‘an dem ersten April’이 위와 같이 된 것이지요. 전치사 an은 뒤 Akk.를 취할 수도 있고, Dat.를 취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Dat.를 취합니다. 그 뒤에 남성이 정관사가 온 이유는 April이 남성이기 때문입니다. 남성 Dat.인 dem이 전치사 an과 결합해 am이 되었어요. ( 질문자님이 말한 것처럼 an der가 될 수는 없어요. 뒤에 여성명사가 와야 하는 경우, 그것의 Dat. 인 der가 올 수 있지만 April이나 모든 달 이름, 그리고 날이라는 단어인 ‘Tag’ 등은 다 남성입니다.)
여기서 ersten으로 뒤에 ‘n’이 된 이유는 형용사 어미인데 정관사가 이끄는 단어의 남성 Dat.에서는 형용사의 어미가 그렇게 됩니다.  ‘4월’을 April이 아닌 서수식으로 Vierten으로 하는 것도 형용사어미가 그대로 붙어 명사화된 것입니다. 즉 이렇게 n이 붙는 것은 an+Dat.에 정관사가 이끄는 형용사 어미인 까닭입니다.

An den ersten April habe ich Geburtstag.
질문자 님께서 예로 든 위 문장에서는 den이 dem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An dem ersten April habe ich Geburtstag.

 정리하자면 날짜표현의 하나로 전치사 an이 쓰이려면 Dat.가 동반되어야 하고 날이든 달이든 모두 남성이므로 dem이 됩니다. 둘을 합쳐 am이 되는 것이고 그 다음부터는 형용사어미 n을 붙여야 하는 것입니다. 형용사어미는 나중에 자세히 배운다고 말씀드렸구요~~ ^ ^

휴~ 이해가 되는지요? 형용사어미에 대해 자세히 배우지 못한 상태에서 날짜 표현이 이렇게 된다고 그냥 배우시라고 했더니 이렇게 세세한 부분까지 질문들이 많아지는 모양이군요. 숫자를 배우는 연장선에서 서수를 배우고 그것을 잘 활용하는 방법으로 날짜표현을 커리큘럼에 넣은 것인데요.
도대체 ‘질문방’이 없었다면 질문자님 같은 분들은 어떻게 그 궁금증을 견뎠을지 모르겠네요.
자 그럼 다음에 또…..

[ 바꿔쓰기] 질문이요!!

12과 Welches Datum? | 멍무이 님의 질문

Mein Geburtstag ist am 1. Aprill.
을 Mein Geburtstag ist am ersten vierten.
으로도 쓸 수 있다고 하셨는데
vierten에서는 왜 n이 더 추가되는거죠?
이것도 어미변화한 건가요?
그렇다면 어떤것과 관련해서 변화한거에요?

좋은질문방에서도 봤었는데
am ….ten Monat
der …te Monat 과 관련해서 전자는 후자로 바꿔서 쓸 수 있다고 하셨는데요
그러면
b c d e f g i 모두 am …ten이라고 되어있는 것을
der …te로 바꿔서 쓸 수 있나요?

Mein Geburtstag ist am 1. Aprill.
= Mein Geburtstag ist am ersten Vierten.

위의 ‘Vierten’에서 끝에 ‘-n’이 추가된 것은 형용사어미입니다. 원래는 ‘dem vierten Monat’에서 ‘Monat’가 생략된 것입니다.  정관사에 따르는 남성 Dat. 의 어미 ‘-(e)n’인 것입니다. am은 an dem의 약자입니다. ‘Monat’는 남성입니다. 그래서 남성 Dat.의 형용사어미가 붙습니다.
형용사어미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마침 바로 밑의 27과에 관련된 질문의 해설을 보시면 표를 제시해드렸는데 한번 보세요. 203번 답글입니다.

두번째 질문 :  <am -ten Monat>와 <der -te Monat>
<am -ten Monat>와 <der -te Monat>에서 전자를 후자로 바꿔쓸 수 있는 게 아니라, 후자를 전자로 바꿔쓸 수 있습니다. (교재의 해당부분을 한번 더 자세히 살펴보세요.)
날짜 부분에 Nominativ가 오는 부분은 그런데 am -ten Monat로 바꿔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습문제 2번의 d와 f의 문장을 보지요.

 Tobis Geburtstag ist am ersten April.
= Tobis Geburtstag ist der erste April.

위와 같이 바꿔쓸 수 있습니다. 이것은 sein 동사가 ‘이다’라는 뜻으로 ‘A=B’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용법으로는 형용사, 부사구 등과 함께 술어부를 이뤄 ‘A는 어떻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영어의 be 동사와 의미나 문법적 역할이 같아요. 첫번째 문장이 ‘A는 어떻다’의 라면, 두번째 문장은 ‘A=B’의 구조인 셈입니다. ‘der -te Monat’는 Nominativ(주격)로서 ‘A=B’구조의 문장에서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의 f항 문장은,

Wir schreiben die Klausur am sechzehnten April. (우리는 4월 16일에 시험을 친다)

위 문장에서 ‘am sechzehnten April’ 부분을 ‘der sechzehnte April’로 바꿔쓸 수는 없습니다. 교재에도 나와있다시피 ‘der -te Monat’가 ‘며칠’이란 뜻으로 sein 동사가 이끄는 문장의 ‘A=B’구조에서나 쓸 수 있겠지만 이 문장의 ‘am -ten Monat’이 ‘며칠에’라고 쓰일 때를 대신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오늘은 며칠이다’ 등과 같은 구조에서는 ‘der -te Monat’가 쓰이고 ‘며칠에 무엇을 한다’ 등의 표현에서는 ‘am -ten Monat’가 쓰이는데, ‘am -ten Monat’는 전자를 대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 역은 아닙니다.

[왜 날짜는 ‘am Datum’의 Dativ이어야 하나?] 서수 어미 변화

12과 Welches Datum? | ttoksuni님의 질문

좋은 질문방에 게시된 관련 질답을 모두 읽어봤는데도 이해가 잘 안되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ㅠ

Mein Geburtstag ist am 1.April. 에서 am은 an + dem 이고

dem인 이유는 남성이고 dativ 이기 때문이라고 되있는데요

뭐가 dativ이고 왜 그것이 dativ 이죠?

dativ 이기때문에 dem으로 쓰는 건 알겠는데 근본적으로 왜 dativ라는건지 잘 모르겠어요..

예를 들어 제가 작문을 하는 입장이라고 생각한다면

3격이 와야하고 4격이 와야 하고 그런걸 어떻게 알아요? 어떤 기준으로 격이 정해지는 거에요?

ㅠㅠ 너무 어려워요

네, 정말 왜 Dativ인지 질문글을 읽고 보니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am 날짜(Datum)>. 이것은 날짜를 표현하는 하나의 형식인데요, 이것은 Dativ입니다. 한국어로 ‘며칠에’의 뜻이라고 하면 그것이 어떻게 Dativ가 되는지 어렴풋이라도 이해하실 것 같습니다. ‘며칠이’, ‘며칠을’이 아닌, ‘며칠에’라고 한다면 그것은 다분히 Dativ적이죠.
아무튼 ‘an’이란 전치사는 Dat..와 Akk.를 취하는 전치사입니다. (예전에 이러한 전치사를 두고 ‘3.4격 전치사’라고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경우에 따라 Dat. 혹은 Akk.를 취한다는 것이죠.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독일어에서 날짜를 표현하는 두가지 방법 중의 하나는 전치사 an을 쓰는 것입니다. 그런데 날짜를 표현할 때 이 전치사는 Dat.를 취합니다(Akk.가 아니고요). 그래서 Dativ가 오는 것입니다. 이유는 그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적 언어감각으로 Dativ를 ‘~에게’, ‘~에’로 이해할 수 있다면, ‘~에’가 그에 해당하겠습니다.

어려워 하시는 것을 이해합니다. 그런데 이 경우, ‘왜 Dat.가 오는가?’고 묻는 것은 ‘왜 독일어문법이 그렇게 되었는지?’를 묻는 것과 같습니다.
그냥 그렇게 배워야 하고 외우셔야 합니다.

Dat.(3격)이 와야 하고, Akk.(4격)이 와야 하는 때를 정확히 알기란 독일어 능력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을 때이고, 그것은 대강의 원칙을 이해한 뒤 세부를 암기를 통해 숙련함으로써 가능합니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경우 그것의 전체를 처음부터 논리적으로 명쾌하게 이해한다는 게 어렵기 때문입니다. Dat,는 한국어의 ‘~에게’, ‘~에’이고, Akk.는 ‘~을/를’에 해당한다는 것이 그 대강의 원칙입니다. (여기서 버터텅의 교재나 이 답변글이 ‘Dat.’, ‘Akk’ 하면서 굳이 ‘3격’, ‘4격’하는 이름이나 ‘여격’, ‘목적격’, 또는 ‘간접목적격’, ‘직접목적격’이란 명칭을 피하는 이유도 그것들이 Dat.와 Akk.의 정확한 번역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즉 그것을 한국어로 간명하게 정의하거나 명명하기 어렵습니다. 사실은 ‘Dativ’나 ‘Akkusativ’도 순독일어가 아니라 라틴어를 받아들인 것이고 독일어 입장에서보면 외래어입니다. 즉 독일어 안에서도 그에 해당하는 적절한 개념이 없다는 것입니다.

왜 Dativ이어야 하는가?
<an 날짜>이고 그 날짜는 Dativ라고 독일어 안에서 정해졌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여러가지 질문들 12과~ 14과 , 17과 ,18 과 ,19과

12과 Welches Datum? | 박슬기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fragen 은 누구에게 묻는다는것은 Dativ 가 아닌가요?? Akk.는 -을/를 이지 안나요??
왜 Akk. 를 취한다는 거죠ㅜㅜ?

네, 이에 대해서도 질문방 여기저기에 답변을 많이 달았는데요, 좋은 질문방에서 한번 찾아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fragen jn.’이라고 이 동사를 씁니다. 그 이유는 이 동사가 Akk.와 함께 쓰도록 독어문법에서 정해졌기 때문입니다. ‘fragen’이라는 동사는 어쩌면 한국어의 ‘묻다’와 같은 의미가 아닐 것입니다. 한국어의 ‘묻다’는 ‘누구에게’를 필요로 하지만, 아마 그와 조금 다른 뜻일 독일어의 ‘fragen’은 ‘jemanden(누구를)’이라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왜 그런지의 설명은 있을 수 없습니다. 그 동사가 그렇게 생겨서 ‘누구에게 묻다’의 방식에 익숙한 한국인 학습자들이 조심해야 할 뿐입니다. 반대로 독일사람이 한국어를 배울 때 ‘묻다’라는 동사를 ‘fragen’과 유사하다고 생각해 그 목적어로 ‘누구를’을 붙이기를 잘 한다면 이해하실런지요? 그 독일인이 왜 ‘묻다’에 ‘누구를’이 붙지 않고, ‘누구에게’가 붙냐고, 그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뭐라고 설명하시겠습니까, 박슬기 님. 그 동사가 그렇게 생겨먹은 것이죠. 이해가 되는지요?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