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과 Wie ist deine Telefonnummer?

[‘-ig’ 발음, ‘e’ 발음] 독일어 발음에 대해

10과 Wie ist deine Telefon… | Sven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제가 오늘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
그것은 두 가지인데, ig와 e 입니다.

1.제가 가지고 있던 독일어 책에는 -ig로 끝나면 ich(이히)처럼 발음한다고 나와있었는데 엘자 선생님께서
zwanzig를 츠반칙(?)처럼 발음하시는데 -ig로 끝나는 발음은 ‘이히’와 ‘익’ 중 무엇으로 발음해야 하나요?

2.e 발음은 [e]가 아니라 [i] 인가요? zehn 발음이 [ze:n]이 아니라 [zi:n]처럼 발음하는 것 같아 질문올립니다.

안녕하세요, Sven 님
날 더운데 독일어 공부하느라 수고가 많습니다.

‘zwanzig’란 단어를 네이버의 독일어사전 검색창에 치면 [ tsvantsɪç]]라고 표시되고, 그 옆의 스피커모양의 키를 클릭하면 그런 발음이 나옵니다. 즉 ‘ig’의 ‘g’를 [ç]로 발음합니다. 그런데 엘자 선생님은 이 부분을 [k]로 발음합니다. 정칙으로 말하자면 엘자선생님의 발음방식이 맞습니다. 하지만 표준독일어로 정해진 중부지방의 언어는 이럴 때 [ç]로 발음합니다. 이것을 한글로 옮겨보자면 ‘히’입니다. ‘ich’를 발음할 때와 같습니다. 이상하게도 바이어리쉬 방언을 쓰는 지역인 뮌헨에 가면 이것을 엘자 선생님과 같은 방식으로 발음하는 것을 들을 수 있습니다. 엘자 선생님께서 그 쪽 지방 출신이지는 않습니다. 엘자 선생님은 [ tsvantsiç]라고 말하는 중부지방에서 나고자랐음에도 수업중에 정칙으로 발음하기 위해 일부러 그렇게 하신 듯합니다. 정리하자면, 두 가지 발음방식 중 하나는 정칙이고, 하나는 표준어로 지정된 지역의 발음입니다. 마치 서울말이 한국어의 표준어에 해당하지만 모든 서울식 발음이 정칙은 아닌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가령, ‘효과적’이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 서울사람들은 [효꽈적]이라고 하지만 정칙은 쓰인 그대로 [효과적]이라고 발음해야 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입니다.
학습자 여러분들은 [ tsvantsiç]라고 발음하시라고 권해드립니다. 대세를 따라야 무난하게 가기 때문입니다. 이 버터텅매니저도 그렇게 발음합니다.
가지고 계신 책의 내용에 보탤 것이 있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단어에서 ‘-ig’는 [ iç]로 발음되지 않습니다.

Teig [taik] (반죽)

‘-ig’는 형용사를 만드는 형용사 어미의 일종이고, 그렇게 형용사일 때 [ iç]로 발음됩니다. 그리고 명사 등 다른 맥락에서 쓰일 때는 규칙대로  [ik]라고 발음합니다.

2번 질문
‘e’ 발음은 사실 제대로 따라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통은 고급반 정도가 되어야 이 발음의 특성에 자각하곤 합니다. 사실 고급반이 되고나서도, 또 수년간의 독일유학을 거쳐도 이 발음의 특성에 자각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아주 많습니다. 그래서 대충 한국어의 ‘에’처럼 발음하고 넘어갑니다. 그런데 버터텅으로 초급반부터 배우시는 여러분들은 어쩌면 발음에 대해 처음부터 좋은 기반 위에서 독일어를 배우시는 것 같습니다. 위 질문이 그 증거입니다. 공부중에 면밀히 관찰하신 결과 나오는 질문입니다. 
우선 답변부터 드릴게요.  ‘zehn’이란 단어는  [tse:n]으로 발음하고 강의에서 엘자 선생님도 그렇게 발음합니다. ‘e’의 발음은 [e]입니다. 이걸 어떻게 보여드려야 할까요?
이것은 영어의 ‘e’와 다릅니다. 한국어의 ‘에’는 더더욱 아닙니다. 조금 아랫턱에 힘을 주면서 소리를 아랫니로 보낸다는 기분으로 발음하는 것입니다.

한두 달 안에 버터텅에 발음과 단어공부하는 것 돕는 콘텐츠 만들어 올릴게요. 조금 기다리세요. 그때까지 아래 링크를 보시며 따라서 발음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l5GG1Me6qWE

[Ihre Telefonnummer(당신의 전화번호)]

10과 Wie ist deine Telefon | ttoksuni님의 질문

10과 연습문제 3번에 d요

질문은 Wie ist Ihre Telefonnummer?라고 되있는데
답지에는 Meine Telefonnummer ist ~. 로 되있는데요..

Meine가 아니라 Unsere가 되야하는거 아닌가요? 질문에서Ihre로 물어봤으니까요!

빨리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위 예문에서 ‘Ihre’는 ‘당신의’라는 뜻입니다.

Sie : 당신 (주격)
Sie : 당신을 (목적격)
Ihnen : 당신에게 (여격)

Ihr : 당신의 (소유대명사)

소유대명사 Ihr에 ‘-e’라는 어미가 붙어 ‘Ihre’가 되었는데요, 이 어미는 Telefonnummer가 여성이고 문장에서 Nominativ(주격)이기에 붙는 것입니다. 정관사 어미, 부정관사 어미, 또 형용사 어미에서도 여성 Nom. 앞에서는 ‘-e’가 붙습니다.

빨리 답변해 드리지 못해서 미안합니다.

[결혼을 안해도(ledig) 아이가 있는지 묻나요?]

9과 Ich bin verheiratet. | 마노님의 지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고 엘자 선생님이 하는 말을 들으며 생겨난 의문이 있어요. 엘자 선생님은 미혼(ledig)인데, 자기에게 아이들이 (아직) 없다는 이야길 해요. 한국에서라면 그게 당연한 건데 독일에서는 당연하지 않은가봐요. 자기소개할 때 미혼이어도 애가 있는지 없는지 말하나요? 

네 안녕하세요~
공부하고는 크게 관련없는 질문이긴 합니다만 사실 독일의 결혼문화에 대한 좋은 질문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엘자 선생님은 강의 중에 자기소개하는 법을 보여주느라,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아이가 없다는 말을 하지요.
독일에서는 결혼을 하지 않고도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가 얼마든지 있습니다. 미혼모들을 이상하게 쳐다보는 분위기는 거의 없습니다. 가급적 결혼을 한 뒤 아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습니다만, 그렇다고 결혼하지 않은 미혼모를 어떻게 이상하게 보거나 좋지 않게 대우하지는 않습니다. 워낙 서구사회라는 게 개인주의가 발달한 사회이고 개방적이긴 하지만 1968년의 학생운동 이후 더욱 권위주의나 불필요한 전통주의 사고 같은 것을 밀어내고 자유로이 살아가려는 분위기가 무르익은 것 같습니다.
독일에서는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학생들도 많고, 동거상태에서 아이를 낳아 기르며 학교에 보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니까 한 가족이 엄마, 아빠, 아이로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엄마와 아빠는 결혼하지 않은 상태인 것입니다. 이런 형태 말고도, 엄마와 아빠가 헤어져 각각 다른 파트너를 찾은 상태인 경우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개방적인 사회이고 문화인데다, 인구를 늘여야 하는 게 사회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미혼모를 차별하거나 경시하기는 커녕, 적극 지원하려는 여러가지 복지법안과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양육비는 기본이고 부모이므로 받는 돈도 있고, 여러 재단들에서는 학생부모 특히 학생엄마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그야말로 요람에서 대학까지 부모의 경제력과 상관없이 기본적인 생활과 교육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습니다.
그래서 아무튼 결혼하지 않았음에도 아이가 있는지 없는지 말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이십대초반이고 대학생인데, 처음 만나 소개를 할 때 아이가 있냐고 묻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아이가 없기 때문입니다.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