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과 A wie Apfel

[묵음] 독일어에는 묵음이 없나요?

1과 A wie Apfel | 공돌이

안녕하세요 버터텅 매니저님!!

1과의 제목에 들어있기도 한 단어 ‘Apfel’이란 단어 말이에요…
‘pf’가 연달아 발음되는 것인가요? 강의하시는 선생님을 보면 그런 것 같아요.

그럼 독일어에는 묵음이 없나요? 단어에서 모든 철자가 다 발음되는 것인가요?

네, 맞습니다.
독일어에는 원칙적으로 묵음이 없어요. 모든 철자가 다 발음되는 것이 원칙이에요.

그러면 ‘Apfel’의 ‘pf’와 같은 발음은 어렵지 않을까요…
네, 맞습니다. 연달아 발음하기가 어렵습니다. ‘p’는 입술에서 나는 소리이고 ‘f’는 입술과 이에서 나는 소리이기 때문입니다. ‘p’를 먼저 발음하고 이어서 ‘f’를 발음한다는 것은 빠르게 되지 않습니다. 독일인들은 하지만 이것을 잘 합니다. 우선 듣기를 충분히 하고 다양한 예를 통해 연습을 하면 됩니다. 듣는 사람에 따라서는 이 ‘pf’를 발음할 때 아랫입술을 윗입술과 앞니 사이에 붙이고 발음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도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빠르게 발음하다보면 그렇게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다음의 단어들을 한번 발음해 보세요.

Pfeife (파이프)
Pfanne (팬-프라이팬 등의)
Pfarrer (목사)
Pfand (보증금)
Kopf (머리)

위의 단어들은 모두 일상적으로 쓰이는 독일어 단어들입니다. 우선 혼자서 연습해 보시고 네이버 독일어사전에서 입력한 뒤 스피커 모양의 키를 눌러 원어민의 발음을 들으며 연구하세요.

‘Psychologie’란 심리학이란 뜻의 단어인데 영어와 비슷하죠. 그런데 영어와 달리 여기에는

음이 없어요. 먼저 ‘p’를 발음하기 위해 위아래의 입술을 닫은 뒤 열면서 ‘s’를 발음해요. 이 단어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원어민 발음을 듣고 연구해 보세요.

독일어에 묵음이 없나, 하는 의문에 다음과 같은 의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령, ‘gehen’이란 동사는 [geː?n]으로 발음되어 ‘h’가 묵음이라는 의견입니다. 한글로 표현하면 ‘게엔’으로 발음되지,’게헨’으로 발음되는 게 아니므로 ‘h’는 묵음이라는 것입니다. 네, 만일 독일어에 묵음이 있다면 이 정도가 전부입니다. ‘게엔’과 ‘게헨’ 정도의 차이에 묵음처럼 느껴지는 ‘h’가 있습니다. 그 미미한 차이를 제외한다면 묵음이 없다고 생각하는 게 맞습니다.

아무튼 독일어는 원칙적으로 쓰인대로 발음합니다.

[독일어 방언]독일 사투리가 많이 다른가요?

1과 A wie Apfel | 뮌헨여행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남부로 유학을 갈 예정인데 그 지방에 사투리가 심하다고 들었어요.
베를린 등에서 표준어를 쓰는 사람과 남부지방 사람이 만나면 서로 의사소통이 잘 안되나요?
사투리를 어떻게 배워냐 하나요>? 

네, 안녕하세요!

독일에는 다양한 방언이 있습니다. 방언을 ‘Dialekt’라고 합니다.
남부지방, 그 중에서도 뮌헨을 중심으로 한 동부지방의 방언을 ‘Bairisch’라고 합니다.
서로 의사소통이 잘 되는가, 이 문제는 한국의 남북한에 걸친 방언을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의사소통은 대체로 가능한데 때로 잘 안되는 경우도 있겠죠. 하지만 표준어는 모든 독일인들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표준어를 독일사람들은 ‘Hochdeutsch’라고 부릅니다. 사실 이 말은 부정확한 말입니다. 표준어로 쓰는 하나의 방언을 ‘Hochdeutsch’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Hochdeutsch’란 말의 수준 등이 높은 독일어가 아니라 북쪽지방의 사람들의 방언을 남쪽지방(오스트리아나 스위스를 포함해)의 사람들이 부른 말입니다. 표준어라는 개념을 가진 말은 ‘Standarddeutsch’입니다.
표준어로 쓰는 ‘Hochdeutsch’는 중북부 지방에서 쓰는 말입니다. 그중에서도 정확히 어느 곳의 독일어를 그렇게 부르는가? 이에 대해서는 하노버(Hannover) 부근의 지역 사람들이 쓰는 말이라는 주장이 대체적으로 동의를 얻습니다.
수도인 베를린은 오히려 강한 억양의 방언을 쓰는 지역에 해당합니다.

사투리를 따로 배우실 필요는 없어요.^^ 그냥 진도에 따라 독일어 공부하시다가 독일에 가시면 그 지방의 사투리를 듣게 되고 조금씩 이해하거나 배우실 수 있을 거예요.

네이버카페 버터텅 독일어(http://cafe.naver.com/buttertongue#)에 독일어 방언지도를 올려놨으니 참고하세요…

[‘ß’에 대하여] 아주 사소한거지만.. ㅎㅎ

1과 A wie Apfel | Saft

안녕하세요, 버터텅 매니저님

오늘 처음 1강을 들었는데요.
강사 선생님께서 1강 맨 마지막 ß은 설명을 안하고 지나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강의에는 ß설명 옆에 Straße, dreißig 라고 되어있는데 강의자료에는 Straße만 기재되어있습니다.
다음 강의 업데이트 할 때 있으면 이 부분이 업데이트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것말고는 첫번째 강의 매우 만족합니다. 독일어 학원도 다녀봤었는데, 확실히 독일인분이 직접 가르쳐주시니 발음도 그렇고, 집중도 잘되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Elsa 선생님께서 카메라 앞에서 긴 강의의 촬영을 마칠 무렵 긴장이 풀리셨는지, 그만 그 ‘ß’의 존재를 잊고 마셨어요.

‘ß’라는 철자의 이름을 한글로 옮긴다면 ‘에스체트’입니다. 독일어를 한글로 옮겨적는 이런 방식은 버터텅이 잘 하지 않지만 이 순간 예외를 두겠습니다. ‘에스체트’라고 한국어 발음 그대로 불러도 독일어 본래의 이름과 거의 같습니다. 
‘ß’는 교재의 설명에 적힌 대로 [s]로 발음합니다.
‘ß’는 모든 알파벳 중 유일하게 소문자로만 있습니다. 한 단어의 첫 알파벳으로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독일어에서 명사는 언제나 대문자로 첫 알파벳을 씁니다. 그런데 이 ‘ß’는 어떤 단어의 첫글자로 오는 법이 없기 때문에 언제나 소문자로 쓰일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ß’는 ‘ss’로 바꿔쓸 수 있습니다. 이것은 독일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되지 않은 컴퓨터 때문입니다. 그래서 ‘ss’로 쓸 수 있지만 ‘ß’와 ‘ss’가 서로 언제나 바꿔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가령 ‘Spaß(재미)’라는 단어를 ‘Spass’라고 쓰면 뜻은 통하지만 옳은 표기는 아닙니다. 다만 핸드폰의 문자를 보낼 때나 컴퓨터의 자판입력 설정에서 독일어 철자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용인되는 것일 뿐입니다.
다음의 단어들은 ‘ß’가 들어가는 단어들로서 아주 흔히 쓰이는 단어들입니다.
– Straße(거리), dreißig(30), Spaß(재미), Fuß(발), fleißig(부지런한),

다음의 단어들은 ‘ss’로 씁니다(예전에는 ‘ß’로 썼으나 새로운 맞춤법 표기안에 따라 변한 것입니다).
– Fluss(강), Schlüssel(열쇠)

오늘은 일단 여기까지입니다. 처음부터 너무 많이 알게 되면 위험해집니다.ㅋ

[모음의 장단] 장모음규칙에서…

1과 A wie Apfel | werk님의 질문

Hallo~! 버터텅 님~!
자음1개 뒤에 모음이 2개 있는데 길게 발음해야하는 단어들이 있네요 왜그런가요?

단어에서 모음이 길게 발음되는 경우가 있고, 짧게 발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모음의 경우:
1. 모음 + 자음 + 모음  [예: Straße(거리), Dame(숙녀), reden(말하다), Name(이름), Schule(학교)
                            – ‘모 + 자 + 모’의 구조에서 앞의 모음이 길게 발음된다.
2. 같은 모음의 반복 [예: Idee(아이디어), Boot(작은 배), Staat(국가)
3. 모음조합 ‘ie’    [예: sieben(일곱, 7), Lied(노래)]
4. 모음 뒤에 ‘-h’가 붙는 경우 [예: zehn(열, 10), wohnen(살다), Ohr(귀)]

단모음의 경우:
1. 모음 + 반복자음 [예: Bett(침대), Mappe(서류철), satt(배가 부른), hatten(haben의 과거형)]
                        – 반복되는 두 자음 앞의 모음은 짧게 발음된다.
1. 모음 + 자음 + 자음 [예: sitzen(앉다), backen((빵을) 굽다)]

질문 주신 것에 대합 답변은 장모음의 경우 중 2번에 있습니다,.
그런데 모음 발음의 이런 장단을 제시된 규칙에 따라 그때그때 숙지해가면서 독일어를 배우자면 공부가 너무 어렵고 복잡해집니다. 조언을 드리자면 초급과정에서 모음발음의 장단규칙 정도는 크게 의식하지 마시고 공부하시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위의 정리에서도 예외적인 경우들도 있고, 순수독일어가 아닌 외래어는 또 다르게 발음합니다. 이런 것은 귀로부터 차츰 배우고 자연스럽게 따라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일정한 발음규칙을 갖게 되는 게 났습니다. 현재 초급과정에서 길게 발음해야 할 모음을 짧게 발음했다거나, 반대로 짧게 발음하는 모음을 길게 발음했다고 해서 단지 그것때문에 독일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단어찾기] 예습할 때 단어의 뜻을 찾는 법

1과 A wie Apfel | 버터텅 매니저 글

예습을 할 때, 단어의 뜻을 찾는 법에 대해 회원님의 질문이 있었습니다. 가장 클래식하고도 정석인 방법은 독한사전을 구입해 그것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사전의 단어에 밑줄도 긋고, 메모도 하면서 공부한 흔적을 남길 수 있고, 책꽂이에서 언제든 빼내어 단어의 뜻을 찾아볼 수 있으니 아날로그적이고도 정직한 방법으로서 장점이 있습니다.

dbnrstr.PNG

두번째 방법으로는 네이버의 독일어 사전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독일어 단어를 치면 곧바로 단어의 뜻이 나옵니다. 가령 ‘Apfel’이라는 단어를 넣으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geqgerveave.PNG

이 때 단어의 뜻뿐만 아니라 발음을 들어볼 수 있습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스피커 모양을 누르면 원어민의 발음이 들립니다. 잘 안들린다고요? 컴퓨터에 스피커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두세번쯤 눌러서 발음을 확인하고 따라해보세요.

단어의 뜻을 알았다면 그 단어를 클릭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세요.

gqergveq.PNG

명사 단어를 찾을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봐야 할 것은 명사의 성입니다. 밑줄 친 곳에서 ‘m.’은 ‘maskulin’의 약자로서 남성이라는 뜻입니다. 남성인 단어는 그냥 ‘Apfel’이라고 외우지 마시고 ‘der Apfel’이라고 외우세요. 여성은 ‘f.'(femin)를 약자로 쓰고 정관사 ‘die’를 붙입니다. 그러므로 ‘die Blume’라고 외우세요. 중성은 ‘n.’으로 표시하고 정관사 ‘das’를 붙입니다. ‘das Kind’라고 외우세요.

또 한 군데 밑줄친 곳이 보이나요? 바로 ‘?pfel’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것은 복수형입니다. 이것도 알아두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까지하려면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하시는 학습자는 일단 보아두는 것으로 넘어가세요. 하지만 중급반 이상이 되면 이런 것들도 다 알고 있어야 한답니다.

단어공부를 하는 방법으로는 또 좋은 어플을 찾아 휴대폰 등에 깔아놓고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무튼 교재에 단어를 찾아서 뜻을 쓰실 때, 복수형 정도도 한번 써놓으세요. 그 단어가 들어간 문장을 용례로 써 놓고 읽어보고 그렇게 공부하세요. 

[‘r’ 발음] r 발음에 대해서

1과 A wie Apfel | Sven님의 질문

제가 오늘 1강을 들었는데 Elsa 선생님께서 Deutschlehrerin의 r 발음을 [g] 발음 비슷하게 발음하시는것처럼 들렸어요. 독일어의 r 발음은 영어의 r 발음과 비슷한 것이 아니에요? 아니라면 어떻게 발음해야 하죠?

독일어의 ‘r’발음은 교재에서 설명되어있다시피 혀의 깊숙한 부분과 목을 통해 만들어지는 소리입니다.
만일 이것이 초급자에게 [g]처럼 들린다면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그’라고 발음할 때도 혀의 깊숙한 부분과 목젖이 만났다가 떨어지며 소리가 나기 때문입니다.

바깥에서 보여지는 이나 입술, 혀의 앞쪽에서 조작된 소리가 아니라, 구강구조 깊은 곳에서 나오는 소리이기에 따라서 발음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게다가 이렇게 말과 글로 발음법을 설명하기도 어렵습니다. 독일어에서 배우기 어려운 발음 셋 중에 하나로 드는 것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한국사람으로서 이 발음만 잘 해도 독일어가 꽤나 그럴 듯하게 들린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어렵지만 일단 설명을 시도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우선 ‘흐~’하고 발음해보세요. 좀 세게 발음하세요.  목과 혀 사이에 좁은 구멍사이로 날숨이 나며 소리를 내지요? 그곳에 감각을 집중하세요. 이 ‘r’발음의 묘미는 바로 그곳에서 생겨납니다.
2. 이번에는 혀의 앞부분과 중간부분을 움직여 ‘브르르~’하고 혀가 떨리는 소리를 내보세요. 영어의 ‘r’이 아닙니다. 
3. 2번의 ‘브르~’와 1번의 ‘흐~’를 연결하세요. 목젖이 좀 떨리도록 ‘흐~’를 세게 발음하세요. 바로 그 부분입니다. 이때 목젖이 약간 떨린다는 느낌이라면 아마 성공하셨을 것입니다.

‘r’을 한글로 옮기자면 ‘에어’가 될 수도 있고, ‘에르흐’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 버터텅지기가 듣기에는 ‘에르흐’가 좀더 원래의 독일어 이름에 가깝습니다. 아무튼 위 방법으로 ‘에르흐’라고 하며 ‘흐’를 강하게 발음해 보세요. 그리고 목젓이 떨리도록 해보세요.

잘 됩니까? 조만간에 발음에 관해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상자료를 제작해 업로드하겠습니다. 시간이 좀 걸리겠네요.

그때까지 다음의 유투부 동영상 보시면서 따라서 발음하고 연구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i5DgUuCIHc0

[인강듣는 법]

1과 A wie Apfel | jol1027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처음 강의를 듣는 학생입니다
독일어는 완전 하나도 몰라서 정말 새롭게 배우고 있는데요
버터텅 사용법을 보니까
한글자막>독일자막>무자막이런순으로 보면 좋다고 나오더라구요
이런 과정을 한 강좌마다 해야 효과가 좋은건가요?
거기에 써 주신 것처럼 중간중간에 새로 알게 될 수 있는 것들이 있긴 할텐데저같이 아예 모르는 사람들도 효과가 있을지 궁금해서요
오히려 한 강좌를 3번 다 듣고 다음으로 넘어가다보면 지루해지거나 너무 느려질까봐 조금 걱정이 되더라구요
학습 방법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어떻게 했을 때 더 효과적으로 공부했는지 알고 싶어요!

네. 이 질문은 솔직하고도 좋은 질문입니다.

‘한글자막 – 독어자막 – 무자막’ 순서로 매강좌마다 시청해보세요.
예습을 잘 하셨다면 한글자막 강좌를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한글자막 강좌를 이해하셨다면, 독어자막 강좌를 일단 부담없이 시청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그 말을 다 알아듣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세요. ‘내가 지금 어느날 독일땅에 떨어져 살고 있다, 여기가 독일 어학원이고, 나는 초급반 수강생이다…’고 생각하세요. 독일어는 쓰어진 대로 발음하는 언어여서 귀로 들으며 눈으로 자막을 따라 읽는 게 어렵지 않아요. 1과만을 마치고도 자막의 독일어가 어떻게 발음되는지 보면서, 발음의 활용을 공부할 수 있습니다. 사실 잘만 하면 큰 공부가 됩니다.
다음 단계는 무자막영상입니다. 그간 두번 들었던 것을 생각하시면 큰 부담없이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 이해못하는 게 당연한 것이고, 그 중에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나 말들이 자연스럽게 생겨난다면 그 한 마디, 한 마디가 기쁨일 것입니다.
버터텅 강의는 그리 길지 않습니다. 배우려는 마음만 단단히 먹고 있다면 그렇게 지루하지 않을 것입니다. 위의 순서대로 세번 들으라고 권하지만, 열번 듣는다면 어떤가요? 독어자막 강의 듣다가 한국어자막 강의로 다시 돌아가 궁금한 부분을 되짚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모르면 모르는 데로 따라 읽기연습이라도 하겠다는 마음으로 독어자막이나 무자막 강의를 시청하세요. 우선 그 공포나 부담감을 없애고, 독일어 발음을 듣는 일에 익숙해지는 자신을 발견하세요.

그렇게 세번씩, 혹은 그 이상 반복하는 게 지루해질 것 같다고 생각하신다면 자신만의 방법을 개발해 보세요. 가령 1과에서10과까지는 예습 – 한글자막강의 – 복습(연습문제)의 순서대로 공부한 뒤 나중에 감각이 좀 생겼을 때 독어자막과 무자막을 여러번 들어본달지 하는 것입니다.

조만간에 버터텅 동영상강의의 자막시스템이 바뀝니다. 한 동영상에 한국어와 독일어 자막을 원하는 때에 조절해 볼 수 있고 당연히 자막없이도 볼 수 있습니다. 학습자에게 더 편리해지긴 하는데, 이게 오히려 지금의 세가지 버젼을 따로 보는 것보다 학습의 능률을 떨어뜨리진 않을까하는 염려도 있어요.
아무튼 인강으로 공부하는 왕초보과정의 독일어는 짧은 것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게 좀 중요합니다. 버터텅은 그것을 돕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렇게 권합니다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 본인의 의지입니다. 잘 할 수 있다고 스스로에게 격려하고,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하세요. 포기하고 싶을 때가 있다면 사이트 하단의 전화번호로 전화하세요. 상담해 드릴게요.

[äu, eu, au 발음들] 연습문제3

1과 A wie Apfel | 유진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진작에 독일어 공부에 흥미를 붙여보려했지만 잘 하지 못하다가 오늘 갑작스레 친구들에게서 자극을 받고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강의는 1, 2강 들었고 꾸준히 공부 할 생각이에요. 버터텅이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다름이 아니라 저는 온ㄹ 1강 연습문제 3번을 풀다가 궁금증이 생겼어요. k 번에서 답이 august인데 왜 그렇게 되나요? aeu의 발음은 정확히 어떻게 되는 건가요?
답변 기다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진 님

독일어공부 시작한 새내기시로군요. 독학이다보니 중간에 좀 지루해지는 듯하던데 그렇더라도 꾸준히 공부하시면 반드시 성과를 거두게 됩니다.  

교재에 이미 나와 있지만 다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äu 발음은 []로 됩니다. 이것은 한국어로는 ‘오이’와 ‘어이’의 중간쯤으로 들립니다. 그냥 일단은 ‘오이’라고 생각한 뒤 꾸준히 공부를 하다보면 선생님의 발음을 자꾸 들으며 점차 완벽한 발음을 하게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네이버에 독일어사전이 있는데 단어를 입력하면 그 발음도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시된 문제에서 Gebäude  –  August  –  Geräusch  –  Feuer  등의 단어들을 넣어보고 그 단어들이 각각 어떻게 발음되는지 연구할 수 있습니다. 한번 해보세요.
eu 발음도 ?u와 같습니다. 가령 ‘유럽’라는 뜻의 ‘Europa’는 어떻게 발음되냐면 ‘오이로파’로 됩니다.
질문에서 August란 단어가 왜 문제의 답이 되는지 문의하셨는데, 스펠링이 다르고, 발음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au 발음은 그냥 ‘아우’로 됩니다. Audi(아우디)라는 차 이름 아시지요? 해당 문제에서 August를 제외한 다른 단어들의 모음은 ‘오이’로 발음됩니다. 
이해가 되었는가요? 공부하다가 게을러지는 것 같거나 체크를 좀 받고 싶거나 한다면, (카톡 쓰시지요?) 카톡아이디 paek4304와 친구맺기 하세요. 버터텅 매니저의 아이디입니다. 틈나는 대로 진도체크하고 공부하시는 진도에 맞춰 퀴즈문제도 내어드릴게요. 버터텅 회원분들 중 몇몇이 이미 그렇게 하고 계세요. 
그럼 열공하시구요~~ 

[R발음 혀 굴리기가 안되면..]

1과 A wie Apfel | 이쁜2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어제부터 1강을 듣기 시작해서,
여러번 들으며 공부하고 이제 연습문제도 풀고 있습니다 : )

질문이 생겨 질문방에 들어왔는데,
인기 질문? 같이 좋은 질문 잘 정리되어있어서 굉장히 편리해서 좋네요!!
감사합니다 🙂

R발음에 관련해서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인기질문 3번째인가 4번째에 있는 r발음 관련 질문 답변을 보다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발음 연습 할 때 에르르르~ 하는 혀 굴리기가 요구되는데,
전 그 혀 굴리기가 안되네요ㅠㅠ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연습해야하나요??
혀 굴리기를 하기위한 방법이 있나요?

두번째는 1과에 등장하는 Rose라는 단어와 관련해서 질문합니다.
강의중에 선생님께서 발음하시는 걸 들어보면 ‘호제’ 라고 발음하시는 것 처럼 들려요!
즉, R을 ‘ㅎ’로 발음하신 것처럼 전 들었는데,
궁금해서 사전도 들어보니까 사전은 ‘로제’, ‘ㄹ’발음으로 발음 사운드가 나오더라구요!!
어떤 발음이 정확한건가요??? ㅠ.ㅠ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질문 중에서도 예쁜 말투, 예의를 갖추는 문장으로 질문을 주시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아마 이쁜2님과 같은 경우가 아닐까 합니다. 질문방/좋은질문방은 독학하시는 분들을 위해 만들어놓은 것인데, 회원가입만하면 읽을 수 있는 것이라, 누구든 잘 활용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또 ‘r’ 발음 문제이군요! ^^
사실 한국어의 ‘ㄹ’ 발음이 완벽히 가능한 사람이라면 모두 ‘r’ 발음을 할 수 있습니다. ‘r’발음은 ‘흐’를 ‘크’에 가깝게 좀 거세게 발음함으로써 목젖에서 소리가 나는 것, 또는 양치질을 한 뒤 가글로 입을 행굴 때 목젖부근의 근육을 조작하는 기분의 발음이라고 그 발성법을 표현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에르흐’라고 브르르 혀끝의 떨림과 목젖의 울림을 조합하는 것인데요, 만일 혀끝이 떨림이 잘 되지 않는다면 일단 한국어의 ‘ㄹ’처럼 하세요. 그리고 계속적으로 강의를 시청해나가며 선생님의 발음을 연구해 보세요. 한국어의 ‘ㄹ’처럼 발음한다고 해서 그런 발음이 들어간 문장표현을 독일인들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하는 것은 아닙니다.

굳이 혀굴리기를 위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면, 혀가 짧아 ‘ㄹ’발음이 잘 되지 않는 사람들이 쓴다는 방법을 말씀해 드릴 수는 있습니다. 단순해요. 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매일 반복하면 효과가 있다고도 합니다. 꼭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만…. 아무튼 상상하기 좀 괴로운 방법이지요.

남부독일, 그 중에서도 뮌헨중심의 바이에른 사람들은 ‘r’발음에서 브르르 하는 혀굴리기를 잘 합니다. 그런데 위쪽의 중부 이상 지방의 사람들은 목젖에서 나는 소리로 ‘r’이 들어간 단어를 발음합니다. ‘Rose’가 ‘호제’로 들린다거나, ‘r’을 발음하는데, ‘ㄱ’를 발음하는 것처럼 들린다고 한다면 이것은 바로 목젖소리를 듣고 그렇게 분석한 결과입니다.
단어 ‘Rose’를 두고 강의중 선생님은 ‘호제’라고 발음하는 것 같은데, 인터넷의 사전에서 들어보니 ‘ㄹ’발음을 하는 것 같더라, 이것들 중 무엇이 정확한가…. 둘 다 맞는 발음이겠지요. 전자는 윗쪽의 표준독일어식 발음이고, 후자는 약간 아랫쪽 지방의 독일어입니다. 어쩌면 그 둘을 섞은 게 이상적인 ‘r’ 발음일 것이다고 말하고도 싶지만, 이런 말은 혼란을 주겠지요.
아무튼 분명한 것은 ‘Rose’의 ‘r’ 발음이 아무리 목젖소리를 낸다고 하더라도 ‘호제’라고 한국어로 써놓고 한국사람이 그것을 읽으면 독일사람이 ‘Rose’로 알아듣지는 않습니다. 즉 ‘호제’처럼 발음되는 것으로 우리 귀에 들린 것일 뿐입니다. 너무 어렵다고 여겨진다면 일단 ‘ㄹ’로 인식하고 따라한 뒤에 시간을 두고 강의를 들으며 선생님 발음을 연구해 따라하면 되겠습니다. 자신이 그 발음을 완벽하게 구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언제든 개선의 순간이 찾아오기 쉽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그렇습니다.

[V발음에 대하여]

1과 A wie Apfel | 꼬북이

안녕하세요. 독일어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된 입문자로서 처음에 배웠던 내용과 다른 내용이 있으면 당황하고 헷갈리게 되네요.
강의를 계속 듣다보니 v 발음에 대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der Vater의 경우에서 v발음이 f에 가깝게 들리고 실제로 발음기호를 보니 f로 적혀있었는데, vier나, November등 우리가 흔히 영어에서 듣는 v발음과 가깝게 들립니다. 이는 그냥 단어마다 발음이 다른건지, 혹은 규칙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V’발음은 기본적으로 [f]입니다. 그런데 간혹의 단어에서는 [v]로 발음됩니다. 이것의 이유는 그 단어가 외래어로서 다른 언어에서 그렇게 발음되어졌던 탓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교재에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한번 1과의 해당부분을 다시 한번 짚어보세요.

어느 단어가 외래어이어서 [v]로 발음되고, 또 어느 단어는 순독일어로서 [f]로 발음되는지 어떻게 알지 걱정이 드시겠지만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주 쓰는 단어들 중 외래어로서 [v]로 발음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단 초급반에서 알아야 할 [v] 발음 단어들은 다음의 단어들 정도입니다.

Universität(대학교), November(11월), Vase(꽃병), Klavier(피아노)

ko_KR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