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강에 연습문제 4푸는중에…. in den ferien (ferein은 복수) in die schule in den kindergarten
밑에 두개는 in뒤에 4격 정관사가 쓰였는데 왜 ferien은 in 뒤에 den이라는 3격 정관사가 쓰였나요?
정관사에서 Akkusativ와 Dativ 중 무엇이 쓰이는가에 대한 질문입니다.
b) Was machen sie in den Ferien? (방학 때 그들은 무엇을 하나요?) g) Ich fahre in die Schule. (나는 학교에 간다.) k) Sie geht in den Kindergarten. (그녀는 유치원에 간다.)
보통 ‘어떤 방향(곳)으로 간다’는 식으로 장소의 이동을 말할 때 Akk.를 씁니다. 여기에 흔히 쓰이는 동사는 gehen, fahren 등이겠지요. 위의 예문 g), k)가 그에 해당합니다. 반면, 어떤 지정된 장소에서 일어나는 일은 Dat.를 씁니다. 또 지정된 시간상의 한정인 ‘때’를 말할 때도 Dat.를 씁니다. ‘~에/에서/때 무엇을 하다’고 할 때 ‘~에/에서/때’ 등의 해당부분이 Dat.인 것입니다. 그래서 b)는 in den Ferien인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강의 중의 선생님 말이 무슨 뜻인지 질문을 받은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네요. 직역을 해보셨다면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에는 직역해보신 것도 질문글에 넣어주세요.)
Aber für heute war es das erstmal von mir.
위 문장은 도치가 된 것입니다. 도치가 된 것을 정치시키면 다음의 문장이 됩니다.
Aber das war es f?r heute erstmal von mir.
Aber : 그런데 : – 접속사로서 주어 앞자리에 올 수 있다. 즉 문장의 ‘0순위’에 올 수 있는 단어인데, 독일어로는 ‘null Position’이라고 함. das : 그것 : – 주어 war : 이었다 : – 동사. sein 동사의 3인칭 단수 과거 es : 그것 : -3인칭 Nominativ. 이 문장에서는 주어인 ‘das’와 동격. 직역하여 ‘그것이 그것이었다’라는 의미가 되게 함. f?r heute : 오늘로서는, 오늘은 : – 직역하면 ‘오늘을 위해서는’ erstmal : 우선 von mir : 나로부터는
이런 표현을 알아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Das war es.’ 직역하자면 ‘그것이 그거였다’는 뜻으로 무엇이 ‘여기까지다’, ‘끝났다’는 등을 표현할 때 쓰는 말입니다. 가령, 어린 아이의 젖니를 뽑을 때, 이를 뽑고 나서 우는 아이에게 ‘고통이 끝났다’라고 말할 때 그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또 수업을 마칠 때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오늘은 여기까지다’라고 수업의 종료와 작별을 고하는 말을 이렇게 합니다. ‘Das war es für heute.’ 어떤 용건으로 긴 말을 끝내고 나서 ‘이상입니다’라고 말할 때도 ‘Das war es.’라고 말합니다. ‘Das war’s.’로 줄여서 말하기도 합니다. 바로 이 문장에 몇 가지 부가어들을 섞어넣은 말이 질문 주신 문장입니다.
Das war es. Abe für heute war es das erstmal von mir.
‘그런데 오늘 내 이야기(나에 관한 이야기)는 우선 여기까지로 마무리짓는다.’는 뜻입니다. 이런 뜻의 문장을 강의 중 한국어 자막으로는 ‘하지만 오늘은 작별해요’라고 한 것입니다.
질문 1) 교재 예문 중 Sie hat am vierzehnten Zwölften Geburtstag. 그리고 연습문제 4-f Zwölf에서 Zwölften/Zwölf의 z가 왜 대문자로 쓰였는지 궁금해요
질문 2) Mir gefällt es hier auch sehr gut. 이 문장 해석이 잘 안되서요 es가 주격인데 동사 뒤에 가있고 mir가 앞에 와있어서 문장구조가 어떻게 된건지 모르겠네요ㅠㅠ
질문 3) 그리고 윗 문장과 Es ist sehr schö hier. 이 문장에서 hier가 해석상 잘 해석이 안되요:-( 제가 해석하기엔 es가 이미 장소를 나타내주는 것 같은데 hier가 왜 쓰였는지 모르겠어요
질문 4) 연습문제 4-b, 4-e번에서 Urlaub와 Kaffee앞에 관사가 쓰이지않아서요 관사를 안써도 되는건가요???? 왜 여기에서만 관사가 쓰이지 않은건지 알고싶어요!
오늘도 질문이 많네요 항상 수고가 많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열공중이신 유자 님!!
우선 다음의 예문에서 ‘Zwölften’으로 ‘Z’가 대문자로 쓰였습니다. Sie hat am vierzehnten Zwölften Geburtstag. (그녀는 12월 14일이 생일이다.) 숫자는 문법상 부사로서 소문자로 쓰지만 위와 같이 된 것은 명사화 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12월이라고 명사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첫글자가 대문자로 되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숫자를 위의 예문에서처럼 문자로 쓰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대개는 ’12.’이라고 표시를 합니다. 말로 할 때는 ‘Dezember’와 ‘Zwölften’이라는 말을 혼용해서 씁니다. 보통 계약서 등의 문서나 그와 유사한 상황에서 달을 정확하게 말해야 할 때 ‘Zwölften’이라고 말하곤 합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것은 ‘Zwölften’과 같이 숫자가 명사로 취급되는 경우에도 형용사어미의 변화가 있다는 것입니다. 격이 무엇인지에 따라 ‘Zwölfte’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연습문제 4-f의 ‘Zwölf’는 오기입니다. 수정하였습니다.
2번 질문 : 도치문 Mir gefällt es hier auch sehr gut. (내게도 이 곳이 아주 마음에 든다.) 위 문장은 도치문장입니다. ‘Es gefällt mir hier auch sehr gut.’라는 문장이 위와 같이 도치된 것입니다. Mir(목적어) gefällt(동사) es(주어) hier(부사) auch(부사) sehr(부사) gut(형용사).
3번 질문 : Es ist sehr sch?n hier. hier는 ‘여기’, ‘이곳’이란 뜻이죠. 부사죠. es는 이 문장에서 문법상의 주어입니다. 독일어 문장은 원칙적으로 언제나 주어를 필요로 합니다. ‘이곳은 매우 아름답다.’라는 말을 독일어는 문법적 주어인 ‘es’를 써 위와 같이 표현하는 것입니다.
4번 질문 : 관사 없이 쓰는 명사 관사 없이 명사를 쓸 수 있습니다. Urlaub machen (휴가를 가다) Kaffee trinken (커피를 마시다)
독일어에서는 명사 앞에 관사를 붙이기를 선호합니다. 아주 강력한 경향이지요. 그런데 일반적인 ‘휴가 가기’, ‘커피 마시기’ 등에는 관사를 붙이는 게 애매합니다. ‘하나의 휴가’라고 수를 헤아리기 어려운 단어들이 있고요, 또는 ‘그 휴가’를 간다고 특정한 휴가를 의미하는 게 이상할 수 있습니다. 커피를 마시는 것도 ‘한 잔의 커피’를 마시기를 좋아한다고 말하는 게 아니라, ‘커피를 마시기’를 좋아한다고 말하자면 관사 없이 쓰는 게 마땅하지요. 관사 없이 쓸 때도 많습니다. 잘 관찰해보면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어떤 하나의(부정관사)’나, ‘그(정관사)’를 단어 앞에 붙여쓰는 게 어색할 일반적인 명사개념일 때 그렇겠지요.
유자 님. 전에 한번 말한 적이 있는데, 이 버터텅 매니저를 위해서 어떻게 독일어 공부하고 계신지 수강후기에 한번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Wir essen mit Herrn und Frau Mueller를 Wir essen mit ihnen으로 바꾸던데
mit가 있으면 무조건 3격으로 쓰는거에요? 은,는,이,가/-에게/을,를 상관없이?
누구와 먹냐라고 물어보는건데 왜 3격을 갖다 붙이는지.. wem은 누구에게 를 묻는 것 아닌가요?
네. ‘mit’는 무조건 Dativ와 함께 씁니다. 예외 없습니다. 이렇게 언제나 Dat.와 쓰는 전치사들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mit, zu, bei, aus, von, seit, nach 등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공부하시면서 틈틈이 배우게 됩니다. 특결히 64과에서 집중적으로 배우는데, 아마 NY님께서는 패키지로 구매한 게 아니어서 64과를 미리 보는 게 가능하지 않을 거예요. 그런데 살펴보니 다행스럽게도 그 64과가 강의체험 방에 맛보기 강의로 유투브에 링크되어있군요. 한번 가서 보세요. 다마리스 선생님께서 음악에 따라 외우는 방식으로 가르치시네요.
‘mit’는 ‘누구(무엇)와’, ‘무엇으로’의 뜻이 있습니다. 즉, ‘mit (jemandem)’에 ‘(누구)와’라는 뜻이 있는 것입니다. 바꿔 말하면 ‘누구와’라고 말하고 싶다면 ‘mit (jemandem)’을 써야만 하는 것입니다. ‘wem’은 ‘누구에게’라는 뜻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입니다. ‘mit wem’이라고 의문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말입니다.
‘Mit wem essen wir heut im Restaurant?'(우리 누구하고 오늘 그 식당에서 먹지?) ‘Mit wem gehst du zur Party? (너 누구하고 파티에 가니?)
안녕하세요! 19과 연습문제 3) e 번에서 Ich und Frank fragen den Lehrer nach seiner Telefonnummer. 나와 프랑크는 물었다 선생님에게 그의 전화번호를. 선생님에게로 해석되는데 그럼 wem 을 물어보고 jemandem 아닌가요 ?
왜 dem Lehrer 가 아니라 den Lehrer 인거죠!!
네, 안녕하세요, 데트몰트 님. 지금 데트몰트에서 공부중이신가요? 가본 적이 있는 친숙한 도시라서 닉네임에 자꾸 눈이 가네요. ^ ^
fragen jemanden(Akk.) nach etwas(Dat.)
위에 써드린 것을 외우세요, 도움이 됩니다. 독일어에서는 ‘묻다( fragen)’라는 동사를 쓸 때 한국말에서는 ‘누구에게 묻다’할 것을 그렇게 하지 않고 ‘누구를 묻다’로 합니다. 즉 위에서 ‘jemanden’은 ‘누구를’이란 뜻이고, Akk. 인 것입니다. ‘무엇에 대해 묻다’는 ‘fragen nach etwas’입니다. 여기서 ‘etwas’는 Dat.입니다. ‘nach’라는 전치사는 Dat.를 취합니다. 간단히 대답을 하자면 ‘fragen’이란 동사가 그렇게 쓰도록 정해져 있는 것입니다.
한국인들이 초급자 과정에서 헷갈리는 동사는 이 동사 ‘fragen’ 말고도 ‘helfen’이 있습니다.
오랜만에 사이트 들렀어요 히힛! 19과 연습문제를 다시 풀다가 ‘gehören’동사에 대해 질문이 생겨서요.
2-b번에 보면 ‘Das Auto gehört meinem Vater.’라는 문장이 있는데요… ‘gehören + Dativ’가 ‘~의 것이다, ~의 소유이다’라는 뜻이니까 ‘das Auto’가 아버지의 것이라고 해석하면 되나요?
사전을 보다보니 ‘gehören + zu’라는 표현도 나오던데, 두 표현들 사이에 어떤 의미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별명없음 님
좋은질문방 Schritt2의 10번 질문을 찾아보시면 ‘gehören’ 동사의 특수성에 대한 해설이 나옵니다. 거기에 위 질문에 대한 답도 들어 있습니다만, 보다 자세히 설명을 드리는 게 좋을 것 같아요.
1. ‘etwas geh?ört jemnadem’ (무엇이 누구에게 속하다(누구의 것이다)) 2. ‘etwas gehört zu etwas’ (무엇이 (다른) 무엇에 속하다)
1번은 보통 소유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DAt.인 jemandem(누군가)으로 표시됩니다. 만약 ‘넌 내꺼야.’라는 말을 독일어로 하고 싶다면 이렇게 되겠죠. “Du gehörst mir!” 실제로 이런 표현은 잘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만, 장난으로 할 수는 있겠습니다. 아주 친한 사이인 경우예요. 2번은 보통 어떤 사물이 다른 사물의 일부일 때 씁니다. ‘A는 B에 속한다’는 표현을 말합니다. ‘Dokdo geh?rt zu Korea.(독도는 한국에 속한다.)’ 이런 예문을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이때 나라이름이나 도시이름 앞에는 관사가 잘 붙지 않으므로 ‘Korea’를 관사없이 쓴 것입니다.) 2번의 표현을 일반적으로는 사물에 관해서 쓰지만 사람에 대해서도 쓸 수는 있습니다. 가령, ‘Ich gehöre zur ButterTongue.’이라고 한다면 ‘나는 버터텅의 직원이다’라고 말하는 것이 됩니다. 이것은 ‘나’가 버터텅에 속한다는 것을 좀 강조해 말하는 것입니다. 즉 어떤 그룹에 속하는 개인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위의 설명에서 예로든 ‘Du gehörst mir.’를 거꾸로 말한다면 어떻게 되나요? ‘Ich gehöre dir.(난 네꺼야.)’가 되겠죠. 이 말은 장난이라기보다 사랑고백처럼 들립니다.
Der Lehrer fragt die Schüler. –> Der Lehrer fragt sie 로 변하는건 알겠습니다. 외우면 되니까요, ㅎㅎ, 그런데 Der Lehrer fragt sie. 만 놓고 봤을때 ‘그녀’를 지칭하는지 ‘그들’을 지칭하는지는 어떻게 알죠?
안녕하세요, 그 문장 하나만을 놓고 봤을 때, ‘sie’가 그녀인지 그들인지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그녀’든, ‘그들’이든 모두 대명사이므로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이 문맥에서 정해져 있는 게 보통입니다. 그것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저 문장 하나만을 놓고는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버터텅을 통한 독학으로 독일 유학준비중인 학생입니다. 19과를 공부하고 강의를 듣던중 Die bücher gehören euch (이 책들은 너희들의 것이다) 라고 나와있던데 “너희들의” 니까 Ihr 의 gen. 즉 소유격 ~의 로 해석되는거 같은데 euer로 쓰여야되는것 아닌가요? 질문방들에 혹시 같은내용 있나 찾아봤는데 없길래 질문드립니다. 만약에 혹시 Schritt1 안의 어떤부분에 내용이 명시되어있거나 하면 어느부분이라고 알려주시면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밤이 늦었으니, 요점만 쓰겠습니다.
우선 euer를 써서 소유를 표현하는 문제: euer는 소유대명사이고 이것이 소유를 표현할 때는 ‘eure Bücher(너희들의 책들)’의 형태가 됩니다. 이렇게 해서 소유를 표현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됩니다. Das sind eure Bücher. (그것은 너희들의 책들이다.) 즉 문장이 바뀌어야 합니다., 그러나 질문자님 말씀대로 소유대명사를 써서 소유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Genitiv는 쓰이지 않습니다.
gehören Dat.(누구에게 속하다) Die Bücher gehören euch. (직역: 이 책들은 너희에게 속한다.) 위와 같이 되어서 제시된 예문에서 Dat.가 쓰입니다. 즉 gehören이란 동사는 Dat.만을 취합니다. 사실 ‘누구에게 속하다’로 생각하면 이상할 게 전혀 없지요.
만일 ‘넌 내꺼야.’라는 말을 독일어로 하고 싶다면 gehören 동사를 쓰면 좋습니다. Du gehörst mir. (직역: 너는 내게 속한다.)
만일 ‘난 누구의 소유도 아니야!’라는 말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하고 싶다면 다음입니다. Ich gehöre niemandem.
먼저, 첫 장 예습 어휘란에 ‘brauchen zu Inf.’ 있었는데요. 정확한 의미가 뭐인지 사전을 찾아봐도 잘 모르겠어요… 예문) Du brauchst es uns nicht mehr zu erklären.
마지막으로, getroffen의 뜻이 뭐인가요? 예문) Gestern habe ich ihn getroffen
제 질문은 여기까지입니다. 이번이 제 SCHRITT 1 마지막 질문이 될 것 같습니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한 달 동안 복습한 다음 다시 SCHRITT 2에서 또 돌아올 거예요. 버터텅 진짜 최고입니다!!
안녕하세요, 신선한 아이님 벌써 S1이 끝나가나요? 더웠던 여름에 독어공부만 하셨나보네요.
1.> ‘brauchen zu 부정구’에 대하여
‘brauchen zu Inf.’ : ~할 필요가 있다 brauchen : ~을 필요로 하다 zu Inf. : zu Infinitiv의 줄임말. 직역하여 ‘zu 부정형(동사원형)”. 흔히 ‘zu 부정구’라고 부르며, 영어의 ‘to 부정사’와 문법적 역할이 같다.
‘brauchen zu Inf.’ 는 일반적으로 nicht가 더해져 ‘~을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의 부정적 표현으로 많이 쓰입니다. ‘zu 부정구’에 대해 공부할 때 꼭 배워야 하는 표현입니다. Ich brauche die Prüfung nicht zu machen. (나는 그 시험을 치를 필요가 없다.)
2.> treffen – traf – getroffen treffen는 ‘만나다’는 뜻의 동사입니다. ‘Ich treffe ihn.’하면 ‘나는 그를 만난다.’는 뜻입니다. 이것을 과거로 하기 위해 과거분사형을 쓴 것입니다. 그것이 getroffen입니다.
안녕하세요~ 제목 그대로 질문드립니다 Ich liebe mein kind. –>Ich liebe es 아이가 여자거나 남자임에도 es 가 쓰이는게 맞나요? 또한 das Kind 뿐 아니라 das Maedchen 등도 es가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그렇습니다. 명사들에 남성, 여성, 중성의 성이 붙는 것은 그 명사중에 사람을 지칭하는 것이 있는 것과 별개입니다. das Kind(아이)나, das Mädchen(소녀)는 중성의 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이 인칭대명사로 바뀔 때에는 es(Nom.와 Akk.에서)가 됩니다.
Ich liebe mein kind. –>Ich liebe es.
위와 같이 될 수 있습니다.
Ich habe ein Kind. Es ist ein Mädchen. Es hat einen Hund. Er heißt Walli. (나에게는 한 아이가 있다. 그 아이는 여자아이다. 그 애는 개를 한 마리가 가지고 있다. 그 개의 이름은 Walli다.)
위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사람이 es로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물이 er로 취급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물뿐만 아니라 원칙적으로는 그냥 물건들도 그렇게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경향적으로 사물에게는 er, sie와 같은 인칭대명사를 피할 뿐입니다. 인칭대명사(Personalpronomen)라고 하여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사물을 인칭대명사로 바꿀 수 있습니다. 다만 방금 말씀드렸다시피 그렇게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을 뿐입니다. 또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중성일 경우 당연히 es로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