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치사가 아닌 분리전철] 전치사aus 위치. 연습문제 4.e

43과 | weil | Hoffnung55 님의 질문

늦은시간에 올리게 되서 죄송합니다ㅠㅠ
독일어는 몇달동안 알파벳만 공부하다가 버터텅을 찾게되어 제대로 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Schritt3까지 해보니 배운건 정말 많은데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 보려니 막막해요…
Schritt2를 배우면서 함께 격지배 전치사를 공부했었습니다.
aus는 3격 지배 전치사로 ~부터(밖으로), ~로(재료), 이 외에 출신과 유래를 표현할 때 사용되고 
3격 지배, 즉 aus 후에 나오는 명사는 3격으로 나와야 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또한, 영어로 치자면 전치사구인데, 전치사구이면 전치사 뒤에 반드시 명사가 나와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습문제 4번에 e를 보면… z.B.) Ich ziehe die Schuhe aus, weil sie nass sind. 가 답이라고 나와있는데요…
왜 shuhe뒤에 aus가 나오는건가요? 그리고 aus가 3격 지배이면 die가 아닌 den이 아닌가요ㅠㅠ?


날씨 더운데 공부하느라 괴롭지 않은가요? 더워 죽겠습니다.
이럴 땐 독일이 그립습니다. 독일의 여름은 기온에서 한국과 비슷하나 습도가 낮아 덥다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그냥 햇빛 쨍하게 드는 날엔 썬크림 바르고 그늘에 들어가 있으면 됩니다. 그리하여 환하고 싱그러운 여름을 즐길 수가 있습니다. 에어콘도 필요없고요. 그저 그늘진 발코니에 앉아 아이스티 한잔 마시며 독서하면 됩니다. 아, 정말 그립네요..

Schritt 3까지 했다면 많이 공부하신 것이고,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보려니 막막한 것은 당연합니다. 버터텅은 문법을 이해하고 듣기능력을 키우는 데에 좋습니다만 버터텅의 역할은 거기까지입니다. 나머지는 오프라인의 실제 수업에서 배워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과거 버터텅 인강을 들으며 알게모르게 키워진 능력이 진가를 발휘하게 됩니다.

독일어의 동사에는 분리동사라는 게 있습니다. (독일어로 Trennbare Verben라고 합니다. 독일어를 좀 깊이있게 배우고 싶다면 문법용어를 독일어로 배우시는 게 좋습니다. 그게 나중에까지 도움이 되어요.) 동사가 문장에서 분리가 된다는 것인데요, 다음처럼 됩니다.

ausziehen (옷이나 신발 등을 벗다) : aus + ziehen
abfahren (출발하다) : ab + fahren
mitkommen (함께 가다(오다)) : mit + kommen
zulassen (허락하다) : zu + lassen

Ich ziehe die Schuhe aus. (나는 신발을 벗는다.)
위 문장에서 동사는 ausziehen입니다. 여기서 분리전철인 aus가 문장 끝으로 간 것입니다. 분리전철을 가진 분리동사는 평서문에서 이렇게 됩니다. 나중에 Schritt4에서 배우실 텐데요… 이 동사의 과거분사형은 ausgezogen입니다. 즉 ge가 aus와 zogen의 중간에 들어갑니다.

Ich habe die Schuhe ausgezogen. (나는 신발을 벗었다.)

이 aus와 같은 분리전철은 한국어의 접두어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렇게 분리되는 동사 말고 분리되지 않는 비분리동사도 있습니다.

열심히 공부하시는 회원님, 화이팅 하세요~~~

[weil, da, denn에 대하여]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들

41과 | …, denn ich habe Hunger. | 냠냠냠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버터텅 매니저님!
지난번에 질문 글 남기고 갔었는데, 답변 금방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그 때 이후로도 계속 강의 들으면서 공부하고 있어요.
아무래도 혼자 공부하다 보니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네요.  

41과부터 43과를 보다 보니 ‘denn’, ‘weil’, da’ 이 세가지가 모두 이유를 나타내는 표현이더라구요.  
‘…, denn 주어 동사 …’ ‘…, weil(da) 주어 … 동사’   문장에 적용될 경우, 이렇게 어순이 달라진다는 점은 이해가 가는데요.
혹시 이 표현들간에 미묘한 의미상의 차이나 문법적인 기능의 차이는 없나요?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네, 냠냠냠 님.
오늘도 열공중이시군요. 더운 여름을 이기며 공부하시니 질문들이, 그러니까 많은 좋은 질문들이 자연스럽게 빚어지는 모습입니다. 이제 공부하기 좋은 철이 다가왔으니 더 잘 공부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질문들 하나하나 열매가 되어 언젠가 한아름 거두시게 될 거예요. 그 열매들을 다 맛있게 드시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네요, 냠냠냠…

좋은 질문입니다.
weil, da, denn은 인과(因果, kausal)를 나타내는 문장에서 원인에 해당하는 부분을 이끄는 접속사들입니다. 그 중에 ‘denn’은 엄밀히 말해서 부사로 분류됩니다.
먼저 weil과 da에 대해 이야기해보지요. ‘weil과 da는 교재에도 나오듯 문법적 역할과 의미가 같습니다. 종속절(Nebensatz, 부문장)을 이끌고 동사는 후치됩니다. 종속절 안에서 동사는 늘 후치되지요.
그럼 denn은 무엇인가. denn은 의미상 weil이나 da와 같습니다. 그래서 ‘…이기 때문에’, ‘왜냐하면 …’, ‘…하므로’ 등의 뜻으로 이유(원인)를 나타내는 절을 이끕니다. 다만 문법적 역할이 ‘weil이나 da와 달라 주의를 요합니다. 원인을 나타낸다는 의미상의 역할은 같지만 문법적 역할이 다르다는 사실은 결정적으로 문장에서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말합니다. denn은 종속절을 이끌지 않고 주문장(주절)을 이끕니다. 그래서 동사가 후치되지 않습니다. denn은 문장의 어떤 구성요소보다도 앞에 위치합니다. 마치 und, oder 등처럼 말이죠. 이런 것을 ‘0 위치(null Position)’라고 부릅니다.

Ich möchte dich heiraten, denn ich liebe dich. (나는 너와 결혼하고 싶다. 너를 사랑하니까.)
 
위 예문을 ‘weil, da의 문장으로 바꿀 수 있겠죠. 다음과 같이 말입니다.

Ich möchte dich heiraten, weil ich dich liebe.

[denn과 weil의 문법적 성질] 접속사가 나올 때 동사의 위치가…

41과 | …, denn ich habe Hunger. | tnq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독일어학원에서 A2-1까지 끝내고 현재 A2-2시작했지만,
버터텅으로 schritt3,4를 들으려고 하는 학생인데요.
denn과 weil이 둘 다 접속사이고 둘 다 원인을 나타내는데 왜 denn절에서는 동사가 후치되지않고 weil절에서는 동사가 맨 뒤로 후치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날씨가 추운데 독어 공부에 열중이시군요.

denn과 weil은 둘 다 접속사이고 원인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문법적으로 둘은 서로 종류가 다릅니다.

denn은 병렬적 접속사(Nebenordnende Konjunktion)로서 여럿의 주문장들을 병렬적으로, 동등하게 나열해주는 연결장치라고 하겠습니다. 이 병렬적 접속사는 denn 말고도 다음의 접속사들이 있습니다. aber, allein, doch, nur, oder, sondern, sowohl…
이런 접속사들은 ‘주문장, 주문장, 주문장…’의 형식으로 문장들을 병렬적으로 연결합니다. 의미적으로 어떤 문장이 다른 문장의 이유(원인)이라고 하더라도 형식적(문법적)으로는 병렬적 관계인 것입니다.

weil은 종속적 접속사(unterordnende Konjunktion)입니다. 즉 ‘주문장+부문장’의 형태로 문장들을 연결합니다. weil은 주문장에 종속적으로 연결된 부문장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weil이 이끄는 부문장은 문법(형식)적으로 종속적인 동시에 의미(내용)적으로도 주문장에 대해 종속적입니다. 종속적 접속사들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als, bis, da, damit, dass, ob, wenn, zumal, obwohl
(여기의 접속사들 중에 dass가 있지요? ‘~하는 것’이라고 명사절을 이끄는 dass처럼 weil은 ‘~라는 이유로’라고 명사절을 이끄는 것입니다.)

왜 그렇게 여러 복잡한 접속사들이 각각일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버터텅매니저가 답하기 어렵습니다. 독일어가 그렇게 생겨먹었기 때문입니다. ㅠㅠ

‘alle’와 ‘alles’의 차이

40과 Alle Jahre wieder… | 고우현 님의 질문

alle는 사람한테만 쓰는 거 아닌가요?

alle는 사람과 사물에 모두 씁니다.
반면 alles는 사물에만 씁니다.

alle는 복수를 꾸미는 형용사라서 뒤에 복수명사가 오게 됩니다.
alles는 all(alle)라는 형용사가 명사화된 경우입니다. 이때 중성 단수로 취급됩니다.

alle는 ‘모든’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형용사이고 뒤에 사람, 혹은 사물의 복수형태가 옵니다.
alles는 ‘모든 것’이라는 뜻이고 형용사가 아닌 명사이며 중성 단수입니다.

[성탄절 인사 – Frohe Weihnachten!] 성탄절 인사?

40과 Alle Jahre wieder… | mansur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매니저님
Frohe Weinachten!! 

버터텅 메인 페이지의 토비그림 바뀐 것 확인했습니다. 소리파일도 들었어요. 크리스마스가 되니 버터텅에도 성탄절 느낌이 나네요 ㅎ. 

성탄절을 맞아 질문 하나 하려고요. 지금 40과를 공부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40과에 성탄절 이야기가 있어서 40과에 대한 질문으로 선택했구요.
Frohe Weihnachten의 정확한 뜻이 뭔가요? 그러니까 제 말은 문법적으로 좀 분석해주실 수 있을까요? ‘성탄절을 즐거워해라’ 뭐 이런 뜻일까요? 

또 다른 성탄절인사가 있다면 갈챠주세용~~~
네 안녕하세요, mansur님

토비그림 마음에 드나요? 감사합니다.

성탄절을 맞아 좋은 질문을 해주셨어요. ‘Frohe Weihnachten!’ 직역하면 ‘즐거운 성탄절!’입니다. 즐거운 성탄절이 되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성탄절을 뜻하는 ‘Weihnachten’은 복수로 받은 것입니다. 아마도 성탄절이 예수님 태어난 단 하루를 말하는 게 아니라, 그 앞뒤로 며칠을 더해 하나의 시즌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 단어는 복수로 쓰이고 앞에 관사가 거의 붙지 않습니다.

‘Guten Tag!’이 당신에게 좋은 날이기를 바란다는 뜻인 것처럼 ‘Frohe Weihnachten’도 당신에게 즐거운 성탄절이기를 바란다는 뜻이고, Akk.입니다.

이 표현 말고도 ‘Fr?hliche Weihnachten!’이라는 말도 쓸 수 있습니다.


mansur님을 포함해 이 글을 읽으시는 버터텅 회원 여러분 모두 신나고 즐거운 성탄절, 복된 성탄절 맞으시길 바랍니다~!

[‘aber’를 쓰는 게 적절한 곳] 연습문제 질문드립니다!

39과 Vor „und“ und „oder“… | sop.Min Jeon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다른게 아니라 39과 연습문제  b) 에 Sie isst kein Fleisch. 와 Sie isst Fisch. 를 접속사로 연결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런데 답은 ,aber 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녀는 육류를 먹지못한다 그래서 그녀는 생선을 먹는다 가 맞지 않은가요? 왜 ‘하지만’ 인지 궁금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회원님
아주 오랜만에 뵙는 듯해요.  공부 잘 되는가요? 화이팅하시기 바랍니다.

Sie isst kein Fleisch. (그녀는 고기를 먹지 않는다.)
Sie isst Fisch. (그녀는 생선을 먹는다.)

위 두 문장을 ‘und (그리고)’, ‘oder (또는)’, ‘aber (그러나)’ 중의 하나로 연결한다면 무엇이 좋을까요? ‘그녀는 고기를 먹지 않는다. 그러나 생선은 먹는다.’가 자연스러운 연결방식이 아닐까요?

질문글에서 ‘그래서’를 쓰셨는데, 이것은 혹시 und를 말하시는 것인지요? und는 ‘A와 B’처럼 병렬적 연결을 합니다. 한국어로 해석한다면 ‘와/과’, ‘그리고’ 등이 되겠습니다.
‘그래서’라는 인과관계를 말하는 접속사는 독일어에서 deshalb, deswegen 등이 있습니다.

[문장 어감의 차이] 연습문제 질문드립니다.

39과 Vor „und“ und „oder“… | 수아비스 님의 질문

연습문제 2-C
Wir wollen ins Kino gehen und einen Actiom-Film schauen. 과
Wir wollen ins Kino gehen und schauen einen Actiom-Film. 의 차이와
어떤게 더 자연스러운 문장인지 알려주세요 
 네 안녕하세요!

일단 두 문장 모두 문법적으로 맞습니다. 그런데 뜻이 좀 다릅니다.

1.) Wir wollen ins Kino gehen und einen Actiom-Film schauen. (우리는 극장에 가서 액션영화를 보고자 한다.)
2.) Wir wollen ins Kino gehen und schauen einen Actiom-Film. (우리는 극장에 가고자 한다. 그리고 액션영화를 본다.)

1번 문장에서의 schauen은 화법조동사 wollen과 함께 뜻을 이룹니다. 즉, wollen schauen(보고자 하다)입니다. gehen과 병렬적 관계이고, 두 동사 모두가 wollen과 함께 쓰인 것입니다. ‘가고자 하다(wollen gehen)’와 ‘보고자 하다(wollen schauen)’가 합쳐져 ‘가서 보고자 하다’가 된 것입니다.

2번 문장은 ‘가고자 하다(wollen gehen)’와 ‘본다(schauen)’가 병렬적으로 놓인 것입니다.

복수 1인칭인 ‘wir(우리)’가 주어일 때 현재형에서 동사의 인칭변화형태가 동사원형과 같아서 약간의 혼돈을 줄 수 있습니다. 화법조동사가 오면 본동사가 동사원형으로 오고, 주어가  wir나 sie(그들)일 때의 동사원형이 되므로 이쪽저쪽으로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주어를 바꿔서 한번 보죠. 주어를 ‘du’로 해볼까요?

Du willst ins Kino gehen und einen Actiom-Film schauen. (너는 극장에 가서 액션영화를 보고자 한다.)
Du willst ins Kino gehen und schaust einen Actiom-Film. (너는 극장에 가고자 한다. 그리고 액션영화를 본다.)

위 문장에서 동사들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두번째 문장의 동사들을 잘 보세요. 두번째 문장에서 und 뒤의 부분에는 조동사가 없습니다. wollen(~하고자 한다)이 없고 그저 schauen(보다)만 있는 것입니다.
첫번째 문장을 약간 풀어서 앞뒤에 맥락을 붙여보면 이렇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 네가 기다리던 주말이구나. 너는 극장에서 영화를 보려고 하지. 주말 저녁을 극장에서 영화보는 것으로 보내는군.’…. 여기서 두번째 문장이 위에 든 예시의 첫번째 문장입니다.
‘너는 영화를 관람하는 장소에 있어 좀 특이한 편향을 가지고 있어. 극장에 가고자 하지. 그리고 영화를 봐.  그밖에 PC나 TV나 모바일로 영화를 보려고 하지 않아.’…. 여기서의 두번째와 세번째 문장이 위 예시에서 두번째 문장에 해당합니다. 

아마 이 정도 설명드리면 그 차이를 이해하실 수 있을 듯한데요, 만약 아니라면 다시 질문글을 올려주세요.

[wozu? warum? wieso?]

39과 Vor ?und“ und ?… | gellyroll. 님의 질문

강의를 듣을때 자주 나오는 표현이던데요, “무엇 때문에” 라는 뜻으로 쓸 때.
둘중 아무거나 써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경우에 따라 정해져 있나요.

(질문의 제목에서 아마 ‘worum’은 ‘warum’의 오기이겠지요. 그럴 것이라고 추측합니다. ‘worum’이라는 의문사도 있습니다만, 전혀 다른 뜻이고, wozu와 유사하게 쓰이는 것은 warum입니다.)

wozu는 ‘무엇을 위해’라는 뜻입니다. 번역을 하다보면 ‘무엇 때문에’라고 쓰게 될 때가 많이 있습니다. warum은 더하거나 덜할 것 없이 꼭 맞아떨어지게 ‘왜’라는 뜻입니다. 한국어로 ‘무엇 때문에’가 ‘왜’라는 말과 서로 바꿔써도 될 때가 많듯, 독일어에서도 wozu는 warum과 바꿔써도 의미상 크게 달라지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자면 둘은 좀 다릅니다. wozu는 목적을, warum은 이유를 묻는 의문사입니다. 다음의 예를 봅시다.

Wozu lernst du Deusch? (너는 독일어를 무엇 때문에 배우니?)
Warum lernst du Deutsch? (너는 독일어를 왜 배우니?)

위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묻는다고 해도 결국은 비슷한 것을 묻게 됩니다. 목적이 곧 이유인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이 두 질문에 대한 대답은 ‘나는 독일에 유학가고 싶어 (Ich m?chte in Deutschland studieren.)’라거나, ‘나는 독일어 배우는 게 재미있어. (Ich lerne Deutsch, weil es mir Spass macht.)’라고 대답하게 되겠지요.
하지만 아래의 경우를 보세요. 썩 적절한 예가 될지는 모르겠으나, 두 의문사의 구실이 다르게 되는 경우의 예를 들자면 다음입니다.

Wozu ist Deutsch so schwer? (무엇을 위해 독일어는 이토록 어렵나?)
Warum ist Deutsch so schwer? (왜 독일어는 이토록 어렵나?)

첫번째의 wozu가 들어간 문장은 독일어가 배우기 어렵고 복잡하게 구성된 목적이 대체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인 듯 들리고, 두번째의 warum이 들어간 질문은 독일어의 어떤 점들이 배우기 어렵게 하는지 묻는 듯 들립니다. 즉 관사의 격변화나 동사의 시제변화, 형용사의 어미 등 복잡한 것들 때문에 독일어가 어렵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면 첫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애초부터 독일어가 복잡하게 짜여져야 할 목적이란 게 있을 법하지 않기 때문에 ‘글쎄 말이야, 나도 궁금해.’라거나, ‘나도 잘 모르겠다.’는 대답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첫번째의 의문문은 질문이라기 보다 불평을 질문적으로 표현한 것 같습니다.

아무튼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많은 경우에 wozu와 warum은 의미상 겹치지지만 사실 근본적으로는 서로 조금 다른 단어입니다.

warum과 연관해 꼭 알아야 또하나의 의문사는 wieso입니다. wieso는 warum과 꼭 같이 ‘왜’라는 뜻입니다. warum이 들어간 모든 문장의 자리에 그것을 빼고 wieso라는 단어로 대체해도 뜻은 조금도 달라지지 않습니다. 기억해 두세요.

모든 명사에 성이 붙는다면 한국어’된장’은 성이 뭔가요?

38과 Warum der, die, das? | 고우현 님의 질문

영어였다면 그냥 관사랑 정관사를 a Doenjang, the Doenjang이랬을 텐데..

독일어는 성을 가져야 하니 뭐라고 붙여야 하나 궁금하네요…

하하, 글쎄요 ‘된장’에 어떤 성을 붙여야 할까요?
또 세계적인 음식이 되어가는 ‘김치’는 어떤 성을 붙여서 말해야 할까요?

명사에 성을 붙이는 가장 커다란 규칙은 독일인들의 영혼이 그것을 남성, 여성, 중성 중에 어떻게 느끼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가령 김치는 ‘das Kimchi’로 대세가 기울고 있는 듯합니다. ‘Doenjang’은 어떻게 될까요? 남성이나 여성이 되어야 할 징후가 특별히 없다면 중성으로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된장을 Pasta의 일종으로 생각해 여성이 될 수도 있겠네요^^

[‘뭔가’라는 뜻의 ‘was’] 독일어 자막 질문

36과 Gegenwart und Vergangenheit | 냠냠냠 님의 질문

안녕하세요ㅋㅋㅋㅋㅋㅋ독일어 자막이랑 한국어 자막 둘 다 보면서 복습하고 있는데요…독일인 선생님의 강의를 통해서 현지인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표현들을 배울 수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아요!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하러 왔습니닷!! 36과에서 선생님이 3분 15초 쯤에’… Oder sonst eben, wenn ich selber mal was schreibe.’라고말씀하셨는데, 여기서 ‘was’가 갑자기 왜 나오는 지 이해가 안가서요.’was’는 의문사 아닌가요?혹시 여기에서는 다른 뜻으로 쓰인건가요?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Guten Tag noch! 🙂
 넷, 냠냠냠 님. 잘 오셨습니닷! (닉네임이 꼭 방금 어디선가 맛있는 걸 드시다가 오시는 길인 듯 느껴지게 하네요 ^^)

여기서의 ‘was’는 ‘뭔가’라는 뜻의 ‘etwas’와 같은 말입니다.
구어에서는 ‘etwas’는 ‘was’로 흔히 쓰입니다.

Ich habe was gekauft. (나는 뭔가를 좀 샀다.)
Er schreibt was auf. (그는 뭔가를 적고 있다.)

질문에서의 독일어 자막 ‘… Oder sonst eben, wenn ich selber mal was schreibe.’는 ‘또는 그밖의 내가 뭔가를 좀 쓸 때 (말이죠).’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ko_KR한국어